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콩고 노동당 로고.png|width=200]] || ||<-2> {{{#fff '''Parti congolais du travail'''}}} || || {{{#fff '''약칭'''}}} ||PCT|| || {{{#fff '''한글명칭'''}}} ||콩고 노동당|| || {{{#fff '''상징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DA2728; border: #;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빨간색}}}}}} || || {{{#fff '''위원장'''}}} ||[[드니 사수 응게소]]|| || {{{#fff '''창당일'''}}} ||[[1969년]] [[12월 29일]]|| || {{{#fff '''주소'''}}} ||5, rue Léon Jacob,[br]Quartier Mpila, [[브라자빌]]|| || {{{#fff '''이념'''}}} ||[[사회민주주의]][br][[좌익 내셔널리즘]]|| || {{{#fff '''정치적 스펙트럼'''}}} ||[[중도좌파]]|| || {{{#fff '''의회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A2728 calc(112*100%/151), #fff 0%)" {{{#000 '''112석 / 151석'''}}}}}} || || {{{#fff '''웹사이트'''}}} ||[[https://pct.c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PCT-Page-Officielle-101962068056021|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목차] == 개요 == [[콩고 공화국]]의 사민주의 정당이자 독재 정당이다. 1969~1990년 [[콩고 인민 공화국]]의 유일 독재정당이었으며, 다당제를 도입한 이후에도 1990~1992년, 2002년~현재까지 장기집권하고 있다. == 상세 == === 콩고 인민 공화국의 유일정당 === 1968년에 쿠데타를 일으킨 마리앵 응구아비에 의해 창당되었다. 그 해, [[콩고 인민 공화국]]으로 국명을 바꾸면서 [[마르크스-레닌주의]] 성향의 [[일당제]] 독재 정당으로 군림했다. 특히, 당원은 남부인들이 많았지만 권력은 북부인들이 잡다보니 갈등이 커지더니, 1977년 마리앵 응구아비가 암살당하고 조아킴 용비오팡고가 대통령직에 올랐지만, 얼마 안 가 1979년에 [[드니 사수 응게소]]에 의해 축출당했다. 공산주의 독재를 추구하는 와중에서도 [[프랑스]]와 관계를 중시하다 보니, 소련과 서구권 사이를 오가는 외교에 대해서 당 내에서도 반발이 있었지만, 대부분 묵살되었다. === 콩고 공화국의 정당 === 1990년 콩고가 현재의 국명으로 변경하고, 다당제를 도입하면서 콩고 노동당은 1992년 대선에서 파스칼 리수바에게 패해 야당으로 전락하게 된다. 하지만 파스칼 리수바의 부정선거 시비는 끊이지 않았으며, 당 내에서는 응게소에게 충성을 결의하는 등 콩고 공화국 내에 혼란이 오자 결국 1997년에 쿠데타가 일어났고, 2002년 선거 이후 다시 집권하여 현재에 이르게 된다. 응게소의 카리스마 덕에 대선에서는 연이어 큰 승리를 거두었지만, 총선거에서는 그렇지 못하다보니 연립정부를 통해 다수당을 유지 중이다. == 성향 == 이데올로기를 추구하는 일반적인 정당들과 달리 응게소의 성향에 따라 달려 있다. 콩고 공화국 북부가 지지기반이다. [[분류:콩고 공화국의 정당]][[분류:독재정당]][[분류:사회민주주의 정당]][[분류:내셔널리즘 정당]][[분류:탈공산주의 정당]][[분류:1969년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