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독일 철도 노선 정보)] [목차] == 개요 == 쾰른-아헨 고속선은 [[독일]]의 [[철도]] 노선이다. [[쾰른 중앙역]]과 독일-벨기에 국경의 [[아헨 중앙역]]을 잇는 노선으로 아헨에서 [[브뤼셀]] 방면으로 [[벨기에 국철]]의 [[HSL 3]] 고속선으로 이어진다. 유럽 국제 철도 운송에서 중요한 간선축을 맡고 있는 노선으로 [[유럽연합]]의 TEN-T(Trans-European Transport Network) 프로젝트의 일부로 취급받고 있다. 쾰른-아헨 고속선은 고속철도 전용 신선이 아니라 1841년 라인 철도 주식회사(Rheinische Eisenbahn-Gesellschaft)가 부설한 기존선을 2002년에 개량한 철도 노선으로, [[쾰른]]-[[뒤렌]] 구간은 간선철도[* 고속철도 뿐 아니라 [[인터시티(유럽)|IC]], [[RE]], [[RB(철도)|RB]] 등의 기존선 간선 여객 및 [[화물철도]] 역시 신선을 이용중이다.] 전용의 시속 275km/h 대 신선을 건설하고 기존선은 [[라인-루르 S반]] 전용선으로 개량하여 복복선을 갖추고 있고, [[뒤렌]]-[[아헨]] 구간은 시속 180km/h 대의 복선 구간이다. 최고속도가 느린 뒤렌-아헨 구간의 개량 역시 계획되어 있다. == 역사 == 1841년 라인 철도 주식회사(Rheinische Eisenbahn-Gesellschaft)에 의해 부설된 쾰른-아헨선은 전 독일을 통틀어 7번째로 부설된 철도 노선이다. 1843년 벨기에 철도와 연결되며 국제 운송을 시작하였고 이후 연선이 개발되고 석탄 채굴이 활발해지며 운송 실적이 예상을 초과하여 복선화되었다. 쾰른-아헨선은 [[1848 혁명]]과 [[보불전쟁]], 양차 [[세계대전]] 등의 사건이 터질 때마다 군사 목적으로 요긴하게 이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기에는 이로 인해 연합군의 폭격 대상이 되었고 [[VE Day|독일이 항복할 때]] 즈음에는 노선이 크게 파괴되어 종전 후 1946년에 복구하였다. 1950년대 후반에는 독일 철도의 전철화 구간이 쾰른 일대까지 확장되며 쾰른-아헨선 역시 전철화되었고, 1966년 [[벨기에 국철]]의 기관차가 [[전기철도]] 국제운송을 시작하였다.[* 독일 철도는 교류 15000V 16.7Hz이고 벨기에 철도는 직류 3000V로 시스템이 크게 달라 벨기에 국철 소유의 직교겸용 기관차를 이용하거나 [[아헨 중앙역]]에서 기관차 교체를 하였다. 독일 측은 90년대까지 벨기에 입선 대응 직교겸용 열차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1988년 쾰른-아헨선의 개량 계획이 수립되어 쾰른-뒤렌 간 신선 설치, 쾰른-뒤렌 간 기존선의 [[S반]] 전용화, 뒤렌-아헨 간의 개량이 1997년 시작되어 2002년 시간표 개정으로 본격적으로 개통되었으며, 현재도 크고 작은 개량공사들이 진행중이다. == 운행 현황 == 쾰른-아헨 고속선에는 매일 [[쾰른]]과 [[벨기에]]를 잇는 국제 [[인터시티익스프레스|ICE]] 노선과 [[탈리스]]가 운행중이다. 또한 매 주말마다 쾰른 이동의 독일 타 지역으로 연결되는 [[인터시티익스프레스|ICE]]와 [[인터시티(유럽)|IC]]가 운행되어 독일 국내 이동의 편의성 역시 보충중이다. [[RE]]노선은 쾰른-아헨 전구간을 30분 배차로 잇는 RE1과 RE9가 운행중이고, [[쾰른 중앙역]]과 쾰른 에렌펠트역 사이에는 RE8과 [[RB(철도)|RB]]27 노선이 이용하고 있다. RB38 노선이 쾰른에서 호렘 사이 구간을 운행중이고, RB20이 [[아헨 중앙역]]과 스톨베르크 중앙역 사이를 이용가고 있다. [[라인-루르 S반]]의 S13, S19 노선이 쾰른-뒤렌 간 S반 전용선 전구간을 이용중이며 S12는 쾰른-호렘 구간만을 이용중이다. 국제 화물 열차를 비롯한 여러 화물 열차 역시 쾰른-아헨 고속선을 활발히 이용중이다. [[분류:독일의 철도 노선]][[분류:독일의 고속철도 노선]][[분류:1841년 개업한 철도 노선]][[분류:인터시티익스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