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큉글롱곱테루스}}}[br]Qinglongopteru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Qinglongopterus_guoi_2_55cb.jpg|width=100%]]}}} || ||<#F93> '''학명''' || ''' ''Qinglongopterus guoi'' '''[br]Lü ''et al''., 2012 || ||<-2><#F96> '''분류''' || ||<#FC6> [[생물 분류 단계#s-3.2|{{{#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FC6> [[생물 분류 단계#s-3.3|{{{#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FC6> {{{#000 '''미분류'''}}} ||[[석형류]](Sauropsida)|| ||<#FC6> [[생물 분류 단계#s-3.5|{{{#000 '''목'''}}}]] ||†익룡목(Pterosauria)|| ||<#FC6> {{{#000 '''미분류'''}}} ||†브레비콰르토사(Breviquartossa)|| ||<#FC6> [[생물 분류 단계#s-3.6|{{{#000 '''과'''}}}]] ||†람포링쿠스과(Rhamphorhynchidae)|| ||<#FC6> {{{#000 '''아과'''}}} ||†람포링쿠스아과(Rhamphorhynchinae)|| ||<#FC6> [[생물 분류 단계#s-3.8|{{{#000 '''속'''}}}]] ||†큉글롱곱테루스속(''Qinglongopterus'')|| ||<-2><#F96> '''[[생물 분류 단계#s-3.9|{{{#000 '''종'''}}}]]''' || ||<-2>†큉글롱곱테루스 구오이(''Q. guoi'')^^{{{-1 ([[모식종]]}}}^^||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umblr_np9rvdcmih1tst46wo1_r1_1280.jpg|width=100%]]}}} || || 현생 [[굴뚝새]]와 함께 그려진 복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생대]] [[쥐라기]] 중기 [[중국]]에 살았던 [[람포링쿠스]]류 [[익룡]]이다. == 참고사항 == 속명은 '[[청룡]](靑龍)의 날개'라는 뜻인데, 큉글롱곱테루스의 유일한 화석이 발견된 중국 [[허베이성]] 칭룽(青龙/靑龍) [[만주족|만족]] 자치현의 지명을 따오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2012년 학계에 처음으로 보고됐을 때, 중국 허베이성의 티아오지샨(髫髻山) 층(Tiaojishan Formation)에서 화석화 과정에서 받은 압력으로 다소 으스러지기는 했지만, 대부분의 골격이 보존된 것은 물론이고 [[피크노섬유]] 등의 연조직 일부까지 확인될 정도로 상태가 양호한 모식표본이 발견된 채로 알려졌다.[* 다만 꼬리 끝부분의 경우는 해당 개체가 화석화될 때 없어진 것이 아니라 발굴 과정에서 소실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이 녀석을 처음으로 소개한 연구자들은 곧게 뻗은 길쭉한 꼬리와 짧은 목, 그리고 첫번째 날개손가락뼈의 길이가 [[정강뼈]] 대비 2배 가량 되고 총 날개 길이는 뒷다리 전체 길이의 4배에 달하는 등 전체적인 골격 형태와 비율이 람포링쿠스와 흡사하다는 이유로 람포링쿠스과의 일원으로 분류하였다. 현재는 람포링쿠스아과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일각에서는 그 중에서도 [[앙구스티나립테루스]]나 [[세리킵테루스]] 등을 포함하는 하위 분류군인 앙구스티나립테루스족(Angustinaripterini)의 일원일 수도 있다는 추측을 제기하기도 한다. || [[파일:qinglongopterus.jpg|width=500]] || || 인간과의 크기 비교도 || 날개폭이 35cm인 익룡이었으며, 가늘고 긴 이빨이 달린 [[두개골]]의 길이가 짧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마찬가지로 짤막한 두개골을 가진 [[벨루브룬누스]]의 경우 매우 어린 개체의 화석이었다고 밝혀졌기 때문에 다 자란 상태에서는 두개골이 얼마나 더 커졌을지 또는 어떤 형태로 변했을지 등이 아직 불분명한데 반해, 이 녀석의 경우 모식표본에 해당하는 개체가 아성체로 추정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성체의 두개골 역시 크기나 형태 측면에서 별반 차이가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 [[분류:고생물]][[분류:람포링쿠스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