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퀘냐)] [목차] == 개요 == [[퀘냐]]의 문법을 정리한 문서이다. == 관사 == 관사는 정관사 i가 존재한다. 부정관사는 존재하지 않는다. i의 형태는 모든 수형에서 동일하다. || 퀘냐 || 영어 || 한국어 || || elda || elf (= an elf)|| 요정 || || i elda || the elf || 그 요정 || || eldar || elves || 요정들, [[엘다르]] || || i eldar || the elves || 그 요정들 || == 대명사 == 퀘냐의 대명사는 인칭어미형, 독립형, 소유접미사형이 있다. 인칭어미형은 다시 긴 인칭어미형과 짧은 인칭어미형으로 나뉜다. === 인칭어미형 === *긴 어미(3형식 주어) || 인칭 || 단수 || 양수 || 복수 || || 1인칭 || -nye || -lve -ngwe || -mme[*배타적 이 어미는 청자를 제외한 1인칭 복수에 쓰였다. -mme는 너(-l-)를 제외한 나(-m-)들의 형태로 볼 수 있겠다.] -lme[*포괄적 이 어미는 청자를 포함한 1인칭 복수에 쓰였다. -lme는 너(-l-) + 나(-m-)의 형태로 볼 수 있겠다.] || || 2인칭 || -lye[*격식 격식체에서 2인칭이다.] -tye[*비격식 비격식체에서 2인칭이다.] || -lse || -lde -lle || || 3인칭(생물) || -sse || -tte || -nte -lte || || 3인칭(무생물) || -ssa || -tte || -nte -lte || 별도의 언급이 없으면 혼용해도 상관없다. == 명사 == 퀘냐의 명사는 수, 격에 따라 굴절한다. 문법적 성은 자연적 성을 가지는 일부 명사를 제외하고는 따지지 않는다. === 명사의 수 === 퀘냐 명사의 수형은 총 4가지이다. * 단수, 양수, 복수, 부분복수 === 명사의 격 ===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퀘냐 격형태는 크게 9가지이다. * 주격(nominative), 대격(accusative), 속격(genitive), 소유격(possessive), 여격(dative), 처격(locative), 향격(allative), 탈격(ablative), 도구격(instrumental) 곡용은 어간에 접사들이 붙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자잘한 예외들을 제외하면 비교적 규칙적인 편이다. ex) cirya(배) || || 단수 || 양수 || 복수 || 부분 복수 || || 주격 || cirya || ciryat || ciryar || ciryali || || 대격 || ciryá || ciryat || ciryai || ciryali || || 속격 || ciryo || ciryato || ciryaron || ciryalion || || 소유격 || ciryava || ciryatwa || ciryaiva || ciryaliva || || 여격 || ciryan || ciryant || ciryain || ciryalin || || 처격 || ciryassë || ciryatsë || ciryassen || ciryalisse(n) || || 향격 || ciryanna || ciryanta || ciryannar || ciryalinna(r) || || 탈격 || ciryallo || ciryalto || ciryallon || ciryalillo(n) || || 도구격 || ciryanen || ciryanten || ciryainen || ciryalinen || * '''대격(accusative)'''은 타동사의 직접목적어를 나타낸다. 고대 퀘냐에서는 주격과 대격의 형태가 엄격하게 구분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구분은 후대 퀘냐에 이를수록 희미해져, 이윽고 주격과 완전히 동일한 형태로 굳어지게 되었다. 고형(古形)으로서의 대격형은 문어 퀘냐(The Book Quenya)와 [[바냐르]] 퀘냐에서나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 '''속격(genitive)'''와 '''소유격(possessive)'''는 둘다 영어에서의 소유격(-'s, of-), 한국어에서의 소유격('-의')으로 번역되지만, 분명히 다른 격이다. 속격은 1) 대상이 다른 대상에게 속할 때, 2) 이야기의 주제일 때,[* 즉, [[실마릴리온|실마릴리온(Simarilion)]]은 실마릴들(simarili)에 관한 이야기다.] 3) 가족관계를 나타낼 때 사용되며, 소유격은 1) 대상이 다른 대상을 소유할 때, 2) 대상으로부터 기원했을 때, 3) 대상이 전체의 한 부분일 때 쓰인다. 퀘냐를 모국어로 구사하지 않는 인간들에게는 조금 모호해보일 수도 있지만, 어찌됐든 이 둘은 분명하게 구분되는 편이다.[* [[형태론]]적 관점에서 이 둘을 비교하면 그 차이가 더욱 명확해진다. 속격 어미 -o는 탈격 어미 -llo와 닮았으며, 소유격 어미는 명사의 형용사형과 동일하다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두 격이 각각의 형태에서 파생되었음을 짐작해볼 수 있다.] 만약 구분이 힘들면 속격을 우선적으로 쓰는 것을 추천하는데, 3시대에는 속격이 소유격도 대체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 형태적으로 비슷한 격은 의미도 유사하다. 여격 어미 -n과 향격 어미 -nna, 속격 어미 -o와 탈격 어미 -llo는 각각 '추상적 이동'과 '물리적 이동'의 의미적 근연 관계를 맺고 있다. 비슷한 예시로 처격 어미 -ssë 로부터 파생된 듯한 '''축약처격(Short Locative)''' 어미 -s도 간혹 발견되는데, 명확한 의미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많다. == 동사 == == 형용사 == == 부사 == [[분류:문법]][[분류:레젠다리움/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