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러시아 시베리아 연방관구의 행정구역)] ---- ||<-3> {{{#fff {{{+1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br]'''Красноярский край'''}}} || ||<-2> [[파일: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기.svg|width=100%]] || [[파일: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문장.svg|width=55%]] || ||<-2> '''{{{#fff 주기}}}''' || '''{{{#fff 주장}}}'''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Красноярский край, 너비=100%)]}}} || ||<-3> '''{{{#ffffff 행정}}}'''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 '''주도''' ||[[크라스노야르스크]] || || '''시간대''' ||UTC+7 ||}}}}}}}}} || ||<-3> '''{{{#fff 인문 환경}}}'''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인구''' ||<-2>2,855,899명 (2021) || || '''인구 밀도''' ||<-2>1.21명/㎢ || || '''면적''' ||<-2>2,366,797 km2 || || '''지역가''' ||<-2> || || '''GDRP''' ||<-2> || || '''1인당 GDRP''' ||<-2> ||}}}}}}}}} || ||<-3> '''{{{#fff 정치}}}'''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주지사''' ||<-2>미하일 코튜코프 ,,(권한대행),, [include(틀:통합 러시아)] || ||<|7> '''지방의회''' || [include(틀:통합 러시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e4ea4 calc(34*100%/52), #aaa 0%)" {{{#fff '''34석 / 52석'''}}}}}} || || [include(틀:러시아 연방 공산당)]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40a00 calc(8*100%/52), #aaa 0%)" {{{#fff '''8석 / 52석'''}}}}}} || || [include(틀:러시아 자유민주당)]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8b7 calc(4*100%/52), #aaa 0%)" {{{#fff '''4석 / 52석'''}}}}}} || || [include(틀:새로운 사람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D2CA calc(2*100%/52), #aaa 0%)" {{{#fff '''2석 / 52석'''}}}}}} || || [include(틀:무소속)]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8080 calc(2*100%/52), #aaa 0%)" {{{#fff '''2석 / 52석'''}}}}}} || || [include(틀:공정 러시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c003 calc(1*100%/52), #aaa 0%)" {{{#fff '''1석 / 52석'''}}}}}} || || [include(틀:러시아 농민당)]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E4E calc(1*100%/52), #aaa 0%)" {{{#fff '''1석 / 52석'''}}}}}} || }}}}}}}}} || || '''설립''' ||<-2> || || '''ISO 3166''' ||<-2> '''RU-KYA''' || || '''공식 사이트''' ||<-2> [[http://www.krskstate.ru/|[[파일: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문장.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러시아 연방]]의 [[지방(러시아)|지방]]. 러시아 국토 정 가운데에 위치한 지역이다. 면적은 2,339,700km²로 남한의 23배에 달하는 엄청나게 큰 크기이며, 같은 러시아의 [[사하 공화국]]과 [[호주]]의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에 이은 세계에서 3번째로 큰 행정구역이다.[* [[카자흐스탄]]이나 [[알제리]]보다는 확실히 작고 [[콩고민주공화국]](2,345,409km²)과 거의 비슷하다.] 인구는 2022년 기준 2,855,899명으로 인천광역시의 인구보다 조금 적다.[* 이 곳보다 더 큰 행정구역인 사하 공화국의 인구가 95만명,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의 인구가 200만명이라서 오히려 면적과 인구가 반비례한다.] 사실 [[2007년]]까지만 해도 이렇게까지는 크지 않았다.[* 물론 '그렇게 크지 않은 면적'이 692,171km²로 러시아에서 9번째로 큰 행정구역이었다(...).] 그러나 [[2007년]] [[1월 1일]], [[에벤키 자치구]](Эвенки́йский автоно́мный о́круг)와 타이미르 돌간-네네츠 자치구(Таймы́рский Долга́но-Не́нецкий автоно́мный о́круг)를 합쳐서 이렇게 거대한 행정구역이 되었다. 타이미르 자치구는 면적 862,100km²에 인구 39,786명이었고, 에벤키 자치구는 면적 767,600km²에 인구 17,697명으로 두 자치구 모두 매우 낮은 인구밀도를 가지고 있었다. == 인구 == [[예니세이 강]]을 따라 있는 모양새로 인구의 98%가 크라이의 남쪽 3분의 1에 거주한다. 남쪽에는 주 이름인 크라스노야르스크라는 [[대한민국]] 기준으로도 [[광역시]]급은 되는 상당히 큰 도시가 있는만큼 [[시베리아]]치고는 개발된 지역이며, 반면 북부 도시들은 외국인의 여행이 금지되어 있다. [[노릴스크]] 참조. 인구의 91%가 [[러시아인]]으로 원주민인 [[케트족]]이나 [[어웡키족]], [[돌간인]], [[네네츠인]], [[응가나산인]] 등은 소수이다. 소수민족들을 중심으로 러시아어외에 [[케트어]], [[어웡키어]](에벤키어), [[돌간어]], [[네네츠어]], [[응가나산어]]도 쓰이고 있다. 크라이의 북쪽 3분의 2 지역으로 한정할 시 러시아인 비율은 절반이며 나머지 절반은 [[시베리아 원주민|북아시아계]]이다. == 경제 == 경제적으론 러시아의 중요한 광산 지역 중 하나이다. 러시아 니켈의 80%가 이 지방에서 나며, 코발트의 75%, 구리의 70%가 이 곳에서 나며, 석유와 천연가스도 생산된다. 또한 이 지역은 러시아의 주요 탄전이기도 하며, 금도 많이 나는 지역 중 하나이다. 또한 공업도 발달해 있다. 러시아 최대규모의 댐인 크라스노야르스크 수력발전소(Красноярская ГЭС)가 이 지방의 중부에 위치한다. 주도인 크라스노야르스크 시로부터 30km 북부에 예니세이 강을 끼고 있다. [[러시아 루블]]의 10루블 지폐에 이 댐이 그려져 있고 크라스노야르스크 중앙역에도 커다란 사진이 있을만큼 크라스노야르스크의 랜드마크로 꼽힌다. [[퉁구스카 대폭발]]이 이 지방 중부에서 일어났다. == 지리 == 북쪽 [[타이미르 반도]]의 [[첼류스킨 곶]]은 유라시아 대륙의 최북단에 위치하며 지구상 대륙으로서도 최북단이다.(북위 77도 43분) 노릴스크의 동쪽으로 시베리아의 그랜드 캐니언이라 불리는 푸토라나 고원이 있다. == 주요 도시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14px-Map_of_the_Krasnoyarsk_Krai.png]] 주도는 G의 크라스노야르스크 시. K가 [[노릴스크]]이다. 주요 도시는 크라스노야르스크(2번 항목), [[노릴스크]], [[아친스크]] 등. 크라스노야르스크 시의 인구가 100만인 것에 비해 2위인 노릴스크는 17만밖에 되지 않는다. == 정치 == ||<-10><#eeeeee><:>'''{{{#black 2018년 9월 9일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의 장 조기선거 결과}}}'''|| || '''정당''' || [include(틀:통합 러시아)] || [include(틀:러시아 자유민주당)] || [include(틀:공정 러시아)] || '''{{{#black 투표율}}}''' || || '''후보''' || '''{{{#black 알렉산데르 우스}}}''' || 예고르 본다렌코 || 알렉산드르 림피오 || % || || '''득표율''' || '''{{{#black 60.19%}}}''' || 23.34% || 12.32% || '''{{{#black 28.94 %}}}'''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크라스노야르스크, version=113)] [[분류: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