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concours.[kɔ̃kuːʀ][* 프랑스어 원어 발음표기] '[[경쟁]]' 또는 '[[경연(동음이의어)|경연]]'이라는 뜻의 [[프랑스어]]이며, 국제 콩쿠르에서는 보통 Competition 이라고 영어로 표기된다. 보통 [[음악]], [[무용]], [[미술]], [[영화]] 등의 [[예술]] 분야에서 각 개인이나 단체의 능력을 경쟁하는 형식으로 베푸는 대회이다. 흔히 '''콩쿨'''이라고도 하는데 원어 발음과도 괴리가 심하고 [[외래어 표기법/프랑스어|외래어 표기법]]으로 봐도 틀린 표기이다.[* 굳이 한글로 표기해본다면 '''꽁쿠흐'''에 가까울 것이다.] 단순한 대회 이외에 [[시험]]의 형식을 한 것도 있으며, [[대학교]] 진학 시 유명 콩쿠르에서 입상한 경력을 가진 지원자들을 우대하거나 아예 대학 입학시에 이러한 시험을 치르는 곳도 있다. 특히 음악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며, [[고대]] [[그리스]] 시절부터 시작되어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후 규모의 확대 및 조직화를 거쳐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그 중요성이 커졌으며, 현대에도 뛰어난 재능을 가진 신인을 발굴하는 [[등용문]]이자 음악 기술의 수준 향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요|대중가요]]를 다루는 [[쇼! 음악중심]], [[SBS 인기가요]], [[뮤직뱅크]], [[엠 카운트다운]]의 경우도 순위집계가 있다는 특성상 콩쿠르에 속한다. [[전국 노래자랑]]도 마찬가지. 미술 분야에서는 심사를 거치지 않고 콩쿠르에 진열되는 작품 또는 [[제작자]]가 있으며, 이러한 것 또는 사람을 가리켜 '''오르콩쿠르'''(hors-concours)라고 한다. == 유명 콩쿠르 == [include(틀:세계 3대 음악 콩쿠르)] === 다분야[* 2개 이상의 분야] === ====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 [[대한민국]] ==== * [[바이올린]] * [[2011년]] 조진주 2위 * [[2011년]] 김영욱 3위 * [[2014년]] 설민경 2위 * [[2014년]] 배원희 3위 * [[2017년]] 송지원 1위 * [[2021년]] 정주은 2위 * [[2021년]] 강나경 3위 * [[첼로]] * [[2009년]] 배지혜 2위 * [[2015년]] 김정환 3위 * [[2018년]] 이상은 공동1위 * [[2018년]] 이정현 공동1위 * [[2022년]] 한재민 1위 * [[2022년]] 정우찬 2위 * [[2022년]] 김덕용 3위 * [[피아노]] * [[2013년]] 김홍기 1위 * [[2013년]] 한지원 2위 * [[2013년]] 손정범 3위 * [[2016년]] [[서형민]] 1위 * [[2016년]] 하규태 2위 * [[2016년]] 홍민수 공동3위 * [[2019년]] [[임윤찬]] 1위 * [[2019년]] 박경선 2위 * [[2019년]] 김강태 3위 ==== ARD 국제 음악 콩쿠르 - [[독일]] ==== * [[바이올린]] * [[2001년]] 강민정 공동3위 * [[2009년]] 박혜윤 1위 * [[첼로]] * [[1982년]] 조영창 1위 없는 공동2위 * [[성악]] * [[2006년]] 양준모 1위 * [[2009년]] 서선영 2위 * [[2009년]] 이혜정 3위 * [[2015년]] 이수연 2위 * [[피아노]] * [[1973년]] [[정명훈(지휘자)|정명훈]] 2위 * [[1983년]] 서혜경 3위 * [[2006년]] 한지호 1위 없는 2위 * [[2006년]] 김강운 공동3위 * [[2017년]] 손정범 1위 * 피아노 듀오 * [[2015년]] 신박듀오 (피아니스트 신미정, 피아니스트 박상욱) 2위 * 피아노 트리오 * [[2018년]] 룩스 트리오 (피아니스트 안은유, 바이올리니스트 박일주, 첼리스트 채훈선) 3위 * [[오보에]] * [[2017년]] 함경 2위 * [[클라리넷]] * [[2017년]] 김한 공동2위 ====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퀸 엘리자베스 국제 음악 콩쿠르]] - [[벨기에]] ==== * [[바이올린]] * [[1976년]] [[강동석(바이올리니스트)|강동석]] 3위 * [[1985년]] 배익환 2위 * [[1985년]] 이미경 5위 * [[2009년]] 김수연 4위 * [[2012년]] [[신지아(바이올리니스트)|신지아]] 3위 * [[2015년]] 임지영 1위 * [[첼로]] * [[2022년]] 최하영 1위 * [[피아노]] * [[1991년]] 백혜선 4위 * [[1995년]] 박종화 5위 * [[2007년]] 임효선 5위 * [[2010년]] 김태형 5위 * [[2016년]] 한지호 4위 * [[성악]] * [[2011년]] 홍혜란 1위 * [[2014년]] 황수미 1위 * [[2014년]] [[박혜상]] 5위 * [[2023년]] 김태한 1위 * [[2023년]] 정인호 5위 * [[작곡]] * [[2008년]] 조은화 1위 * [[2009년]] 전민재 1위 ==== [[제네바 국제 콩쿠르]] - [[스위스]] ==== * [[첼로]] * [[1971년]] [[정명화]] 1위 * [[2021년]] 한재민 3위 * [[피아노]] * [[1988년]] 한가야 1,2위 없는 3위 * [[1996년]] 이용규 3위 * [[2008년]] 김다솔 3위 * [[2010년]] 이효주 2위 * [[2014년]] [[문지영(피아니스트)|문지영]] 1위 * [[2014년]] 김홍기 3위 * [[플룻]] * [[1969년]] 김창국 2위 * [[1992년]] 윤혜리 3위 * [[2014년]] 김유빈 2위 * [[타악기]] * [[2019년]] 박혜지 1위 * [[작곡]] * [[2013년]] 조광호 1위 * [[2017년]] 최재혁 1위 * [[2019년]] 손현준 3위 * [[2022년]] [[김신(작곡가)|김신]] 1위 ==== [[차이콥스키 콩쿠르]] - [[러시아]] ==== * [[피아노]] * [[1974년]] [[정명훈(지휘자)|정명훈]] 공동2위 * [[1994년]] 백혜선 공동3위 * [[2011년]] [[손열음]] 2위 * [[2011년]] [[조성진(피아니스트)|조성진]] 3위 * [[바이올린]] * [[2011년]] 이지혜 3위 * [[2019년]] [김동현(바이올리니스트)|김동현] 3위 * [[성악]] * [[1990년]] 최현수 1위 * [[2002년]] 김동섭 3위 * [[2011년]] 서선영 1위 * [[2011년]] 박종민 1위 * [[2015년]] 유한승 3위 * [[2019년]] 김기훈 2위 ==== 센다이 국제음악콩쿠르 - [[일본]] ==== * [[바이올린]] * [[2001년]] 양미사 3위 * [[2007년]] 신아라 3위 * [[2010년]] [[클라라 주미 강]] 1위 * [[2010년]] [[김봄소리]] 4위 * [[2010년]] [[김다미(바이올리니스트)|김다미]] 5위 * [[2013년]] [[김봄소리]] 5위 * [[2016년]] 장유진 1위 * [[2019년]] 고동휘 6위 * [[2022년]] 홍성란 4위 * [[피아노]] * [[2001년]] 이진상 2위 * [[2010년]] 문지영[* 부조니 우승한 그 문지영이 아니고 이름이같은 다른 사람이다.이 사람은 파데레프스키 콩쿨에서 1등을 했으나 또다른 문지영이 튀어나와 성적을 더 잘 뽑는바람에 이사람 근황은 검색조차 안된다.] 5위 * [[2013년]] [[선우예권]] 1위 * [[2013년]] [[서형민]] 2위 * [[2013년]] 홍지환 6위 * [[2016년]] 김현정 1위 * [[2016년]] 신창용 5위 * [[2019년]] [[최형록]] 1위 * [[2019년]] 김준형 6위 * [[2022년]] 김송현 5위 ==== 롱티보 국제피아노, 바이올린 콩쿠르 - [[프랑스]] ==== * [[피아노]] * [[2001년]] [[임동혁(피아니스트)|임동혁]] 1위 * [[2012년]] 안종도 1위 없는 2위 * [[2022년]] 이혁 공동 1위, 노희성 5위 [[https://www.yna.co.kr/view/AKR20221113058952081|#1]]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427264_35744.html|#2]] * [[바이올린]] * [[2008년]] [[신지아(바이올리니스트)|신지아]] 1위 * [[성악]] * [[2011년]] 심기환 1위 ==== [[프라하 춘계국제음악콩쿠르]] - [[체코]] ==== [[프라하 춘계국제음악콩쿠르|문서 참조.]] ==== 칼 닐센 국제음악콩쿠르 - [[덴마크]] ==== * [[바이올린]] * [[2004년]] [[권혁주(바이올리니스트)|권혁주]] 1위 * [[2004년]] 홍의연 3위 * [[2012년]] 홍의연 4위 * [[2016년]] 이지윤 1위 * [[2016년]] 박수현 공동4위 * [[2016년]] 송지원 공동4위 * [[2022년]] 김은채 3위 * [[플루트]] * [[2014년]] 박예람 3위 * [[2022년]] 김서연 2위 * [[클라리넷]] * [[2013년]] 조인혁 3위 * [[오르간]] * [[1996년]] 김진 4위 * [[2004년]] 박소현 3위 ==== 몬트리올 국제음악콩쿠르 - [[캐나다]] ==== * [[피아노]] * [[2021년]][* [[코로나]]로 인해 '''오케스트라 협연으로 승부를 보는 결선이 취소'''되어 단 두 개의 솔로 라운드로만 승부를 가렸고 전부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김수연 1위 * [[성악]] * [[2002년]] 노대산 5위 * [[2005년]] 황신영 1위 * [[2015년]] 김건우 1위 * [[2015년]] 박혜상 2위 * [[2018년]] 박승주 1위 * [[2018년]] 이명현 3위 * [[바이올린]] * [[2006년]] 조진주 1위 * [[2006년]] 최예은 2위 * [[2016년]] [[김봄소리]] 2위 ==== 제오르제 에네스쿠 국제콩쿠르 - [[루마니아]] ==== * [[피아노]] * [[2011년]] 손정범 1위 없는 2위 * [[2020년]] 박연민 1위 * [[바이올린]] * [[2016년]] 김계희 1위 * [[2016년]] [[김동현(바이올리니스트)|김동현]] 2위 * [[2020년]] 위재연 2위 * [[첼로]] * [[2014년]] 홍은선 1위 * [[2020년]] 한재민 1위[* 역대 최연소이다.] * [[작곡]] * [[2020년]] 조영재 실내악 작곡 부문 1위 * [[2022년]] 김신 교향악 작곡 부문 1위 === 개별분야 === ==== [[바이올린]] ==== * 파가니니 국제바이올린콩쿠르 - [[이탈리아]] * [[1983년]] 양성식 3위 * [[1983년]] 이순익 6위 * [[1991년]] 양고운 6위 * [[1996년]] 백주영 3위 * [[2001년]] 김민재 2위 * [[2001년]] 신아라 5위 * [[2004년]] [[신지아(바이올리니스트)|신지아]] 3위 * [[2006년]] 이유라 2위 * [[2010년]] [[김다미(바이올리니스트)|김다미]] 1위 없는 2위 * [[2015년]] [[양인모]] 1위 * 시벨리우스 국제바이올린콩쿠르 - [[핀란드]] * [[2005년]] [[신지아(바이올리니스트)|신지아]] 3위 * [[2022년]] [[양인모]] 1위 * 비에니아프스키 국제바이올린콩쿠르 - [[폴란드]] * [[2001년]] [[한수진(바이올리니스트)|한수진]] 공동2위 * [[2011년]] 윤소영 1위 * [[2016년]] [[김봄소리]] 공동2위 * 인디애나폴리스 국제바이올린콩쿠르 - [[미국]] * [[1986년]] 김진 4위 * [[1986년]] 양성식 5위 * [[1998년]] 백주영 3위 * [[2006년]] 이유라 4위 * [[2006년]] 조예은 5위 * [[2010년]] [[클라라 주미 강]] 1위 * [[2010년]] 윤소영 2위 * [[2014년]] 조진주 1위 * [[2014년]] 임지영 3위 * [[2014년]] [[김다미(바이올리니스트)|김다미]] 4위 * [[2014년]] 장유진 5위 * [[2014년]] 이지윤 6위 * [[2022년]] 이수빈 5위 * 하노버 요제프 요하임 국제바이올린콩쿠르 - [[독일]] * [[2006년]] [[신지아(바이올리니스트)|신지아]] 2위 * [[2009년]] [[클라라 주미 강]] 2위 * [[2009년]] 이유라 3위 * [[2012년]] [[김다미(바이올리니스트)|김다미]] 공동1위 * 파블로 사라사테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 [[스페인]] * [[2005년]] 이지혜 1위 * [[2011년]] 이지윤 2위 * 앙리 마르토 국제바이올린콩쿠르 - [[독일]] * [[2002년]] 양정윤 2위 (카테고리 A) * [[2002년]] 송윤신 2위 (카테고리 B) * [[2005년]] 허상미 3위 (카테고리 B) * [[2011년]] 임지영 3위 * [[2014년]] 김민겸 3위 ==== [[성악]] ==== * BBC 카디프 싱어 오브 더 월드(카디프 콩쿠르) - [[영국]][* 2021년 6월 19일 영국 ‘카디프 콩쿠르'에서 한국인 바리톤 김기훈이 우승을 차지했다. [[https://news.v.daum.net/v/20210620151601458|#]] ] * [[2007년]] [[이동규]] 1위 * [[2021년]] 김기훈 1위 * 툴루즈 국제성악콩쿠르 - [[프랑스]] * [[1994년]] 김상곤 1위 * [[2000년]] 공병우 1위 * [[2008년]] 정승기 1위 * [[2012년]] [[김주택]] 1위 * [[2014년]] 김정훈 1위 * [[2016년]] [[길병민]] 1위 * 부세토 베르디 국제성악콩쿠르 - [[이탈리아]] * [[1991년]] [[김동규(성악가)|김동규]] 1위 * [[2000년]] 한명원 1위 * [[2012년]] 김정훈 1위 * [[2012년]] [[김주택]] 2위 * 프란치스코 비냐스 국제성악콩쿠르 - [[스페인]] * [[1986년]] [[조수미]] 1위 * [[2002년]] [[김우경(성악가)|김우경]] 1위 * [[2006년]] [[이동규]] 1위 * [[2011년]] 김주택 3위 * [[2014년]] 김정훈 1위 * [[2014년]] 박세영 1위 * [[2022년]] 백석종 3위 ==== [[오르간]] ==== * 샤르트르 국제오르간콩쿠르 - [[프랑스]] * [[2006년]] 신동일 1위 ==== [[작곡]] ==== * 가우데아무스 국제작곡콩쿠르 - [[네덜란드]] * [[1985년]] [[진은숙]] 1위 * 바젤 국제작곡콩쿠르 - [[스위스]] * [[2017년]] 최한별 3위 * [[2023년]] 최진석 3위 * [[다케미쓰 도루|토루 타케미츠]] 국제작곡콩쿠르 - [[일본]] * [[2004년]] 서순정 공동 3위 * [[2011년]] 김희라 4위 * [[2016년]] 박명훈 공동 2위 * [[2021년]] 강민창 공동 3위 ==== [[지휘]] ==== * 브장송 국제지휘콩쿠르 - [[프랑스]] * 게오르그 솔티 국제지휘콩쿠르 - [[독일]] * [[2006년]] [[성시연]] 1위 * 구스타프 말러 국제지휘콩쿠르 - [[독일]] * [[2007년]] [[성시연]] 1위 없는 2위 ==== [[첼로]] ==== * 카사도 국제 첼로 콩쿠르 - [[일본]] * [[2006년]] 강승민 1위 * [[2013년]] 김민지 2위 * 로스트로포비치 국제 첼로 콩쿠르 (2009년 이후로 개최되지 않음) - [[프랑스]] * [[1981년]] 조영창 4위 * [[1994년]] [[장한나]] 1위 * 루토스와프스키 국제첼로콩쿠르 - [[폴란드]] * [[1999년]] 박노을 3위 * [[2011년]] [[임희영(첼리스트)|임희영]] 3위 ==== [[클래식기타]] ==== * 미켈레 피탈루가 국제 클래식 기타 콩쿠르 - [[스페인]] * [[2008년]] [[박규희]] 1위 (여성최초, 아시아인 최초) * [[2017년]] [[박지형]] 2위 * 도쿄 국제기타콩쿠르 - [[일본]] * [[2003년]] [[박규희]] 3위 * [[2019년]] [[박지형]] 1위 ==== [[피아노]] ==== * 리즈 국제 피아노 콩쿠르 - [[영국]] * [[1984년]] 서주희 2위 * [[2006년]] [[김선욱]] 1위 * [[2015년]] 김희재 2위 * [[페루초 부소니|부조니]] 콩쿠르 - [[이탈리아]][* [[2015년]] 9월 4일 '제 60회 부조니 국제 콩쿠르'에서 한국인 피아니스트 [[문지영(피아니스트)|문지영]]이 1위를 차지했다.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50907/73468095/1|#]] 그로부터 6년이 지난 [[2021년]] 9월 4일 '제 63회 부조니 국제 콩쿠르'에서 한국인 피아니스트 박재홍과 김도현이 나란히 1·2위를 차지했다. 한국인이 우승을 차지한 건 문지영에 이어 2번째이다.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10904MW075103662373|문화일보]]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272329|KBS 뉴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454161|SBS 뉴스]] [[https://youtu.be/FcYsng4_QXY|시상식 영상]] ] * [[1980년]] 서혜경 2위 * [[1997년]] 이윤수 1위 없는 2위 * [[1999년]] [[손민수]] 3위 * [[2001년]] 조혜정 2위 * [[2001년]] [[임동민]] 3위 * [[2005년]] 김혜진 3위 * [[2015년]] [[문지영(피아니스트)|문지영]] 1위 * [[2017년]] 원재연 2위 * [[2021년]] 박재홍 1위 * [[2021년]] 김도현 2위 *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 [[폴란드]] [[바르샤바]] * [[2005년]] [[임동혁(피아니스트)|임동혁]] 공동3위 * [[2005년]] [[임동민]] 공동3위 * [[2015년]] [[조성진(피아니스트)|조성진]] 1위 * 게자 안다 국제 피아노 콩쿠르-[[스위스]] * [[2009년]] 이진상 1위 * [[2012년]] 김다솔 2위 * [[2018년]] 박종해 2위 * 클라라 하스킬 국제 피아노 콩쿠르-[[스위스]] * [[2005년]] [[김선욱]] 1위 * 하마마쓰 국제 피아노 콩쿠르 - [[일본]] [* [[조성진(피아니스트)|조성진]], 이혁, [[라파우 블레하츠]] 등의 피아니스트를 배출한 대회. 야마하, 가와이피아노의 본사가 있는 일본 하마마쓰에서 개최된다.] * [[2000년]] [[임동혁(피아니스트)|임동혁]] 2위 * [[2006년]] 김태형 공동3위 * [[2009년]] [[조성진(피아니스트)|조성진]] 1위 * [[2009년]] 허재원 3위 * [[2018년]] 이혁 3위 * [[프란츠 리스트 국제 피아노 콩쿠르]] -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 [[2017년]] 홍민수 2위 * [[2022년]] 박연민 공동2위 * 빈 베토벤 국제 피아노 콩쿠르 - [[오스트리아]] * [[2009년]] 한지호 2위 * [[2009년]] 전지훈 3위 * [[2017년]] 홍사헌 2위 * 반 클라이번 국제피아노콩쿠르 - [[미국]] * [[2005년]] 조이스 양 2위 * [[2009년]] [[손열음]] 2위 * [[2017년]] [[선우예권]] 1위 * [[2022년]] [[임윤찬]] 1위 * 더블린 국제피아노콩쿠르 - [[아일랜드]] * [[2006년]] 김규연 2위 * [[2009년]] 박종해 2위 * [[2009년]] 안수정 3위 * [[2018년]] 전세윤 1위 == 대입 시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콩쿠르(대입 시험))] [[이란]]에서 치르는 [[수능]] 격 대입 시험도 '콩쿠르'(کنکور, konkur)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프랑스어]] 'concours'가 어원이다. [[분류:예술]] [[분류: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