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여자)아이들의 미니 6집 타이틀 곡, rd1=I feel, anchor1=퀸카 (Queencard))] [목차] == 개요 == 여왕이라는 뜻인 'Queen'과 카드를 뜻하는 'Card'가 합쳐 만들어진 한 단어로, 2000년대 초에 학교에서 잘 나가는 여학생을 가리키던 [[은어(언어학)|은어]]이다. 남자는 '킹카'라고 했었다. [[아찔한 소개팅]]에서 킹카/퀸카로 참가자들을 지칭한 것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2010년도를 넘어서는 잘 쓰지 않는 말이 되었다. 인싸녀, 여우, 존예녀 등 다른 단어로 대체되었다. 10년대 후반을 넘어 Kpop [[아이돌]]. 그 중에서도 여자 아이돌 그룹들이 약진하기 시작하면서 다시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특이한 사례의 어휘. 당연히 [[콩글리시]]이다. 외국에선 [[퀸 비]]([[여왕벌(속어)|여왕벌]][* 다만 대한민국에서 여왕벌은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완벽하게 대체하지는 못한다.])가 많이 쓰이고, Queen Card라고 검색하면 진짜 카드밖에 안나온다. 그러나 영미권에서 Face Card 등 Card가 Pass를 뜻하는 은어가 되면서 우연히도 후천적으로 뜻이 통하게 된 단어. 유래는 1970년대 미팅 용어이다.[[https://m.etoday.co.kr/view.php?idxno=1101083|#]] 1970년대 미팅에서 '킹카', '에이스카' 등의 은어가 사용되었다. 2000년대엔 미팅 은어가 아니라 학교에서 잘나가는 학생이란 뜻으로 바뀌어 쓰였다. 2023년 걸그룹 [[(여자)아이들]]이 노래 제목으로 사용하면서 해당 단어의 사용이 급증하였으며, 이 단어가 원래 존재했는지 여부를 두고 세대 차이를 나누는 해프닝이 생기기도 하였다. == 기타 == * 박명수가 2행시로 ~~역시 박명수다운~~ ‘[[팽현숙|'''펭'''현숙]] '''귄'''카’라는 어록을 남겨 팽현숙은 귄카라는 별명이 생겼다. 실제로 팽현숙의 젊은 시절 모습을 보면 퀸카라는 말이 적합한 미모의 소유자이다. == 관련 개념 == *[[뻥카]]: 뻥 + card. * [[알파(동물행동학)]]: 속칭 '알파 메일'. * [[여왕벌(속어)|여왕벌]] *킹카: King + card. [[분류:인물 속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