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큐브엔터테인먼트)] ||<-2> '''{{{+1 큐브엔터테인먼트}}}[br]CUBE ENTERTAINMENT''' || ||<-2> [[파일:큐브엔터테인먼트 로고.svg|width=300&theme=light]][[파일:큐브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width=300&theme=dark]] || || '''정식 명칭''' ||(주)큐브엔터테인먼트 || || '''영문 명칭''' ||CUBE ENTERTAINMENT Corp.||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설립일''' ||[[2006년]] [[8월 29일]] {{{-2 (해산법인 큐브엔터테인먼트)[* 법인 등록이 2006년일뿐, 큐브 엔터라는 회사가 운영되기 시작한건 2008년 4월이다.]}}}[br][[2013년]] [[7월 25일]] {{{-2 (존속법인 [[SPAC|우리기업인수목적2호]])}}} || || '''업종명''' ||음반기획 및 연예매니지먼트 사업 || || '''설립자''' ||홍승성[* [[JYP엔터테인먼트]] 공동 창립자 출신으로, 2020년 대주주들과 분쟁이 일어나면서 큐브를 떠나고 [[S2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한 상태이다.] || || '''대표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a75bb; font-size: 0.75em" {{{#fff '''대표이사'''}}}}}} 정철[* 모회사 (주)브이티지엠피 최대주주.] 강승곤[* 모회사 (주)브이티지엠피 2대주주.] 안우형[* 서태지컴퍼니 전 대표.] || || '''모기업''' ||[[브이티지엠피|VT GMP]]^^(2020년~)^^[* 2020년 2월 21일 인수되었다. [[https://m.yna.co.kr/view/AKR20200221175700005|기사]]] || || '''기업 규모''' ||[[중견기업]] || || '''상장 여부''' ||상장기업 || || '''상장 시장''' ||[[코스닥시장]]^^(2015년 4월 9일 ~ )^^ || || '''시가 총액''' ||2,822억 원 {{{-2 (2023년 2월 6일 기준)}}} || || '''종목 코드''' ||182360 || ||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 83 ([[성수동|성수동2가]])[br]{{{#!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 큐브엔터테인먼트, 너비=100%)]}}} || || '''링크''' ||[[http://www.cubeent.co.kr|[[파일:큐브엔터테인먼트 심볼.svg|width=20]]]] | [[http://www.youtube.com/user/theunitedcub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ubeunited, 크기=20)] | [[https://facebook.com/UNITEDCUB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channels.vlive.tv/FD933|[[파일:V LIVE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weibo.com/cubeent|[[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 2006년 설립 이후로 [[포미닛]], [[비스트(아이돌)|비스트]], [[G.NA]], [[비투비]], [[펜타곤(아이돌)|펜타곤]], [[CLC]], [[라이관린]], [[유선호]], [[(여자)아이들]], [[LIGHTSUM]]을 배출했다. == [[/역사|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큐브엔터테인먼트/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OwZs8Ko0sM)]}}} || || '''역대 큐브 소속 아티스트 모음 (2019년 기준)'''[* 근데 비스트의 그룹 무대가 빠졌다.] || 대형 음반사이던 대영AV(현 [[CJ ENM]] 음반공연사업본부의 전신)의 이사와 [[JYP엔터테인먼트]]의 대표 출신인 홍승성[* [[비(연예인)|비]]의 [[월드스타]] 수식어를 만든 게 이 사람으로, 한때 JYP가 [[언론플레이]]를 심하게 하는 회사라는 이미지가 강했던 데에는 이 사람의 공(?)이 컸다.]이 JYP 퇴사 후 2006년에 설립했다.[* 큐브와 JYP는 홍승성이 JYP 출신이기도 해서 초창기까지만 해도 JYP가 [[2AM]]의 매니지먼트를 큐브에 맡겼을 정도로 돈독했으나, 2AM 데뷔 후 불과 1년 여만에 수뇌부 간 갈등으로 남보다 못한 사이가 되었다.(...) 다만 홍승성 대표도 대주주와의 분쟁으로 2020년 큐브 엔터를 떠났다.] 설립 당시 사명은 '주식회사 엠디포'였고 이후 '플레이큐브'로 변경, [[4minute]]과 [[비스트(아이돌)|비스트]], [[G.NA]]를 차례로 데뷔시킨 뒤 2011년 3월 사명이 현재와 같이 변경되었다.[* 다만 '큐브엔터테인먼트'라는 이름이 공식화된 건 대략 2010년 [[G.NA]]가 데뷔할 때부터이고, 이 때부터 '플레이큐브'라는 이름은 전산 상에만 남게 되었다.] 2013년, [[아이에이치큐]]가 165억원에 큐브엔터테인먼트를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2982309?sid=101|인수]]하였고 [[포미닛]], [[비스트]], [[비투비]]가 연이어 초대박을 치며 2015년, [[상장 기업]]이 되었다.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157423|#]] 2020년 코스닥 상장회사 [[브이티지엠피]]가 큐브엔터테인먼트 지분 30.61%을 291억 원에 아이에이치큐(IHQ)로부터 인수하며 최대주주가 아이에이치큐에서 브이티지엠피로 변경되었다. [[https://m.yna.co.kr/view/AKR20200221175700005|#]] 2006년 설립 이후로 [[포미닛]], [[비스트(아이돌)|비스트]], [[G.NA]], [[비투비]], [[펜타곤(아이돌)|펜타곤]], [[CLC]], [[라이관린]], [[유선호]], [[(여자)아이들]], [[LIGHTSUM]]을 배출했다. 이중 [[포미닛]], [[비스트(아이돌)|비스트]], [[비투비]], [[펜타곤]], [[(여자)아이들]] 등을 연속으로 히트시키며, 2022년 매출 기준 국내 기획사 6위[* 참고로 5위는 [[스타쉽엔터테인먼트]]. --다만 큐브에선 자기들이 빅5라고 밀고 있다.-- 차이가 꽤 나는 1~4위는 당연히 [[틀:대한민국의 4대 대형 기획사|4대 엔터사]].]인 메이저 엔터테인먼트로 자리잡고 있다. 2023년 10월 30일, [[펜타곤(아이돌)|펜타곤]] 이후 8년만에 신인 보이그룹 론칭 소식을 알렸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37/0000365071|기사]] 5인조 그룹이며 [[프로듀스 X 101]]에 참가했던 [[김현빈(2002)|김현빈]]이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77/0000459539|#]] === 로고 변천사 === || (주)엠디포 || 플레이큐브 || [[파일:큐브엔터테인먼트 로고.svg|width=100px]] || || 창립당시 || [[2006년]] ~ [[2008년]] || [[2008년]] ~ 현재 || == 지배구조 == 2023년 6월 7일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주)브이티지엠피 외 3인|| 50.63%||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브이티지엠피|(주)브이티지엠피]]|| 37.59%||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강승곤[* (주)브이티지엠피 공동 대표이사 겸 2대 주주] || 9.30%||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정철[* (주)브이티지엠피 공동 대표이사 겸 최대주주] || 3.21%||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강동윤[* (주)브이티지엠피 부사장] || 0.53%|| == 소속 연예인 == [include(틀:큐브엔터테인먼트)] === 가수 === '''볼드체'''는 팀의 리더 * [[조권]][* [[2AM]] 멤버] * [[펜타곤(아이돌)|펜타곤]] - [[진호(펜타곤)|진호]], '''[[후이]]''', [[신원(펜타곤)|신원]] * [[(여자)아이들]] - [[미연]], [[민니]], '''[[전소연|소연]]''', [[우기((여자)아이들)|우기]], [[슈화]] * [[LIGHTSUM]] - '''[[상아(LIGHTSUM)|상아]]''', [[초원(LIGHTSUM)|초원]], [[나영(LIGHTSUM)|나영]], [[히나(LIGHTSUM)|히나]], [[주현(LIGHTSUM)|주현]], [[유정(LIGHTSUM)|유정]] === 배우 === * [[나인우]] * [[오승희]][*A [[CLC]] 출신.] * [[권은빈]][*A] * [[유선호]] * [[문승유]] * 문수영 === 방송인 === * [[박미선]] * [[이상준]] * [[이은지(코미디언)|이은지]] * [[김경아(코미디언)|김경아]] * [[정지우(1990)|정지우]] == 소속 연습생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큐브엔터테인먼트 소속 연습생, rd1=CUBE TREE)] == 과거 소속 == ===# 연예인 #=== * 에디 신 * [[영지(가수)|영지]] - 영지날다 엔터테인먼트 소속. * [[마리오(한국 가수)|마리오]] * [[비(연예인)|비]] - [[레인컴퍼니]] 소속.[* 1인 기획사로 설립한 소속사. [[써브라임]]과 MOU 계약체결 하고 활동하였다가 종료로 설립한 기획사로만 활동중이다.] * 조서하 * 오예리 * [[서우]] - 회사와의 상호협의 끝에 재계약을 하지 않고 계약 만료 전, 결별했다. * [[G.NA]] * [[신지훈]] - 스타라인 엔터테인먼트로 이적하였다가 1인기획사 지훈이회사로 설립하여 활동중이다. * [[박민하(2007)|박민하]] * [[포미닛]] * [[남지현(1990)|남지현]] - 포미닛의 해체와 계약 만료 후 [[아티스트컴퍼니]]로 이적하였다가 2022년 [[얼반웍스이엔티]]로 이적하였다. * [[허가윤]] - 포미닛의 해체와 계약 만료 후 [[비에스컴퍼니]]로 이적하였다가 2021년 레드우즈로 이적하였다. * [[전지윤]] - 포미닛의 해체와 계약 만료 후 JS E&M으로 이적하였다. 이후 다시 아츠로이엔티로 이적하였으나 현재는 소속사 사이트에서 삭제되어 무소속이다. * [[현아]] - 포미닛의 해체 후 유일하게 재계약을 체결하였으나 [[던(가수)|던]]과 열애설이 휘말려 2018년 10월 계약해지하고 2019년 던과 함께 [[피네이션]]에 이적하였다가,2022년 8월 29일부로 계약종료 이후 2023년 11월 6일부로 [[AT AREA]]로 이적했다. * [[권소현]] - 포미닛의 해체와 계약 만료 후 [[935엔터테인먼트]]로 이적하였다가 2020년 [[매니지먼트 오름]]으로 이적하였다. * [[비스트(아이돌)|비스트]] (現 [[하이라이트(아이돌)|하이라이트]])[* 그룹 상표권을 소속사가 소유하고 있어 독립 후 새로운 이름의 그룹을 결성한 케이스. 때문에 지금도 하이라이트 팬들에겐 큐브가 인상이 안 좋은 편이다.] - 해체와 계약 만료 후 어라운드어스엔터테인먼트 설립하여 활동 중이다. * [[윤두준]] * [[양요섭]] * [[이기광]] * [[손동운]] * [[용준형]] * [[장현승]] * [[최대훈]] * [[백서이]] * [[노지훈]] * [[왁스(가수)|왁스]] * [[김기리]] * [[던(가수)|이던]] (前 펜타곤) - [[현아]]와 열애설이 휘말려 2018년 11월 그룹 탈퇴와 계약해지하고 2019년 현아와 함께 [[피네이션]]에 이적하였다가 피네이션과 계약 만료로 무소속이었다가 [[AT AREA]] 이적하였다. * [[가을로 가는 기차]] * 지현 * 아영 * 수빈 * 소미 * [[라이관린]][* 그룹 [[Wanna One]] 멤버.] - 법적 분쟁으로 계약을 해지하였으며 대만으로 돌아가 자신의 어머니 대표인 공작실 소속으로 활동 중이다. * [[수진]] (前 [[(여자)아이들]]) - [[수진 학교폭력 가해 논란|학교폭력 가해 논란]]으로 인해 2021년 8월 14일 그룹 탈퇴하고 2022년 3월 5일 계약 해지 하였다. * [[CLC]][* 현재는 [[오승희]], [[권은빈]]만 남았다.] * [[엘키]] - 2021년 2월 3일 계약 해지와 그룹 탈퇴하였으며 홍콩으로 돌아가 활동 중이다. * [[SORN|손]] - 2021년 11월 16일 그룹 탈퇴와 계약 해지한 후 Wild ent로 이적하고 주로 태국으로 돌아가 유튜버 활동 중이긴 하나 한국에서도 유튜버 활동도 하고 있다. * [[장승연]] - 2022년 3월 18일 장예은과 함께 계약 만료 되었으며 그룹 해체 후 2023년 2월 손의 같은 소속사 Wild ent로 이적하였다. * [[예은(1998)|장예은]] - 2022년 3월 18일 장승연과 함께 계약 만료 되었으며 그룹 해체 후 2022년 8월 [[슈퍼벨컴퍼니]]로 이적하였다. 현재 [[EL7Z UP]]의 멤버로 활동 중이다. * [[최유진]] - 포털사이트 프로필에 기재되어 표기하였으나 잔류중인 오승희, 권은빈과 달리 이름이 등재되어 있지 않으며 큐브와 계약해지가 공시되었다. 현재 [[Kep1er]]의 멤버로 활동 중이다. Kep1er 그룹 활동 소속은 [[웨이크원]] 소속이다. * [[공서영]] * [[LIGHTSUM]] * [[오휘연|휘연]] - 지안과 함께 2022년 10월 25일 탈퇴와 동시에 계약해지 되었다.[*B 아무소식이 없어 원인은 불분명] * [[김지안(2006)|지안]] - 휘연과 함께 2022년 10월 25일 탈퇴와 동시에 계약해지 되었다.[*B] * [[강세정]] * [[연예림]] * [[이혜지]] * [[이휘재]] * [[정일훈]] (前 [[비투비]]) - 2020년 12월 31일 마약류 위반 혐의로 팀에서 탈퇴한 이후 2021년 쯤에 큐브와 전속계약 해지를 한것으로 추정된다. * [[펜타곤(아이돌)|펜타곤]] * [[여원]][*C 2023년 10월 9일 계약 종료.] * [[옌안(펜타곤)|옌안]][*C] * [[유토(펜타곤)|유토]][*C] * [[키노(펜타곤)|키노]][*C] * [[우석]][*C] * [[홍석]][*D 2023년 11월 6일 계약 종료.] * [[김진우(배우)|김진우]] * [[비투비]] * '''[[서은광]]'''[*D] * [[이민혁(비투비)|이민혁]][*D] * [[이창섭(비투비)|이창섭]][*D] * [[임현식(비투비)|임현식]][*D] * [[프니엘]][*D] * [[육성재]][*D] ===# 연습생 #=== * [[Apink]] 데뷔조[* [[정은지]]는 에이큐브엔터테인먼트 설립 이후 에이큐브로 입사하였으므로 해당 없음.][* 연습생 시절엔 큐브 직속이었으나 데뷔는 자회사인 에이큐브엔터테인먼트에서 했으며, 2015년 11월 25일에 Apink 소속사의 큐브 측 지분이 로엔으로 넘어가면서 관계가 끊어졌다.] * [[박초롱]] * [[윤보미]] * [[김남주(Apink)|김남주]] * [[오하영]] * [[손나은]] - 걸그룹 [[Apink]] 출신의 배우. * [[홍유경]] - 걸그룹 [[Apink]] 출신 유튜버. * [[나현(프림로즈)|나현]] - 걸그룹 [[핫이슈(아이돌)|핫이슈]] 출신, 현재 걸그룹 [[프림로즈]]의 멤버. * [[보나]] - 걸그룹 [[우주소녀]]의 멤버 겸 배우. * [[소유(가수)|소유]] - 걸그룹 [[씨스타]] 출신의 가수. * [[김다솜]] - 걸그룹 [[씨스타]] 출신의 배우. * [[장소진|소이]] - 걸그룹 [[구구단(아이돌)|구구단]] 출신의 가수. * [[애슐리(레이디스 코드)|애슐리]] - 걸그룹 [[레이디스 코드]] 출신의 유튜버 겸 가수. * [[유주]] - 걸그룹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출신의 가수. 큐브에 잠시 있었을 때 [[육성재]]와 같이 연습하면서 알았다고 한다. * [[성민(ONE PACT)|성민]] - 보이그룹 [[TO1]]의 전 멤버, 현재는 [[ONE PACT]]의 멤버. * [[송하예]] - 가수. * [[승훈]] - 보이그룹 [[CIX]]의 멤버. * [[영빈(루미너스)|영빈]] - 보이그룹 [[루미너스(아이돌)|루미너스]]의 멤버. * [[현(n.SSign)|현]] - 보이그룹 [[n.SSign]]의 멤버. * [[수빈(배우)|정수빈]] - 보이그룹 [[VICTON]]의 멤버. * [[세림]] - 보이그룹 [[CRAVITY]]의 멤버. * [[신소현]] - 배우. * [[채정]] - 걸그룹 [[앨리스(아이돌)|앨리스]]의 멤버. * [[이종원(2004)|이종원]] - [[언더나인틴]] 참가자. * [[용훈]] - 보이그룹 [[원위]]의 멤버. * [[전지우]] - 혼성그룹 [[KARD]]의 멤버. * [[프로듀스 101/참가자#s-1.6.17|이윤서]] - [[프로듀스 101]] 참가자. * [[이지한]] - [[프로듀스 101 시즌2]] 참가자. 2022년 10월 30일 [[이태원 압사 사고|10.29 이태원 사고]]로 향년 24세로 사망했다. * [[리재]] - [[프로듀스 101]] 참가자. * [[타지마 쇼고]] - 일본 보이그룹 [[INI]]의 멤버. * [[최석원(1996)|탄]] - 보이그룹 [[싸이퍼(아이돌)|싸이퍼]]의 멤버. * [[해리(P.O.P)|해리]] - 걸그룹 [[P.O.P]] 출신. * [[연수(ADYA)|연수]] - 걸그룹 [[ADYA]]의 멤버. * [[연준(투모로우바이투게더)|연준]] - 보이그룹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멤버. * [[아라(아일리원)|아라]] - 걸그룹 [[아일리원]]의 멤버. * [[리안(미래소년)|리안]] - 보이그룹 [[미래소년]]의 멤버. * [[리시칸]] - 중국 보이그룹 [[S.K.Y]]의 멤버. * [[윤민(2000)|윤민]] - [[LOUD: 라우드]]에 참가하여 [[JYP엔터테인먼트]] 최종 데뷔 그룹으로 데뷔를 준비했으나 2023년에 퇴사했다. * [[조우찬]] - [[빅히트 뮤직]]에서 차기 데뷔조인 [[Trainee A]] 소속으로 데뷔를 준비했으나 2023년에 퇴사했다. * [[가빈(JWiiver)|가빈]] - 보이그룹 [[JWiiver]]의 멤버. * [[프로듀스 101/참가자#s-1.5.1|서혜린]] - [[프로듀스 101]] 참가자. * [[서지민(2005)|서지민]] - [[걸스플래닛999 : 소녀대전]] 참가자. * [[재효]] - 보이그룹 [[블락비]]의 멤버. * [[휴닝바히에]] - 걸그룹 [[Kep1er]]의 멤버. * [[성한빈]] - 보이그룹 [[ZEROBASEONE]]의 멤버. * [[석매튜]] - 보이그룹 [[ZEROBASEONE]]의 멤버. * [[박한빈(EVNNE)|박한빈]] - 보이그룹 [[EVNNE]]의 멤버. * [[박민석(2002)|박민석]] - [[비트인터렉티브]] 소속 차기 데뷔조 [[NEWBEAT]]의 멤버. * [[원영욱]] * [[캐스퍼(댄서)|캐스퍼]] * [[한음(가수)|한음]] * [[타쿠마(LUN8)|타쿠마]] - 보이그룹 [[LUN8]]의 멤버. * [[연시우]] * [[당홍하이]] == 사옥 == [[파일:42FD3C7F-35BE-40F0-AC59-6B4025F7E55B.webp]] 현 성수동 사옥. 지하 3층~지상 10층. --근데 창문수 세려보면 지상 11층인거 같기도-- 2016년 3월 [[성동구]] [[성수동|성수동2가]]로 본사를 이사했다. 체급이 꽤 되는 연예기획사들 중 거의 선두 격으로 강남을 떠났으며, 선두격으로 성동구에 자리를 잡은 회사이기도 하다.[* 이후 [[SM엔터테인먼트|SM]]도 강남을 떠나 성동구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성수동이 특유의 레트로, 힙한 분위기로 젊은층의 핫플레이스로 서서히 떠오르기 시작할 무렵, 리모델링 빌딩에 임차 이전함으로써 업무 효율 극대화를 꾀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전한 후 4년이 지난 2020년, 회사 건물 내부를 자사 소속 개그우먼인 [[박미선]]이 개인 유튜브 '미선임파서블'을 통해 소개하기도 했다.[[https://youtu.be/IyPSDK_Qhd8|#]] 도보로 약 2분 정도 되는 거리에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성수역]]이 있으며, 2호선 특성 상 사옥 바로 앞으로 전철 고가 선로가 지나간다.[* 특히 [[성수지선]] [[신설동역|신설동]] 방향 선로는 인도 하나 사이에 두고 붙어 있는 수준으로 가깝다.] 때문인지 회사에서 자사 아티스트들이 라이브 방송을 켜면 전동차 운행 소음이 굉장히 큰 소리로 들려오는 편이다.[* 특히 2호선 열차들이 운행을 마치고 [[군자차량사업소|군자차량기지]]로 줄줄이 입고하는 야간 시간대에 그 빈도가 심해진다. 그나마 현재는 약간 덜 해진 편인데, 2020년 이전까지 다니던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구형 차량]]들은 소음이 훨씬 심했기 때문.] [[파일:E7E22591-1DEE-4A9A-9A09-3D82BC627E99.jpg]] [[청담동]] 구 사옥(청담동 125-20). 이 시절에는 회사 건물 앞에 수많은 [[사생팬]]들이 죽치고 앉아 있기로 악명이 높았던 [[SM엔터테인먼트|SM]]이나 [[JYP엔터테인먼트|JYP]] 못지않게 사생팬들의 [[지박령]](...)이 심했다. 참고로 당시 JYP 사옥과는 거의 100m 정도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았다. 여담으로 JYP 역시 2018년 6월 강남을 떠나 [[강동구]] [[성내동(강동구)|성내동]]으로 사옥을 이전했다. == 여담 == * 소속 연예인 거의 대부분이 '''본명으로 활동한다.'''[* 아이돌들은 본명에서 성을 뺀 이름으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회사 소속 아이돌들은 펜타곤이 데뷔하기 전까지는 본명에 성까지 포함한 이름을 썼다.] 본인이 원하지 않는 이상, 예명으로 활동하는 것을 권하지 않는 것이 큐브의 방침인 듯하다. 그래도 [[비투비]]가 라디오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일단 예명을 짓고 본명으로 활동할지 예명으로 활동할지 여부를 판단한다고 한다. * [[CUBE TV]]라는 이름으로 소속 연예인이 주로 출연하는 프로그램들을 편성하는 케이블 채널이 있었다. 운영회사는 모회사인 [[iHQ]]다. 그러나 2022년 1분기에 서비스를 종료해 현재는 iHQ Show로 바뀌었다. * 자회사로 일종의 작곡가/프로듀서 소속사인 뮤직큐브가 존재한다. 홍승성 전 대표의 아내인 신정화 씨가 대표로 재직했으며, 설립 초기 각각 4minute, 비스트와 G.NA의 프로듀서를 맡은 [[신사동호랭이]]와 [[김도훈(작곡가)|김도훈]]이 이 회사 출신이다. 다만 김도훈은 2010년 초에 독립했고 신사동호랭이 또한 2011년 말 경 [[로엔엔터테인먼트]] 계열사로 이적했으며, 홍승성 또한 회사를 떠났기 때문에 신정화 대표의 영향력 또한 사라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 데뷔 시기를 [[보이그룹]]과 [[걸그룹]]이 페어를 이루게 짜는 성향이 있어 첫 그룹인 [[비스트(아이돌)|비스트]]와 [[4minute]]을 시작으로 [[Apink]]와 [[비투비]][* 데뷔 전 한정으로 데뷔 시점에서 Apink는 큐브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 격 독립 레이블인 [[에이큐브엔터테인먼트]](현 [[IST엔터테인먼트]])로 분리되었다.], [[CLC]]와 [[펜타곤(아이돌)|펜타곤]]까지 이어졌다. 이렇게 페어를 이룬 그룹은 뮤직비디오에 서로 출연하거나 음악 방송 또는 [[UNITED CUBE]] 콘서트 무대에서 합동 공연을 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펜타곤 [[던(가수)|이던]]이 [[현아]]와 연애 사실을 인정한 것을 시작으로 열애 기사가 줄줄이 터지면서 팬들에게는 [[사내 연애]]의 온상이라는 이미지만 강해졌다. 그래서인지 예외로 [[(여자)아이들]]은 보이그룹 페어가 따로 존재하지 않으며 [[LIGHTSUM]]은 가장 최근에 데뷔했기 때문에 차기 그룹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이 높다. * [[비투비]] 이후 태국, 대만, 홍콩 등 여러 나라에서 큐브 글로벌 오디션을 통해 외국 국적의 아이돌을 발탁하고 있다. 글로벌 오디션을 통해 큐브에 입사한 대표적인 예가 [[CLC]] [[엘키]][* [[CLC]]의 [[SORN]]도 [[태국]] 출신이기는 하나, 아시아 K팝 스타 헌트 시즌1 우승 이후 큐브와 계약을 맺었다.], [[펜타곤(아이돌)|펜타곤]] [[옌안(펜타곤)|옌안]]/[[유토(펜타곤)|유토]], [[Wanna One]] [[라이관린]], [[(여자)아이들]] [[민니]]/[[슈화]], [[LIGHTSUM]]의 [[히나(LIGHTSUM)|히나]]. * [[보나]], [[소유(가수)|소유]], [[김다솜|다솜]], [[장소진|소이]], [[애슐리(레이디스 코드)|애슐리]], [[유주]][* 큐브에 잠시 있었을 때 [[육성재]]와 같이 연습하면서 알았다고 한다.], [[송하예]], [[승훈]], [[연준(투모로우바이투게더)|연준]], [[성민(ONE PACT)|제롬]], [[수빈(배우)|정수빈]], [[세림]], [[채정]], [[이진우(GHOST9)|이진우]], [[나현(프림로즈)|나현]], [[용훈]], [[성한빈]], [[석매튜]], [[윤민(2000)|윤민]], [[전지우]], [[이지한]], [[리재]], [[최석원(1996)|탄]], [[해리(P.O.P)|해리]], [[휴닝바히에]], [[박한빈(EVNNE)|박한빈]] 등이 큐브에서 잠시 [[연습생]]으로 있었다. 그 외에 에이큐브 시절에 에이큐브 연습생들[* 남자 연습생들의 경우 대부분 플랜에이(현. 플레이엠)로 옮겨서 [[VICTON|빅톤]] 멤버로 데뷔하였다. [[한승우]]도 여기에 해당된다.]도 큐브엔터테인먼트[* [[성수동]]으로 이전하기 전이었다.] 연습실을 사용했었다. * 소속 외국인 아티스트들의 경우 연습생 경력이 대체적으로 짧았음에도 불구하고, 데뷔 때부터 뛰어난 한국어 실력을 보여줬다. 각종 예능에서도 소통에 무리가 거의 없다시피할 정도다. 더불어 몇몇 아티스트[* [[우기((여자)아이들)|우기]], [[민니]], [[엘키]], [[SORN|손]], [[라이관린]] 등]는 모국어와 한국어 외에도 제3의 언어도 상당한 수준으로 구사한다. 우스갯소리로 소속사가 '''큐브 어학당'''이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 다만 이 때문인지 [[(여자)아이들|되려 한국인 멤버들이 외국인처럼 보인다는 부작용이 있다고 한다.]] * 2015년 이후에는 소속 걸그룹에는 꼭 [[태국]]인 멤버를 한명씩 넣는다. [[CLC]]의 [[SORN|손]]과 [[(여자)아이들]]의 [[민니]]. 다만 [[LIGHTSUM]]에는 태국 대신 일본인 멤버 [[히나(LIGHTSUM)|히나]]가 포함되며 이 관례가 깨졌다. * [[서바이벌 프로그램|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에는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플레디스]], [[스타쉽엔터테인먼트|스타쉽]]과 함께 [[프로듀스 101 시리즈]]에 3시즌 연속으로 출전했고, 이외에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 더 유닛|더유닛]]과 [[언더나인틴]]에도 참가했으나, [[믹스나인]]과 [[프로듀스 X 101]]에는 불참했다.[* 믹스나인의 경우 큐브가 프듀1에서 데뷔 멤버를 한 명도 배출하지 못한 것이 [[한동철]]과의 악연이 되어 불참한 것으로 추정되며, 프듀X의 경우 [[SHOW ME THE MONEY 6|쇼미더머니6]] 출신의 [[조우찬]]이 나간다는 소문이 돌았으나, 큐브가 아예 불참하면서 그저 소문으로 남게 되었다. [[언더나인틴]]에 나선 [[이종원(2004)|이종원]]도 프듀X에 불참했고, 결국 큐브와 결별했다. 다만 [[조우찬]]은 2020년 1월 19일까지 야간활동 제한에 걸리는 입장이라, 프듀X에 출전하기가 곤란하다. 당장 [[프로듀스 X 101]] 참가자들 및 [[X1]] 멤버들 중에서 최연소자는 2019년 내 야간활동 제한이 풀리는 2004년생들이며, [[조우찬]]은 얼마 후 큐브와 결별했다.] * [[프로듀스 101]] [[전소연]], [[권은빈]], 이윤서 3명이 출전했으나, 마지막으로 살아남은 [[전소연]]이 최종 20위로 밀려 단 1명도 합격자를 내지 못하고 마감했다. 이윤서는 2차 순발식에서 탈락한 후 2017년에 소리소문없이 큐브와 결별했으며, 권은빈은 [[프로듀스 101/논란 및 사건 사고|CLC 중도 합류 오피셜이 뜨면서 투명인간 취급당한 끝에 파이널 진출에 실패했다]]. 그나마 전소연이 [[언프리티 랩스타 3]]에 참가하고 솔로 싱글 2곡을 발매한 후, 메인래퍼+리더로 [[(여자)아이들]]에 합류해서 맹활약하고 있다. * [[프로듀스 101 시즌2]] [[라이관린]], [[유선호]]가 출전해 둘 다 파이널까지 갔고 이 중 라이관린이 7위로 [[Wanna One]] 멤버로 선발되며 프듀 시리즈 첫 승을 올렸다. 허나 2020년 11월 18일에 열린 [[프로듀스 101 시리즈 투표 조작 사건]] 항소심 공판에서 파이널 투표 당시 [[백호(가수)|강동호]]의 순위가 조작된 점이 확인되면서 의미가 퇴색됐다. 다만 조작 사건 당시 큐브는 조사 대상 기획사에 포함되지 않았기에 그나마 다행인 셈. 그리고 라이관린은 2021년 6월 큐브와 결별했다. *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 더 유닛]] '''안타깝게도 이번 프로그램에서는 최악의 삽질을 저지르고 말았다.''' 소제목에 들어간 리부팅이라는 단어를 제대로 해석하지 못했는지, [[CLC]]도 [[펜타곤(아이돌)|펜타곤]]도 아닌 '''아직 데뷔조차 안한 [[연습생]] [[주현(LIGHTSUM)|이주현]]을 내보낸 것이다.''' [[주현(LIGHTSUM)|이주현]]은 뛰어난 댄스 실력으로 주목받았지만, 프로그램 취지에 맞지 않는 참가자라는 이유로 프로그램 내내 비판을 받으며 주목도에 비해 지지표를 많이 얻지 못해 3차 순발식에서 최종 25위로 밀려 파이널 진출에 실패했다. 그나마 상술한 전소연, 권은빈처럼 음원도 냈고, 여기에 KBS 연기대상에서 프로 타이틀곡의 댄스 브레이크 파트를 책임지며 이름을 알린 것이 위안거리. 그리고 이주현은 2021년 6월 [[LIGHTSUM]]으로 데뷔하게 되었다. * [[프로듀스 48]] 1년 10개월차 [[연습생]] [[초원(LIGHTSUM)|한초원]]이 [[프로듀스 48]]에 단독으로 나서 중간 순위가 데뷔조 순위에 드는 등 큰 활약을 하였으나, 결국 파이널에서 2분할 끝에 13위로 마감했다. 그런데 2020년 11월 18일 열린 [[프로듀스 101 시리즈 투표 조작 사건]] 항소심 공판에서 한초원의 실제 순위가 6위였음이 알려졌다. 완벽히 눈 뜨고 코 베인 격이 된 셈. 그리고 한초원은 2021년 6월 상술한 이주현과 함께 [[LIGHTSUM]]으로 데뷔하게 되었다. * [[언더나인틴]] 프로그램 자체가 [[믹스나인|사기극]]을 빼면 흥행이 가장 처참한데, 여기에 [[이종원(2004)|이종원]]이 퍼포먼스 파트로 출격했다. [[이종원(2004)|이종원]]은 [[언더나인틴]] 파이널에 진출했으나 [[원더나인|최종 데뷔조]] 입성에 실패했으며, 언더나인틴을 마감한 후 조용히 큐브와 결별했다. * [[걸스플래닛999 : 소녀대전]] [[CLC]]의 팀 활동 계획이 더 이상 없을 것임을 들은 [[최유진]]은 걸스플래닛에 참가했고 최종 3위라는 높은 순위로 데뷔조인 [[Kep1er]]에 선발되었다. * [[보이즈플래닛]] [[펜타곤(아이돌)|펜타곤]] 멤버 [[후이]]가 재데뷔에 도전하기 위해 본명인 이회택으로 보이즈플래닛에 참가했다. 방송 초부터 지나치게 많은 분량을 가져가며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보였으나 이에 대해서는 나이 많은 참가자가 다른 어린 연습생들의 데뷔 기회를 빼앗으려 한다는 비판 의견이 존재했다. 그럼에도 파이널까지는 진출했으나 끝내 최종 데뷔조에는 들지 못하고 큐브로 돌아왔다. * [[퀸덤 퍼즐]] [[LIGHTSUM]] 멤버 [[상아(LIGHTSUM)|상아]]가 참가했으나 3라운드에서 22위로 탈락하여 세미파이널 진출에 실패했다. * 본사가 있는 건물 1층에 20SPACE라는 이름의 카페를 운영했'''었'''다.[* 팬들은 큐브카페, 큡카라고 불렀었다.] 20SPACE 시절에는 일반적인 음료는 물론 소속 아티스트들의 이름을 딴 음료, 때에 따라서는 굿즈도 판매하며 카페 한 쪽에는 소속 가수들의 앨범과 굿즈가 전시되어 있었고 가끔은 카페를 대관하여 팬미팅, 팬사인회 같은 이벤트를 열기도 했었다. * 그러다가 2020년 6월에 임시 휴업을 했고 2개월 뒤인 8월 19일에 '큐베이커'라는 이름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 인테리어는 이전보다 더 세련되게 바뀌었고 빵 메뉴가 추가되었으며 기존의 아티스트 관련 메뉴는 음료 종류에서 빵 종류로 바뀌었다.[* [[https://www.instagram.com/p/CEn01Lsj87O/|대표적인 예시]]] 아티스트 관련 굿즈는 이전처럼 한쪽에 전시되어 있으며 판매도 한다고 한다. [[https://www.instagram.com/cubaker_cube/|공식 인스타그램]] * 2022년 3월 31일부로 휴업에 들어간 뒤 2022년 10월 17일 '플럼프'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다시 오픈했다. [[https://instagram.com/plump_seoul/|공식 인스타그램]] * 큐브 1호 아이돌인 [[포미닛]]과 [[비스트(아이돌)|비스트]]부터, 막내그룹 [[LIGHTSUM]]에 이르기까지 큐브에서 데뷔한 아이돌은 그룹이든 솔로든 대개 탈퇴 멤버가 있거나 안 좋은 사건에 휘말리거나 좋지 않은 결말이 있었다. 모든 그룹/솔로가 실력이나 인기는 좋았지만 대체로 회사와의 트러블 혹은 개인적 문제로 인한 결과였다. * [[비스트(아이돌)|비스트]]는 [[장현승]]이 개인 사생활 및 태도 문제로 인해 탈퇴했고 이후 나머지 멤버들 전원이 재계약을 하지 않고 회사를 떠났는데 큐브는 비스트라는 그룹명에 상표권을 걸어 멤버들은 원 그룹명을 사용하지 못하고 [[하이라이트(아이돌)|하이라이트]]라는 이름으로 팀명을 변경하여 재데뷔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큐브는 장현승과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연습생 2명이 비스트로 활동할 것이라고 밝혔다가 장현승이 이에 반발하고 논란이 이어지자 슬그머니 접었다. * [[4minute]]은 [[현아]]를 제외한 멤버 전원이 재계약하지 않으며 자연히 해체했고 SNS에서도 전원 현아를 언팔했으며, 남아있던 현아도 [[던(가수)|이던]]과의 연애사건 이후 신뢰 관계가 깨졌다는 이유로 계약해지되었다. * 솔로가수 [[G.NA]]는 큐브와의 계약 만료 후 미국 원정 성매매 사건에 연루된 사실이 드러난 데다 실형을 선고 받고 더 이상 항소하지 않았음에도 뒤늦게 이를 루머라고 주장하면서 연예계에 복귀하지 못하고 있다. 성범죄에 민감한 대한민국 연예계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복귀할 가능성은 없다. * [[비투비]]는 [[정일훈]]이 마약 사건으로 인해 탈퇴했다. * [[펜타곤(아이돌)|펜타곤]]은 이던이 현아와의 [[사내 연애]] 사건으로 탈퇴 및 계약 해지되었다. * [[CLC]]는 [[엘키]]가 소속사와 정산 문제로 탈퇴 및 계약 해지했고 엘키는 이후 친중국적 정치 성향을 드러내며 탈퇴 당시 있었던 옹호 분위기가 사라진 상태다. 뒤이어 [[SORN]]도 계약 해지 후 탈퇴했다. 둘의 탈퇴 이후 CLC는 팀 활동이 사실상 전무하다가 2022년 6월 6일에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 [[라이관린]]은 큐브와의 계약을 해지하고 대만으로 돌아간 이후 친중 행보를 보이면서 더 이상 그의 한국 활동을 기대하기는 어렵게 되었다. * [[(여자)아이들]]은 [[수진]]의 [[수진 학교폭력 가해 논란|학교폭력 가해 논란]] 이후 수진 개인과 그룹의 활동이 멈춰있는 상태에다 사건의 장기화로 그룹 이미지가 나날이 악화되던 가운데 뒤늦게 수진이 탈퇴하고 나중에 계약 해지되었다. 그나마 5인조 재편 후 컴백한 [[I NEVER DIE|앨범]]으로 음원, 음반 모두 커리어 하이를 세우며 반등에 성공하긴 했지만. * [[LIGHTSUM]]은 [[오휘연|휘연]]과 [[김지안(2006)|지안]]이 2022년 9월부터 보이지 않더니 10월에 탈퇴 처리 및 계약 해지되었다. * 그룹 활동을 우선시하는 일반적인 소속사들에 비해 개인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편이다. 그래서 기본적으로는 그룹에 소속된 아티스트들이라고 해도 소속된 그룹에 얽매이지 않고 연기, 뮤지컬, 라디오 등 다양한 컨텐츠에 도전하고 있다. 솔로 앨범도 마찬가지로 관대한 편이어서 비투비 멤버들은 군 입대 전 소속사에서 솔로 앨범과 콘서트를 해보라고 제안을 했었다고 밝혔다. 다만 아티스트의 이미지와 어울리지 않다고 판단되면 회사 선에서 먼저 거절하는 경우가 있는지 [[아는 형님]]에선 [[강호동]]이 PD가 큐브엔터테인먼트에 연락해 육성재를 섭외하려 했지만 "배우 이미지 때문에 불가능하다."라며 거절당했다고 이야기했다. * 아티스트가 자체 프로듀싱을 할 능력이 되고 수익을 올린다면 하고 싶은 콘텐츠나 앨범 콘셉트를 아티스트가 자료를 직접 정리해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전체적인 기획을 주도한다. (여자)아이들의 [[전소연]]은 [[나 혼자 산다]]에서 앨범에 대한 회의를 열었으며 펜타곤 [[키노(펜타곤)|키노]]도 [[https://youtu.be/zrfRzwPfgEM?t=1430|비하인드]]에서 솔로 앨범 기획안을 발표하는 모습이 나왔다. 반면 그렇지 않다면 지원이 미흡해 [[현아]]가 [[트리플 H(가수)|트리플 H]] 활동시기에 방송에서 대놓고 서운하다고 했으며 [[최유진]]은 더 이상의 [[CLC]] 활동은 없다는 이야기를 듣고 [[걸스플래닛999 : 소녀대전]]에 나오게 되었다고 인터뷰했다. 또한 경영권 분쟁 이후 콘텐츠 제작이나 홍보 방식이 이전에 비해 트렌드에 뒤떨어져 비투비는 [[뛰뛰빵빵]]으로 인기를 얻긴 했지만 본격적으로 인지도를 올리게 된 것은 본인들이 원했던 발라드 앨범이며 (여자)아이들의 경우 데뷔 전 회사에서 제시한 콘셉트가 본인들과 맞지 않아서 데뷔 앨범부터 제작을 주도했다. * 원래는 그룹들의 데뷔 간격이 3~4년 간격으로 아무리 길어도 5년을 넘기지 않았으나,[* 비투비(2012) → 펜타곤(2016), CLC(2015) → (여자)아이들(2018) → LIGHTSUM(2021) → 신규 걸그룹(2023)] 걸그룹은 이 주기를 지키면서 꾸준히 데뷔하는 반면, 보이그룹은 펜타곤이 2016년에 데뷔한 후 후속 그룹이 계속 나오지 않고 있다. 과거 큐브 소속이었다가 일본으로 돌아가 [[PRODUCE 101 JAPAN SEASON2]]에 출연해 [[INI]]의 멤버로 데뷔한 [[타지마 쇼고]]의 인터뷰에 따르면 대표가 바뀌며 데뷔 후보였던 그룹의 멤버를 재편하게 되었다고 하는데, 이 과정에서 퇴사한 연습생들이 다수 있어서 인재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홍승성이 SNS에다가 대놓고 큐브를 떠나겠다고 선언한 뒤 본인이 직접 [[S2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면서 완전히 독립한 것, [[후이]]가 사회복무요원 소집 해제 후 팀에 돌아왔을 때 "상황이 많이 변해 있더라고요. 저희가 원하는 분들과 일하는 것조차 힘들어져 있더라고요. 거절을 그렇게 많이 당해 본 적이 처음인 것 같아요"라고 [[보이즈플래닛]]에서 언급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성한빈]], [[석매튜]], [[윤민(2000)|윤민]][* 이들은 펜타곤 멤버들과 연배가 전혀 겹치지 않기 때문에 큐브에 잔류했다면 차기 보이그룹으로 데뷔했을 가능성이 꽤 있었다.] 등 큐브에서 퇴사한 후 다른 오디션에 지원한 연습생들이 다수 있는 것을 보면 물갈이가 상당한 규모로 진행됐던 것으로 보인다. 2023년 IP 발표를 통해 새로운 보이그룹의 데뷔를 예고했지만, 그동안 소속 남자 연습생들의 행보를 보면 사실상 연기자로 전향한 [[유선호]][* 유선호도 [[봄, 선호|솔로 음반]]을 발매한 이력이 있긴 있으나 이후에는 추가 음반 없이 연기에 전념하고 있으며, 이미 연기자로서도 준수한 커리어를 쌓아온 것은 물론 [[1박 2일]],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 등 각종 유명 예능에도 고정과 게스트를 막론하고 자주 출연하며 예능 대세로도 입지를 굳히고 있던 상황에서 그동안의 커리어를 전부 뒤로 하고 신규 보이그룹으로 재데뷔를 준비하는 것은 유선호 본인에게도 큐브에게도 리스크가 큰 시도이다.], [[언더나인틴]] 출연 후 큐브와 결별한 것으로 추정되는 [[이종원(2004)|이종원]][* 아이돌 연습생들은 사생활 관리 차원에서 개인 SNS 사용을 암묵적으로 금지하고 있는데, 이종원은 2023년에 개인 인스타그램을 개설한 것으로 보아 큐브에서 퇴사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Wanna One]] 활동이 끝난 후 큐브를 떠나 고국 대만으로 돌아간 [[라이관린]][* 게다가 라이관린은 큐브와 결별한 후 친중 행보를 보이는 바람에, 국내 팬덤에서의 인식도 나빠졌다.] 등 이미 얼굴이 알려진 연습생들은 진로를 바꿨거나 큐브를 떠났기 때문에 데뷔하더라도 완전히 새로운 얼굴들로 구성될 것으로 추정된다. 그나마 유력한 멤버를 꼽아 본다면 [[보이즈플래닛]]에 출연한 [[박도하(배우)|박도하]]나 [[쏘스뮤직]] 소속으로 [[프로듀스 X 101]]에 출연했다가 [[WM엔터테인먼트]]를 거쳐 큐브에 연습생으로 입사한 것으로 알려진 [[김현빈(2002)|김현빈]]이 포함될 수 있다. == [[/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큐브엔터테인먼트/논란 및 사건 사고)] == 관련 기업 == * [[JYP엔터테인먼트]]: 초창기 몇년간 밀접했던 기획사다. 초대 회장이었던 홍승성이 매니저 커리어를 시작한 회사였으며, 설립 극초기에는 제휴 관계도 있어 [[2AM]]의 매니지먼트를 맡기도 했으나 수뇌부 갈등으로 2009년 초 완전히 갈라선다. * [[플랜에이엔터테인먼트]]: 2011년에 설립된 에이큐브엔터테인먼트는 큐브엔터와 별개의 독립된 회사였지만, 동일한 한 몸처럼 경영되었다. 현재는 [[카카오M|로엔]]으로 매각되어서 2016년 3월 플랜에이엔터테인먼트로 회사명이 변경되었다. 에이큐브 소속의 [[허각]]이나 [[Apink|에이핑크]]가 [[음악 방송]] 1위를 했을 때는 1위 소감으로 큐브의 홍승성 대표에게 감사 인사를 하고, 그 반대로 큐브 소속 가수들이 1위를 했을 때 1위 소감으로 에이큐브의 최진호 대표에게 감사의 인사를 하는 경우도 많았다. 에이큐브 소속의 에이핑크 매니저였던 '쿵푸팬더'라는 별명의 매니저는 큐브 소속이었던 [[G.NA|지나]]의 매니저로 옮겨 가 있는 등, 직원들의 교류도 많은 편이었다. 2019년 4월 1일 [[페이브엔터테인먼트|페이브]]와 합병하여 [[플레이엠엔터테인먼트]]라는 통합 신 법인으로 출범했으며, 존속 법인은 플랜에이로 했다. * 뮤직큐브: 퍼플리싱 및 프로듀싱 관련 대행 회사다. * [[iHQ]]: 큐브엔터테인먼트의 이전 지배회사다. 2013년 9월 [[iHQ]](舊 싸이더스HQ)가 큐브 지분의 50.01%를 인수함으로서 자회사로 편입되었으며, 2014년 8월 자회사였던 큐브DC를 흡수합병했다. 2020년 브이티지엠피에 지분을 넘겼다. * T엔터테인먼트(一起娱乐): 큐브와 협력하여 중국 국적 아티스트의 중국 활동을 관리하는 소속사. 예전엔 Hot Idol(好好榜樣)란 소속사가 맡고 있었지만 핫아이돌 소속 아티스트가 거의 다 T엔터테인먼트에 이적했다. 큐브와는 따로 분리된 독립법인이므로 큐브와의 계약이 끊긴 아티스트는 T엔터테인먼트와의 계약이 남아있으면 T엔터테인먼트 전속 아티스트가 된다. * 브이티지엠피: 2020년 기준 큐브의 지배회사다. iHQ로부터 지분을 인수하였고, 서태지컴퍼니 출신 안우형 등 브이티지엠피 출신 인물들이 대거 큐브의 임원으로 임명되었다. [[분류:큐브엔터테인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