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노벨문학상 수상자)] ||<-2>
{{{+1 '''{{{#white Knut Pedersen Hamsun }}}'''}}} || ||<-2>[[파일:1920노벨문학상크누트함순.jpg|width=100%]]||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30]]''' [[노벨문학상|{{{#white '''1920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 || '''{{{#white 본명}}}''' ||Knut Pedersen Hamsun[br](크누트 페데르센 함순) || || '''{{{#white 국적}}}'''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8]]|| || '''{{{#white 출생}}}''' ||[[1859년]] [[8월 4일]][br][[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왕국]] 구드브란스달 || || '''{{{#white 사망}}}''' ||[[1952년]] [[2월 19일]] (향년 92세)[br][[노르웨이]] 그림스타드 || || '''{{{#white 직업}}}''' ||[[작가]], [[시인(문학)|시인]], [[극작가]], 사회평론가 || || '''{{{#white 서명}}}''' ||[[파일:Knut_Hamsun_signature.png|width=50%&bgcolor=#fff]] || [목차] [clearfix] == 개요 == [[노르웨이]]의 [[작가]]이다. [[토마스 만]], [[어니스트 헤밍웨이]] 등 당대의 대문호들에게 칭송을 받았지만, 말년에 [[아돌프 히틀러]]를 예찬한 끝에 모든 명예를 잃고 가난 속에 생을 마감했다. == 생애 == 1859년 [[노르웨이]]의 구드브란스달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크누트 페테르센. 1862년에 가족 모두 노르웨이 북부 하마뢰위에 있는 함순으로 이사했는데, 훗날 이 이름을 필명으로 사용한다. 가난 때문에 9살의 나이로 삼촌 집으로 가서 일을 도왔는데, 삼촌이 [[파킨슨병]]을 앓고 있어 어린아이의 몸으로 음식뿐 아니라 집안일을 도맡아 해야 했고 조금이라도 게으름을 피웠다가는 삼촌에게 매질을 당하기 일쑤였다. 이렇게 5년을 보낸 후 청소년기에는 상점 점원, 제화공, 잡상인 등의 직업을 전전했다. 1876년부터 글을 쓰기 시작했다. 26세 되던 해 형편이 나아질까 싶어 미국으로 건너가 체류했으나. [[임시직]] 노동자만 전전한 끝에 1885년 미국 생활을 접고 노르웨이로 귀국했고 이때부터 그는 크누트 함순이란 필명을 쓰기 시작했다. 1년 뒤 다시 미국으로 건너갔으나 이번에도 정착에 실패하고 덴마크의 [[코펜하겐]]으로 거처를 옮겼다. 1890년『[[굶주림(소설)|굶주림]]』이 높은 평가를 받으면서 노르웨이 뿐 아니라 유럽 전체에 이름을 알렸다. 이후 『신비』,『목신 판』 등을 발표했고 1898년 연애소설 『빅토리아』를 출간해 작가로서 명성을 얻었다. 1911년 농장을 구입해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시대의 아이들』 ,『세겔포스 마을』 ,『땅의 혜택』등 목가적인 작품을 주로 썼다. 그중 대표작으로 꼽히는 『땅의 혜택』은 문명의 공허함 안에서 인간성을 되찾고 위대한 자연과 하나가 되어 순수하게 살아가고자 하는 작가의 궁극적인 지향점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 함순이 1920년 [[노벨문학상]]을 받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나치 관련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함순은 친 [[나치]] 인사가 되었다. 1940년 4월 9일 히틀러가 [[노르웨이 침공|노르웨이를 침략]]하자 함순은 전단지에 '''영국의 노골적인 침략 위협에서 우리를 지켜주기 위해 독일이 왔다'''고 썼다. 그뿐만 아니라 동년 9월 28일에는 노르웨이 동포들을 향해 다음과 같이 발언했다. >무기를 버리고 집으로 돌아가라! 독일인들은 우리 모두를 위해 싸우고 있고, 이제 영국의 폭정을 완전히 박살 낼 것이다! 당연히 노르웨이 국민들과 문학계는 함순의 이 망언에 분개했으나 함순은 아랑곳하지 않고 히틀러에 대한 존경심을 표했고, 심지어 히틀러가 자살한 직후 그는 아직 독일군 통제 아래 있던 라디오 방송에 나와 히틀러를 추도했다. 전쟁이 끝난 후 반역 혐의로 체포되어 정신병원에 강제 수용되었다. 1947년 벌금형을 받아 재산의 대부분을 벌금으로 낸 후 집으로 돌아왔고, 1949년『풀이 무성한 오솔길에서』를 출간했다. 1952년 92세로 사망했다. [[분류:노르웨이의 소설가]][[분류:1859년 출생]][[분류:1952년 사망]][[분류:인라네 주 출신 인물]][[분류:나치 부역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