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로마]][[분류:로마 역사 지구]] [include(틀:이탈리아의 세계유산)] [include(틀:로마의 일곱 언덕)] [목차] == 개요 == [[라틴어]]: Collis Quirinalis. [[이탈리아어]]: Quirinale. [[로마의 일곱 언덕]] 중 하나. [[퀴리날레 궁]]이 위치한 장소로 유명하다. == 지리 == [[파일:로마의 일곱 언덕.jpg]] 로마의 일곱 언덕 중 가장 북쪽에 위치한 언덕으로, 최대 높이는 50.9m이다. 임페리얼 포룸 남쪽의 콜리스 라티아리스(Collis Latiaris), 퀴리날레 언덕 서쪽의 산큐알리스 문의 명칭을 딴 콜리스 산큐알리스(Collis Sanqualis), 살루스 신전 서쪽의 콜리스 살루타리스(Collis Salutaris), [[퀴리누스]] 신전의 명칭을 딴 콜리스 퀴리날리스(Collis Quirinalis)의 4개 고지로 구성된다. == 역사 == 고고학자들은 산쿠알리스 문, 콜리나 문 등지에서 발견된 무덤을 토대로 [[철기 시대]]인 기원전 8세기부터 이 언덕에 사람이 거주했을 거라고 추정한다. 산타 마리아 델라 비토리아 성당 계단 앞에서 발견된 봉헌물 보관소는 기원전 7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반대쪽 경사면에서도 유사한 보관소가 발견되었다. 로마 전승에 따르면, 퀴리날레 언덕에는 사비니족이 거주하는 작은 마을이 있었고, 사비니 왕 티투스 타티우스는 [[로물루스]]와의 전쟁이 종식된 뒤 로마인과 한 국가에서 함께 살게 되었을 때 퀴리날레 언덕에 살았다고 한다. 사비니인들은 로물루스가 죽자 로물루스와 퀴리누스 신을 연관짓고 자신들이 사는 언덕 중에서 가장 높은 고지인 콜리스 퀴리날리스에 퀴리누스 신전을 지었다. 이때부터 그들이 거주하는 언덕 전체가 퀴리날레 언덕으로 일컬어졌다. [[티투스 리비우스 파타비누스]]가 전하는 전승에 따르면, 이 언덕은 [[로마 왕국]] 6대 국왕인 [[세르비우스 툴리우스]]에 의해 로마 시에 합병되었다고 한다.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가 전하는 다른 전승에 따르면, 로마 왕국 2대 국왕인 [[누마 폼필리우스]] 대에 로마 시에 병합되었다고 한다. 이후 [[유피테르]], [[주노]], [[미네르바]] 등 카피톨리누스 삼신(Capitoline Triad)에게 헌정한 성소가 세워졌고, [[캄피돌리오 언덕|카피톨리누스 언덕]]에 세워진 [[유피테르]] 신전보다 오래되었다고 전해지는 카피톨리움 베투스(Capitolium Vetus) 신전도 이곳에 있었다. 또, 누마 폼필리우스에 의해 설립되었다고 전해지는 살리 사제단이 퀴리날레 언덕을 본부로 삼았다. 전승에 따르면, 퀴리날레 언덕에는 사비니 족이 모시는 맹세의 수호신인 산코에게 헌정된 신전이 있었다. 이 신전은 로마 왕국의 마지막 국왕인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에 의해 재건되었다고 전해진다. 이 신전은 현존하지 않지만, 산 실베스트로 알 퀴리날레 교회 인근에 신전과 관련된 비문이 발견되었다. 또한 퀴리누스의 무덤이 이 언덕에 있었는데, [[삼니움]]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집정관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쿠르소르]]가 이 무덤을 신전으로 개조하겠다고 맹세했고, 그의 아들인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쿠르소르(기원전 293년 집정관)|루키우스 파피리우스 쿠르소르]]가 집정관을 맡은 기원전 293년에 아버지의 맹세를 따라 신전을 건설했다고 전해진다. 이외에도 플로라 신전, [[디아나]] 플란키아나 신전, 평민 순결의 신전, 포르투나 유엘피스 신전 등 다양한 신전이 퀴리날레 언덕에 잇따라 세워졌다. 퀴리날레 언덕은 로마 귀족들의 휴양지로도 애용되었다.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의 절친한 친구였던 [[티투스 폼포니우스 아티쿠스]]가 여기에 별장을 지었고,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의 친구이자 근위대장이었던 [[가이우스 풀비우스 플라우티아누스]]도 이곳에 별장을 세웠고, 로마 시인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마르티알리스도 여기에 별장을 두었다. 한편, 남자와 성관계를 가지면서 [[순결]]을 잃은 [[베스타]] 무녀는 이 언덕 위 '악의 들판'이라 불리는 곳에 생매장되었다고 전해진다. [[로마 제국]] 초대 황제인 [[아우구스투스]] 치세 때 [[비미날레 언덕]]과 함께 제6 지구인 알타 세미타(Alta Semita)에 편입되었으며, [[마르스]] 신전이 아우구스투스의 명령에 따라 새롭게 건설되었다. 이후 [[티베리우스]] 치세 때 세르비우스 성벽 밖의 첼리오 언덕 지역에 [[프라이토리아니]] 통합 병영인 카스트라 프라이토리아(Castra Praetoria)가 신설되었다. [[도미티아누스]] 황제는 퀴리날레 언덕에 있던 아버지 [[베스파시아누스]]의 집 부지에 플라비아 씨족의 신전을 세웠지만 현존하지 않으며, 오직 도미티아누스의 형인 [[티투스]]의 거대 두상만 남아서 나폴리 국립 고고학 박물관에 보관되고 있다. 315년, [[콘스탄티누스 1세]]는 로마 시의 마지막 목욕탕을 이 언덕에 건설했다. 이 목욕탕 건물은 사라졌고 16세기의 도면 몇 개만 남아 있다. 중세 시대에는 토레 델레 밀리제(Torre delle Milizie: 민병대의 탑)와 성 베드로와 도미니코 수도원이 세워졌으며, 12세기부터 [[첼리오 언덕]]과 함께 몸티움 지구로 편입되었다. 1610~1616년 콘스탄티누스 목욕탕이 있던 자리에 세워진 팔라초 팔라비치니-로스피글리오시(Palazzo Pallavicini-Rospigliosi) 궁전은 현재 미술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언덕에서 가장 유명한 건축물인 [[퀴리날레 궁]]은 1583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에 의해 건설되어 1870년 [[이탈리아 왕국]]이 [[교황령]]을 완전 점령하기 전까지는 교황의 거소, 교황령 정부 중앙 관리들의 사무처로 사용되었다. 1871년 로마가 이탈리아 왕국의 수도가 된 후에는 [[사보이아 가문|사보이아 왕조]]의 [[법궁]]이 되었다가 1946년 왕정이 무너진 후에는 [[이탈리아 대통령]]의 관저가 되었다. 또한 퀴리날레 궁 앞 퀴리날레 광장 중앙에는 콘스탄티누스 목욕탕에 있었던 [[디오스쿠로이]](아버지 디오스쿠리와 쌍둥이 형제 카스토르, 폴룩스)의 동상이 디오스쿠리 분수 앞에 장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