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W_Kubelwagen_Type_82_(1943)_(owner_Reggie_Corpson)_pic1.jpg|width=100%]]}}} || || '''VW Type 82 "Kübelwagen" / Kübelwagen, Kübelsitzwagen (VW Typ 82)'''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kK2-ZJ0m5g)]}}} || || '''퀴벨바겐 주행 영상''' || [[나치 독일]]이 생산한 최초의 [[소형전술차량|다목적 차량]]. 1934년 4월에 [[아돌프 히틀러]]가 [[독일 국방군]]이 사용할 군용차량을 [[페르디난트 포르쉐]]에게 요구하였고, 이에 [[포르쉐]]에서 싼 값에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차량을 만든 것이 퀴벨바겐이다. 사실 퀴벨바겐이라는 [[독일어]] 단어는 본래 '[[욕조]]형 좌석' 즉 '버킷 시트'를 가진 차량들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었다. 또한 호르히 901이나 [[메르세데스-벤츠 G5]] 등 당시의 독일제 군용 승용차를 뜻하는 단어로도 많이 쓰이던 말이기도 했으나, 오늘날에는 본 문서에서 설명하고 있는 [[폭스바겐]]의 Type 82를 칭하는 단어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 제원 == ||설계 시기: 1939년 사용기간: 1940년-1945년 생산시기: 1940년-1945년 총 생산량: 50435대 무게: 1.175t 길이: 3.74m 폭: 1.6m 높이: 1.11m(지붕 씌울시1.65m) 승무원: 4명 장갑: 없음 무장: 7.92mm [[MG34]]/ MG42 기관총1정(정찰용때나 쓰였다.) 엔진: V-4 VW 복서 985cc 가솔린엔진(혹은 V-4 VW 복서 1131cc 가솔린엔진) 마력: 22마력(V-4 VW 복서 1131cc 가솔린엔진 일시 25마력) 출력/중량: 21.3 PS/t 구동방식: [[RR(자동차)|RR]] 속도: 84km 항속거리: 450km|| == 상세 == 퀴벨바겐의 개발은 [[나치 독일]] 정부에서 오늘날의 [[폭스바겐 비틀]]의 선조가 되는 민수용 [[승용차]]인 [[폭스바겐 비틀#s-3.1|Type 1 비틀]]의 설계와 기술을 응용한 군용 차량의 개발을 요구했던 것에서 출발했다. [[1938년]] 1월에 기본 설계를 마친 뒤 11월에 VW Type62라는 시제품을 내놓았는데,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이후 나치 독일 정부에서는 차량을 좀 더 개량할 것을 요구했다.[* 최하속도를 4~8km로 맞춰 군대와 함깨 행진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비포장 도로 주행성능을 끌어올릴 것을 요구하였다.] 이 2가지 요구에 맞추기 위해 차축장비였던 기어 감소중축 장비를 채용함과 동시에 바퀴의 크기를 41cm로 교정, 최종적으로 Type82 퀴벨바겐이 완성되었다. [[1940년]] 2월부터 본격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하여 [[1945년]]까지 생산되었다. 생산 도중에 불필요한 부품을 제거하거나 다른 엔진을 장착하는 등[* [[1943년]] 3월 이후 생산품은 VW 복서 1131cc 엔진을 장착했다.] 자잘한 마이너 체인지를 거쳤으나, 외형상으로 큰 변화는 없었다. 파생형 중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슈빔바겐]]이다. 그 뿌리가 Type 1 비틀이었기 때문에, Type 1 비틀과 마찬가지로 퀴벨바겐 역시 구동방식은 RR이 되고 있었다. 하지만 최저지상고를 높게 설계하는 등 오프로드 주행을 의식한 설계를 채용한 덕분에, 퀴벨바겐은 구동방식이 RR인 것치고는 지형적응력이나 험지주파력이 당시로서는 꽤 높은 차량이 될 수 있었다. 또한 [[냉각수]]나 [[라디에이터]]가 불필요한 공랭 엔진을 가지고 있었기에 무더운 [[사막]]에서 사용하기도 편했고, [[부동액]] 역시 필요하지 않았기에 한랭지에서의 운용도 편했다고 한다. 다양한 환경에서 편리한 운용이 가능했고, 여러 조건에서도 높은 내구성을 발휘했기에 아프리카 전선에서도 동부전선에서도 똑같이 취급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렇듯 실용성이 높은 차량이었기에 퀴벨바겐은 [[사이드카]]와 [[군마]]에 많이 의존하던 당시의 [[독일 국방군]]에게는 실용적인 다목적 차량으로서 환영받았다.[* 다만 생산량이 충분치 못 했던 덕에, 퀴벨바겐의 등장 이후에도 독일군은 사이드카나 군마에 계속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다만 실용성이 높고 내구성도 양호했던 것과는 별개로, 그 뿌리가 뿌리였던 탓에 군용 차량으로서는 작고 가벼운 편이었으며 구동방식의 한계도 떠안고 있었기에 성능상으로는 역시 많은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자면 [[RR(자동차)|RR]] 구동방식의 한계로 인해서 견인력은 그다지 좋지 못했는데, 소형 [[대전차포]]의 견인조차도 할 수 없었다고 전해진다. 또한 앞서 말한 대로 지형적응력이나 험지주파력이 높아 오프로드 주행에도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었기는 하지만, 이 역시 [[미군]]의 [[윌리스 MB]] [[지프]]와 같은 본격적인 [[4WD]] 차량에 비할 만한 정도는 아니었다. 미군의 지프와 비교하자면 어떤 의미로는 과도기적인 차량이었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 때문에, 병사들은 엔진 출력이 더 높았던 [[슈빔바겐]]을 더 선호했다.] == 기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iijeepparts.com/JeepKubelwagen.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ontpon-Ménestérol,_exposition_musée_1939-1945_(08).jpg|width=100%]]}}} || || '''윌리스 MB와 퀴벨바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6sG4AiwuaY)]}}} || || '''윌리스 MB와 퀴벨바겐 비교 영상''' || 퀴벨바겐과 [[윌리스 MB]] 지프간의 직접적 연관성은 없지만 가끔 두 차량을 비교하는 글이 나오곤 하는데, 디자인에 대해서는 자동차로서 좀 더 그럴 듯하고 평범한 생김새를 가진 퀴벨바겐을 선호하는 쪽도 있지만, 성능에 있어서는 윌리스 MB가 퀴벨바겐보다 훨씬 우월했으며 실용성 역시 윌리스 MB 쪽이 보다 우수했다. 사실 지프는 그 성능 만큼 양산도 많이 되었고 일반인들에게도 친숙하므로 인지도나 후속차량 면에서도 비교하기 많이 힘들다. 이는 근본적으로 체급과 구동방식의 차이가 있었기 때문으로, 퀴벨바겐은 상대적으로 덩치가 약간 작았고 구동방식도 [[4WD]]가 아닌 RR이었기에 윌리스 MB보다는 성능상으로 뒤질 수밖에 없었다. 애초에 퀴벨바겐의 뿌리가 [[폭스바겐 비틀#s-2.1|Type 1 비틀]]이었음을 생각하면 이건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최저지상고를 높게 설계하는 등 오프로드 주행을 의식한 설계를 채용한 덕분에 구동방식이 [[RR(자동차)|RR]]인 것치고는 퀴벨바겐도 지형적응력이나 험지주파력이 당시로서는 꽤 높았었지만, 역시 [[4WD]] 구동방식을 채용한 [[윌리스 MB]]의 그것에 비교하기는 무리였다.[* 윌리스 MB는 본래 온로드 차량으로 설계되었기에 사실 오프로드에서 달리기에는 전고가 너무 높고 차륜의 폭도 좁아서, 험로에서의 안전성이나 주행성능이 저하되기 쉽다는 결함을 가지고 있었다. 다만 안정성을 높이기 쉬운 4WD 구동방식을 채용했기에, 설계상의 단점을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었던 것이다. 설계상으로는 나름대로 오프로드 주행을 의식하고 있었으나 구동방식의 한계를 안고 있었던 퀴벨바겐과는 반대되는 사례.] 뿐만 아니라 퀴벨바겐은 4WD가 아니었던 탓에, 상기한 대로 소형 [[대전차포]]의 견인조차도 할 수 없었던 등 견인력도 윌리스 MB에 비해서는 뒤졌다.[* 윌리스 MB의 경우는 [[M3 37mm 대전차포|37mm 대전차포]] 정도는 견인 정도가 아니라 아예 [[기관총]] [[마운트]]에 설치도 가능했다.] 덧붙여 퀴벨바겐 역시 4WD 사양으로의 개량계획이 존재하고 있었지만, 이 개량계획을 통해 만들고자 했던 4WD형 퀴벨바겐인 Type 87은 결국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양산되지 못한 채 끝났다고 한다. 대신 그 기술은 퀴벨바겐의 파생형으로서 개발된 4WD [[수륙양용차]]인 [[슈빔바겐]]에 활용되었는데, 수륙양용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4WD 구동방식을 채용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원형인 퀴벨바겐과 파생형인 슈빔바겐의 구동방식이 서로 다른 이유는 이 때문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cars-volkswagen.com/volkswagen-safari_86.jpg|width=100%]]}}} || || '''민수용 버전인 타입 181 사파리''' || [[1970년대]]에 [[폭스바겐]]에서 퀴벨바겐의 후계 차종으로 내놓아서 많은 관심을 모았다. [[대한민국]]에서도 [[광고]] 등에 사용되어 눈에 익은 차종이다. 1974년까지 내놓았는데 1987년에 새소년 지에서 퀴벨바겐을 대한민국에서 소유한 사람 사진과 차량을 찍어 올린 바 있다. 비슷한 시기에 잡지 자동차생활에서도 상세하게 취재한 기사가 실렸었는데 대한민국에는 두 대가 있었고, 그 중 한 대는 좌석을 비롯한 각종 인테리어가 개조되어 있었다는 내용이다. [[독일 국방군]]의 [[6호 전차 티거|티거]] 에이스 [[오토 카리우스]]가 퀴벨바겐을 타고 나갈 때마다 날려먹어 장병들 사이에서 퀴벨바겐 귀신이라 불렸다고 한다. == 미디어 == === 영화/드라마 === 독일군이 등장하는 2차대전 배경 영화에는 대부분 나온다. ==== [[공군 대전략]] (Battle of Britain)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420_144656.jpg|width=100%]]}}} || || '''공군 대전략에서 등장한 독일 국방군 소속 퀴벨바겐''' || 인트로 부분에서 등장한다. ==== [[대탈주]] (The Great Escape) ==== ||
[[파일:20230420_155306.jpg|width=100%]] || || '''대탈주에서 등장한 독일 국방군 소속 퀴벨바겐''' || 오프닝 화면의 포로 호송 장면에서 1대가 등장하였다. ==== 독수리 요새(Where eagles dar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009864.jpg|width=100%]]}}} || || '''독수리 요새에서 등장한 독일 국방군 소속 퀴벨바겐''' || ==== [[인디아나 존스: 최후의 성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dianaJonesKubel.jpg|width=100%]]}}} || || '''인디아나 존스: 최후의 성전에서 등장한 히타이 공화국군 소속 퀴벨바겐''' || 인디아나 존스를 추격하는 나치 독일의 무장친위대와 히타이 공화국 병력이 사용한다. 다만, 작중 시점인 1938년에서 퀴벨바겐은 개발되지 않았다. === 만화 === ==== [[매드 갓]]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매드 갓 퀴벨바겐.jpg|width=100%]]}}} || || '''매드 갓에서 등장한 퀴벨바겐''' || 두 번째 어쌔신이 연료가 고갈된 바이크를 버리고 근처에 방치되어 있던 퀴벨바겐을 발견해 타고 다닌다. 하지만 상태는 좋지않아서 전선 두 가닥을 연결해 시동을 걸거나 라디오가 갑자기 틀어지기도 하는 묘사가 나온다. ==== [[걸즈 앤 판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irls-und-Panzer-10_11.34_2020.09.07_13.15.39.jpg|width=100%]]}}} || || '''걸즈 앤 판처에서 등장한 퀴벨바겐''' || 식당을 배경으로 한대가 등장했다. === 게임 === ==== [[SD 세계대전]] ==== '커맨더'라는 이름의 유닛으로 등장한다. 말 그대로 지휘차량이라는 설정. ==== [[울펜슈타인: 디 올드 블러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6년형 퀴벨바겐 전면.jpg|width=100%]]}}} || || '''1946년형 퀴벨바겐''' || 나치가 2차 대전에서 승기를 잡았다는 설정인 본작에서는 1946년형 퀴벨바겐이 등장한다.[* 물론 현실에선 [[승리의 날|없는]] 형식이다.] [[울펜슈타인 성]]에 몇 대가 주차되어 있는데, 연료 수송용으로 썼던 것인지 [[휘발유]]가 잔뜩 적재되어 있다. 덕분에 몇몇 나치 병사들이 엄페물로 쓰다가, 플레이어의 사격에 폭사당하기도 한다. ==== [[콜 오브 듀티: WW2]] ==== S.O.E 미션에서 [[로널드 대니얼스]]가 이걸 몰고 나치의 [[장갑열차]]를 추격한다. 또한 [[로버트 저스맨]]에게 ''''[[윌리스 MB|지프]]''''라고 불리는 수모를 겪는다.(...) == 모형 == [[6호 전차 티거]], [[오펠 블리츠]] 등과 함께 2차대전 독일군의 상징과도 같은 차량이다 보니 대부분의 모형회사에서 한번쯤은 출시했다. === 프라모델 === * 1/6 스케일 * 드래곤 모델 * 1/9 스케일 * [[레벨]] * [[ESCI]] * [[이탈레리]] * 1/16 스케일 * 타미야 * 1/24 스케일 * [[하세가와]] - 한정판으로 피규어가 들어간 버전도 출시하였다. * 니토 * 1/35 스케일 * 크라운 * [[아카데미과학]] - 크라운 제품을 카피하여 고무동력 모형으로 발매하였다. * 하세가와 - 베고의 물건과 동일. * 타미야 - 구금형 제품과 신금형 제품이 있다. 주력 라인업인 MM 시리즈에 전차보다도 먼저 등장했으며,[* 단, MM 시리즈가 아닌 타미야의 밀리터리 모델 자체의 시발점은 판터 전차이다.] 프라모델 메이커 [[타미야]]를 세계적으로 유명해지게 만든 물건이기도 하다. 단, 구금형 시절까지는 비슷한 시기에 시장에 있던 [[이탈레리]]제가 더 높이 평가받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oldmodelkits.com/Tamiya%20MM106-200%20Kuble.jpg|width=100%]]}}} || || '''타미야 구판 퀴벨바겐 모형''' || * 태양과학 - 타미야 구판을 카피하여 출시하였다. * 드래곤 모델 - 베고의 물건과 동일. * 베고 * 이탈레리 - 한때 1/35 스케일에서 결정판이었던 제품. [[독일 아프리카 군단]] 사양이며 악세사리로 [[에르빈 롬멜]] 장군과 웃통을 벗은 무전병, 텐트, 테이블과 라디오 등이 들어가 있다. 참고로 악세사리 부품은 우석과학에서 통신연락소라는 이름으로 카피한 적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modelingmadness.com/312bt.jpg|width=100%]]}}} || || '''이탈레리제 퀴벨바겐 모형''' || * 엘레르 - 데칼 구성을 제외하면 이탈레리 제품과 동일하다. * 테스터스 - 내용물은 이탈레리 제품과 동일하다. * 1/48 스케일 * 타미야 * 1/72 스케일 * 아카데미과학 - 2차대전 지상 장비 세트에 [[케텐크라프트라트|케텐크라트]], [[윌리스 MB|윌리스 지프]], 악세사리와 함께 들어가 있다. [[Fi 156|아프리카 군단 슈토르히]], [[Fw 190|Fw-190A8 하인츠 베어]]에도 들어가 있다. * 하세가와 - [[R-75|BMW 사이드카]] 합본으로 출시하였다. * 뽀빠이과학 - 하세가와 제품을 카피하여 출시하였다. * 이탈레리 == 둘러보기 == [include(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군용차량]] [[분류:지상 병기/세계 대전]] [[분류:폭스바겐/생산차량]] [[분류:독일 국방군/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