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탬파베이 레이스/로스터)] ---- ||
'''{{{#ffffff 콜린 포셰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탬파베이 레이스|{{{#ffffff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38번}}}''' || || 비달 누뇨[br](2018) || {{{+1 →}}} || '''{{{#092c5c 콜린 포셰[br](2019~)}}}''' || {{{+1 →}}} || [[현역#s-2]]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lin_Poche.jpg|width=100%]]}}} || ||<-2> '''탬파베이 레이스 No. 38''' || ||<-2> '''{{{#092c5c {{{+2 콜린 포셰}}}[br]Colin Poche}}}''' || || '''본명''' ||콜린 마이클 포셰이[* [[국제음성기호|IPA]] 표기로 /poʊˈʃeɪ/이므로 현지 발음은 '포셰이'에 가깝다. 다만 국내에서는 문서 표제어처럼 '포셰'로 표기하는 것이 거의 굳어졌다. 사실 '포셰'라도 해도 현지에서는 '포셰이'로 인지하는데, 영어권에서는 어말의 /e/, /eɪ/를 구별하지 못하고, 외래어에서 유래한 /e/도 /eɪ/로 발음한다. 비슷한 사례로 팀 동료 [[캘빈 포셰이]] 역시 프랑스계 성씨라서 프랑스어 발음을 차용했지만, '포셰'가 아닌 '포셰이'로 발음한다. 반면 국내에서는 어말의 /e/, /eɪ/가 구분되기 때문에 발음이나 어원에 따라 전사를 다르게 하는 경우가 많다.][br]Colin Michael Poche || ||<|2> '''출생''' ||[[1994년]] [[1월 17일]] ([age(1994-01-17)]세) || ||[[오하이오|오하이오 주]] 컬럼버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아칸소 대학교]] → 댈러스 밥티스트 대학교 || || '''신체''' ||192cm, 102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2012년 드래프트 5라운드 (전체 162번, [[볼티모어 오리올스|BAL]])--[br][[2016 MLB 신인드래프트|2016년 드래프트]] 14라운드 (전체 419번,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ARI]]) || || '''소속팀''' ||'''[[탬파베이 레이스]] (2019~)''' || || '''계약''' ||Arbitration / $1,175,000 || || '''연봉''' ||2023 / $1,175,000 || [목차] [clearfix] == 개요 == [[탬파베이 레이스]] 소속 좌완 [[투수]]. == 선수 경력 == [[텍사스|텍사스 주]] 플라워마운드의 마커스 고등학교에 재학해 졸업시즌 좋은 성적을 보여주며 볼티모어에 5라운드에 지명되었지만, 프로에 입단하지 않고 [[아칸소 대학교]]로 진학했다. 이후 2014년 [[토미 존 수술]]을 받으면서 2015년까지 재활하다가, 2016년 댈러스 밥티스트 대학교 소속으로 복귀했고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가 14라운드에 지명했다. 대학 시절까지는 선발로 뛰었지만 투 피치 스타일 때문에 입단 직후 로우싱글A에 배치되며 얼마 안 가 불펜으로 전환했고, 2017년 싱글A와 하이싱글A에서 1점대 ERA로 좋은 모습을 보였다. === [[탬파베이 레이스]] === 2018년에는 더블A에서 시즌을 시작했다가, 5월 1일 [[탬파베이 레이스]]로 트레이드되었다.[* 2018년 2월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뉴욕 양키스]]-[[탬파베이 레이스]] 간 삼각 트레이드 과정에서 디백스가 레이스로 보내기로 한 추후 지명 선수로 샘 맥윌리엄스와 함께 트레이드되었다. 2월 트레이드 당시에는 레이스에서 [[스티븐 수자 주니어]]를, 양키스에서 [[테일러 와이드너]]를 디백스로 보냈고, 반대로 디백스에서는 [[앤서니 반다]]와 추후 지명 선수를 레이스로, [[브랜든 드루리]]를 양키스로 보냈으며, 양키스에서는 [[닉 솔락]]을 레이스로 보냈다.] 트레이드 이후 레이스 더블A 몽고메리 비스킷츠에서 딱 3경기 뛰고 트리플A 더럼 불스로 콜업되었으며, 트리플A에서 50이닝을 던지며 1점대 ERA로 호투했으며, 더블A 성적까지 합치면 0점대 ERA를 기록할 정도로 좋은 모습을 보이며 MLB 파이프라인 선정 마이너리그 올해의 팀에 선정되고 탬파베이 마이너리그 올해의 구원 투수로 선정되었다. 이러한 활약으로 2019 시즌을 앞두고 우완투수 [[이안 지보]]와 함께 시즌 중 메이저로 콜업될 유력한 불펜 자원으로 거론되었고, 트리플A에서 다소 부진했지만 6월 8일 [[케이시 새들러]]와 자리를 맞바꾸며 빅리그로 콜업되었다. 콜업 이후 초반에는 다소 부진하다가 6월 말부터 안정세를 찾나 싶었지만, 몇 경기 잘 던지다가 한 두경기 심하게 털리는 등 기복이 다소 심해 ERA가 급격히 올라가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래도 좌완 불펜이 다소 아쉬운 탬파베이 상황상 어느정도 중용되었고 남은 시즌 내내 메이저에서 뛰었다. 2019 시즌 최종 성적은 51경기 51⅔이닝 5승 5패 2세이브 16홀드 72K 19BB ERA 4.70 fWAR 0.6. 피안타율 .181에 볼삼비도 3점대가 넘는 등 세부 스탯 상당수는 괜찮은데, 51⅔이닝간 9홈런이나 허용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았다. [[코로나19]]로 개막이 지연된 2020년에는 시즌 개막을 앞둔 7월 21일 [[토미 존 수술]]을 받게 되었다는 소식을 전하며 시즌아웃되었다. 커리어 두 번째 토미 존 서저리. 재활과 실전 감각 회복 등을 고려하면 2021년에도 보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2022 시즌 스프링 트레이닝을 통해 복귀했다. 다만 시즌 개막은 트리플A에서 맞이한다. 4월 22일에 [[크리스 마자]]가 등 경련으로 인해 10일 부상자 명단에 등재되면서 오랜만에 빅 리그로 콜업되었고, 당일 [[보스턴 레드삭스]]와의 홈경기에서 7회 초에 등판하며 복귀전을 치르고 1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다. 8월 26일 기준으로 47경기 44이닝 4승 1패 7세이브(5블론) 16홀드 ERA 2.86으로 성공적인 복귀 시즌을 치르고 있다. 다만 좌타자 상대 마무리 투수로 나서는 과정에서 간간이 임팩트 있는 블론을 저지른 점은 감점요인. 3년 전과 마찬가지로 피홈런이 많아서 44이닝 동안 홈런을 9개나 맞았다. 그리고 9월 이후 급격히 흔들리면서 남은 기간동안 15경기 11⅔이닝 동안 ERA 8.49를 기록했다. 사실 대체적으로 잘 던지긴 했는데 9월 13일 토론토 원정 더블헤더 2차전과 10월 4일 보스턴 원정에서 각각 ⅓이닝 4실점씩 기록한 게 너무 컸다. 시즌 최종 성적은 65경기 58⅔이닝 4승 2패 7세이브 23홀드 ERA 3.99 64K 22BB. 2023년 2월 18일, 연봉 조정에서 패해 117만 5천 달러의 연봉을 받게 되었다. 2023 시즌도 좌완 필승조 역할을 수행중이다. 4월 현재는 성적은 나쁘지 않으나 세부지표가 상당히 괴악해서 6⅓이닝 6피안타 '''1피홈런 1K 5BB'''다. 특히나 제구가 흔들리는 날은 끝도 없이 흔들리는데, 대표적으로 팀의 개막 14연승이 걸린 4월 14일 [[토론토 블루제이스]] 원정 경기에서 1:2로 지고 있는 5회말 1사 만루에서 등판해 2연속 밀어내기로 두 점을 허무하게 내주고 수비 실책까지 겹치며 완전히 불쇼를 벌였다. 그래도 시즌 후반부로 향하며 제구가 꽤나 안정됐다. 5월까지만 해도 WHIP가 1.5에 가까울 정도로 지표 대비 불안한 모습을 보였지만, 이후 꾸준한 활약으로 전반기 기준 1.2까지 WHIP를 낮췄다. 물론 이럼에도 피출루율이 .292에 달해 ERA와 FIP가 각각 2.18/4.47일 정도로 괴리가 심했는데, 후반기 들어서는 피출루율이 .252까지 떨어지면서 성적도 크게 좋아졌다. 신기할 정도로 구원승을 쓸어담아 '''팀 내 다승 2위'''에 오른 건 덤.[* [[잭 에플린]]이 16승으로 [[아메리칸 리그]] 다승왕을 차지했으며, [[타일러 글라스노우]]가 10승, 부상으로 시즌을 조기 마감한 [[셰인 맥클라나한]]이 11승, 나머지는 전부 5승 이하이다.] 시즌 최종 성적은 66경기 '''12승''' 3패 1세이브 22홀드 평균자책점 2.23으로 커리어 하이를 찍었다. == 피칭 스타일 == [[패스트볼]]-[[커브]] 투 피치를 구사하는 불펜 투수. 패스트볼은 평균 92~93mph, 최고 94mph 정도로 느린 구속은 아니지만 특출나게 빠른 구속도 아니며, 하드 커브는 평균 83~84mph정도 나오지만 역시나 위력이 특출나지는 않다. 이런 툴만 보면 포셰가 마이너를 씹어먹는 수준으로 잘 던졌던 이유가 안 보이는데, 포셰의 진가는 '''[[패스트볼]]의 수직 무브먼트'''에 있다. 2019 시즌 기준 포셰의 패스트볼은 회전수는 2291RPM으로 평균보다 약간 높은 정도지만, 수직 무브먼트가 무려 '''10.5인치'''로 평균보다 4인치 이상 높고 [[우에하라 고지]]의 패스트볼 무브먼트에 근접한 수준이다. 스탯캐스트를 통해 파악하는 액티브 스핀(Active Spin)에서 19시즌 포셰는 MLB 전체 4위에 랭크되었으며, 팬그래프스에서 제공하는 패스트볼 구종 가치도 11.8로 MLB 불펜투수 가운데 10위를 기록했다. 평범한 수준인 패스트볼 구속에 비하면 상당한 수준. 이 때문에 투구 레퍼토리도 패스트볼을 절대적으로 많이 활용해, 패스트볼 구사율이 약 88%로 절대적으로 높으며 [[https://www.fangraphs.com/players/colin-poche/19403/heat-maps?position=P&ss=&se=&hand=&count=&pitch=&season=all&view=pit&type=&data=&grid=kde&blur=0|핫존]]에서도 보이듯 파워피처들 처럼 존 가운데를 적극적으로 공략한다. 이 패스트볼 중심의 투구 패턴 덕분에 피안타율, 피장타율, 탈삼진 등등 세부 스탯이 상당히 준수하다. 다만 커맨드가 좋은 편은 아니라서 볼넷을 자주 주는 편이며, 구위가 그닥 좋지 않은 날에는 투구 레퍼토리가 그대로 실투로 직행해서 뜬금포를 얻어맞곤 한다. 이 부분이 포셰의 최대 단점으로 2019 시즌 보여줬던 심한 기복과 많은 피홈런 허용의 이유. 불펜 투수로서 안정감을 위해서는 커맨드의 개선이나 세컨 피치 향상 등 다른 방법이 하나쯤은 더 필요해 보인다.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콜린 포셰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19 ||<|5> [[탬파베이 레이스|TB]] || 51 || 5 || 5 || 2 || 16 || 51⅔ || 4.70 || 33 || 9 || 19 || 5 || 72 || 1.006 || 93 || 0.6 || 0.0 || || 2020 ||<|2><-16> 메이저 기록 없음 ([[부상자 명단]]) |||| || 2021 || || 2022 || 65 || 4 || 2 || 7 || 23 || 58⅔ || 3.99 || 46 || 11 || 22 || 1 || 64 || 1.159 || 91 || -0.2 || -0.1 || || 2023 || 66 || 12 || 3 || 1 || 22 || 60⅔ || 2.23 || 42 || 4 || 24 || 1 || 61 || 1.088 || 188 || 1.1 || 1.7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3시즌) || 182 || 21 || 10 || 10 || 61 || 171 || 3.58 || 121 || 24 || 65 || 7 || 197 || 1.088 || 114 || 1.4 || 1.6 || == 여담 == == 같이 보기 == * [[야구 관련 인물(MLB)]] [include(틀:탬파베이 레이스/로스터/상세)]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4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콜럼버스(오하이오) 출신 인물]][[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탬파베이 레이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