[include(틀:다른 뜻1, other1=마세라티의 스포츠카, rd1=마세라티 세브링)] || [[크라이슬러|[[파일:external/www.allpar.com/chrysler_wing.jpg|width=3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크라이슬러 세브링.jpg|width=100%]]}}} || || {{{#ffffff '''Sebring'''}}} || [목차] '''Chrysler Sebring'''[* [[플리머스 새틀라이트]] 문서에 따르면, 세브링이라는 이름은 [[플로리다 주]]에 위치한 [[세브링 인터내셔널 레이스웨이]]에서 따 온 것으로 추정된다.] == 개요 ==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이자 [[스텔란티스]] 산하의 브랜드인 [[크라이슬러]]에서 생산했던 승용차 라인업이다. == 상세 == === 1세대 (FJ/JX, 1995~2000), 2세대 (JR/ST, 2000~2006) === || [[파일:1995 크라이슬러 세브링 LX 쿠페_(1).jpg|width=100%]] || [[파일:1995 크라이슬러 세브링 LX 쿠페_(2).jpg|width=100%]] || ||<-2> {{{#ffffff '''1세대 세브링 쿠페'''}}} || || [[파일:2001 크라이슬러 세브링_(1).jpg|width=100%]] || [[파일:2001 크라이슬러 세브링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1 크라이슬러 세브링_(3).jpg|width=100%]]}}} || ||<-2> {{{#ffffff '''2세대 세브링 세단'''}}}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07년 이전 모델, rd1=닷지 스트라투스)] 1세대는 [[닷지 스트라투스]]의 형제차인 크라이슬러 시러스의 쿠페 및 컨버터블 사양의 이름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2세대는 [[크라이슬러 시러스]]와 통합되어 세단사양 또한 세브링으로 판매되었다. === 3세대(JS, 2007~2010) === || [[파일:2007 크라이슬러 세브링_(1).jpg|width=100%]] || [[파일:2007 크라이슬러 세브링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7 크라이슬러 세브링_(3).jpg|width=100%]]}}} || ||<-2> {{{#ffffff '''세단'''}}} || || [[파일:2008 크라이슬러 세브링 컨버터블_(1).jpg|width=100%]] || [[파일:2008 크라이슬러 세브링 컨버터블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8 크라이슬러 세브링 컨버터블_(3).jpg|width=100%]] [[파일:2008 크라이슬러 세브링 컨버터블_(4).jpg|width=100%]] [[파일:2008 크라이슬러 세브링 컨버터블_(5).jpg|width=100%]]}}} || ||<-2> {{{#ffffff '''컨버터블'''}}} || 2006년에 닷지 스트라투스가 단종되면서 크라이슬러의 중형 세단 라인업은 세브링과 [[닷지 어벤저]]로 재편되었다. 둘 다 [[FF(자동차)|전륜구동]] JS 플랫폼을 공유했지만, 실제로 보면 생각보다 크다. 외관 디자인은 2003년에 공개된 [[https://www.google.co.kr/search?q=chrysler+airflite+concept&client=ms-android-skt-kr&prmd=ivmn&source=lnms&tbm=isch&sa=X&ved=0ahUKEwi309uT7bnRAhVJkZQKHbV4CL0Q_AUIBygB&biw=360&bih=559|에어플라이트]](Airflite) 컨셉트카와 [[크라이슬러 크로스파이어|크로스파이어]]의 영향을 받았다. 엔진은 직렬 4기통 2.4L [[크라이슬러 월드 가솔린 엔진|월드]] 엔진을 기본으로 V6 2.7L EER 엔진과 3.5L EGR 엔진이 제공되었다. 이 중 2.7L 사양은 E85 에탄올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었고, 3.5L 사양은 크라이슬러 차량 최초로 6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었다. 수출 사양은 2.0L 월드 엔진과 [[폭스바겐]]에서 만든 2.0L 커먼레일 디젤 엔진을 제공하는 대신 3.5L 엔진을 제공하지 않았다. 변속기는 4단 40TES/41TES 자동을 기본으로 6단 62TE 자동이 제공되었고, 수출 사양에는 5단 수동을 기본으로 [[아이신 AW|아이신]] 6단 수동도 제공되었다. 2006년부터 2007년식으로 판매를 시작했고, 트림은 베이스, 투어링, 리미티드가 있었다. 생산은 2세대를 생산했던 [[미국]] [[미시간]] 주의 스털링 하이츠(Sterling Heights)에 있는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2008년식부터는 베이스 트림을 LX로 개병하고, 리미티드 AWD 트림을 추가했다. 또한 이 때부터 [[컨버터블]]이 추가되었다. 컨버터블은 2007년 LA 모터쇼에서 2008년식으로 공개되었고, 소프트탑과 하드탑 모두 장착되었다. LX 트림에는 2.4L 엔진과 비닐 재질의 소프트탑이 장착되었고, 투어링과 리미티드 트림에는 천 소재의 소프트탑이 장착되었고 옵션으로 하드탑을 선택할 수 있었다. 엔진은 각각 2.7L와 3.5L가 장착되었다. 2009년식부터는 투어링과 리미티드 트림만 남았고, 페이스리프트 직전에는 리미티드 트림만 남았다. [[대한민국]]에는 2007년 3월부터 세단 모델 중 2.4L 엔진과 4단 오토스틱 자동변속기가 조합된 사양이 수입되었다. 2008년 3월에는 하드탑이 장착된 컨버터블 모델도 대한민국에 판매하기 시작했고, 그 해 가을에는 폭스바겐제 170마력 2.0L 커먼레일 디젤 엔진과 게트락제 MPS6 6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가 조합된 사양도 추가되었다.[* 비슷한 시기의 [[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차량에도 적용된 변속기로, 댐퍼 클러치가 자주 파손되며 부품값도 비싸고 미션오일 필터를 교환하려면 변속기를 내려서 분해해야 하는, 골치 아픈 변속기다.] 대한민국 사양은 세브링이 [[크라이슬러 200]]으로 페이스리프트되기 이전인 2010년부터 판매를 중지했다. 꽤나 팔렸는지 한때는 국내에서 자주 보였던 차량이다. 한인시장 광고도 있었지만, 현재는 원본 링크 자체가 소실된 듯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크라이슬러의 차량)]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크라이슬러 200, version=88, paragraph=2.1)] [[분류:크라이슬러/생산차량]][[분류:1995년 출시]][[분류:2010년 단종]][[분류:중형 세단]][[분류:중형 쿠페]][[분류:중형 컨버터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