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모던 워페어 II)] [목차] == 개요 == 전작 뱅가드처럼 부착물 카테고리는 10개지만 모던 워페어처럼 부착물은 5개까지 장착되도록 제한되었다. 모던 워페어에서 보여준 건스미스 시스템이 더욱 발전되어 총몸에 따라 적용되는 부품이 전부 다르게 적용된다. 전작 모던 워페어에서 그랬듯이 이번작도 가상의 제조사가 제조한 부착물이라는 설정으로 등장한다. 부착물은 크게 공용 부착물과 플랫폼 부착물로 나눠진다. 공용 부착물은 무기 플랫폼에 잠금된 부착물을 특정 무기로 레벨업해서 해금시키면 그 때부터 모든 무기에 장착할 수 있게 되고 플랫폼 부착물은 해당 플랫폼에만 장착할 수 있는 전용 부착물로 같은 플랫폼에 있는 무기라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지만 독립된 플랫폼에는 완전한 전용 부착물이 된다. 전작에 비해 총기 개조 옵션은 많이 증가했지만, 부착물의 효율성은 대폭 너프당했다. 대부분 부착물은 플러스 마이너스 효과가 있는데, 본작에서는 이 마이너스 효과가 상당히 커지면서 있으나 마나한 부착물이 상당수 있으며, 심지어 잘못 조합할 경우 마이너스 효과가 플러스 효과를 압도해 버리기도 한다. 특히 본작에서는 기본 조준 흔들림과 조준 전환 시간이 둘 다 전반적으로 증가했는데, 대부분 유저들이 선호하는 정확도와 조준 전환 속도가 서로 반대 스탯이기 때문에 정확도를 올릴 수록 조준 전환 속도는 뚝 떨어져 버리고, 반대로 조준 전환을 빠르게 만들면 조준이 요동친다. 이 때문에 부착물을 5개 덕지덕지 바르는 것 보다 꼭 필요한 소수의 부착물만 부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이 때문에 자신의 위치를 발각시키는 레이저 부착물의 인기가 줄었고 대신 단점이 없는 탄약 파츠의 인기가 늘었다. 옵틱 파츠를 자세히 보면 조준경 숫자가 엄청나게 많아진 것을 볼 수 있는데, 레티클 커스텀 기능이 사라진 탓에 그냥 옵틱 파츠 종류를 무지막지하게 늘리고 그중에 쓰고 싶은 걸 쓰라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근데 조준경이 무슨 레티클을 쓰고 있는지는 언락하기 전에는 알 길이 없기 때문에 그냥 새로운 조준경이 언락되면 일단 써보고 맘에 안들면 바꾸는 과정을 반복해야 해서 묘하게 불편해졌다. 그나마 시즌2 업데이트로 옵틱 레티클을 보여주게 바뀌어서 개선되긴 했다. 그러나 야간투시 기능이나 열영상 기능이 달린 조준경들은 종류가 그렇게 많지가 않아서 레티클이 맘에 안 들어도 그냥 울며 겨자먹기로 써야된다는 것은 덤. 가뜩이나 조준 시간을 더럽게 많이 늘리는 부착물이라 인기도 없는데 레티클 커스텀 기능도 없어져서 픽률이 완전히 바닥을 기게 되었다. == 공용 부착물 == === 조준경 === 다양한 조준경을 장착한다. 일반적인 도트 사이트부터 망원조준경까지 장착할 수 있다. 설계도에 포함된 조준경 스킨들은 모든 총기가 공유할 수 있다. ==== 도트 사이트 ==== ||'''{{{#white 슬림라인 프로}}}'''|| 라흐만 서브로 11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정조준 속도|| ||<-2>- || ||'''{{{#white SZ 미니}}}'''|| 라흐만 서브로 11레벨 달성시 해금[br]P890으로 4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정조준 속도|| ||<-2>[[https://vortexoptics.com/vortex-venom-red-dot.html|볼텍스 베놈 레드 닷]]이 모델인 솔로제로제 도트 사이트. 어느 한쪽에서 해금하면 나머지 한쪽은 자동으로 해금된다. || ||'''{{{#white 크로넨 미니닷}}}'''|| FSS 허리케인으로 3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정조준 속도|| ||<-2>크로넨제 도트 사이트. || ||'''{{{#white 크로넨 미니 프로}}}'''|| 엑스페다이트 12로 7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정조준 속도|| ||<-2>[[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2009년판 모던 워페어 2]]에서 나온 레드 닷 사이트를 [[오마주]]한 크로넨제 도트 사이트. || ||'''{{{#white SZ 시그마-Ⅳ 옵틱}}}'''|| X12로 4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정조준 속도|| ||<-2> [[https://www.trijicon.com/products/subcategory/trijicon-rmr|트리지콘 RMR]]이 모델인 솔로제로제 도트 사이트. || ||'''{{{#white SZ 미니택-40}}}'''|| SO-14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정조준 속도|| ||<-2>[[https://www.aimpoint.com/products/red-dot-sights/acro-p-1-3-5-moa-red-dot-reflex-sight-with-integrated-acro-interface|에임포인트 ACRO P-1]]이 모델인 솔로제로제 도트 사이트. || ||'''{{{#white XRK 온-포인트 옵틱}}}'''|| 브라이슨 890으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정조준 속도|| ||<-2>[[https://holosun.com/index/product/detail/id/124.html|홀로선 HS510C]]가 모델인 XRK제 도트 사이트. || ||'''{{{#white DF105 리플렉스 사이트}}}'''|| 카스토프-74U로 10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정조준 속도|| ||<-2>[[https://ivantactical.com/shop/weapon-accessories/sights-and-scopes/axion-kobra-ekp-1s-03-red-dot-sight/|코브라 EKP-1S-03]]이 모델인 러시아제 도트 사이트. || ||'''{{{#white 모노클 CT90}}}'''|| 미니박으로 12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정조준 속도|| ||<-2>[[https://russianoptics.net/OKP7.html|OKP-7]]이 모델인 러시아제 도트 사이트. || ||'''{{{#white 코부스 SOL-76}}}'''|| 벨 46으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정조준 속도|| ||<-2>코부스제 도트 사이트. || ||'''{{{#white SZ 리차지-DX}}}'''|| ?로 ?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정조준 속도|| ||<-2>솔로제로제 도트 사이트. || ||'''{{{#white SZ SRO-7}}}'''|| M16으로 11레벨 달성시 해금[br]페넥 45로 4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정조준 속도|| ||<-2>[[https://en.wikipedia.org/wiki/Aimpoint_CompM2|에임포인트 CompM2]]가 모델인 솔로제로제 도트 사이트. || ||'''{{{#white 코리오 RE-X 프로}}}'''|| GS .50으로 4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정조준 속도|| ||<-2>[[https://www.meprolight.com/product/mepro-m21/|메트로라이트 M21]]에 홀로선 HS510C의 조정 버튼이 붙은 코리오제 도트 사이트다. || ||'''{{{#white 에임 OP-V4}}}'''|| BAS-P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정조준 속도|| ||<-2> 저시계 고명중률 도트 사이트. || ==== 홀로 사이트 ==== 중형 도트 사이트, 도트 사이트와는 달리 정조준 이동속도가 추가로 줄어든다. 배율표시는 따로 되어있지 않으나 실제론 약 1.5배 ~ 2배의 화면 확대 배율을 가지고 있다. ||'''{{{#white 코리오 엔포서 옵틱}}}'''|| ?로 ?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코리오제 도트 사이트 || ||'''{{{#white SZ 론울프 옵틱}}}'''|| M4로 2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솔로제로제 도트 사이트. || ||'''{{{#white 카잔 홀로}}}'''|| 카스토프 545로 7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https://www.ebay.ca/itm/284829375311|BelOMO PK-AS-W]]가 모델, 원본 모델은 [[벨라루스]]제인데 러시아제 도트 사이트로 서술되었다. || ||'''{{{#white 코부스 다운레인지-00}}}'''|| MX9로 8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코부스제 도트 사이트. || ||'''{{{#white SZ 홀로썸}}}'''|| PDSW 528로 12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br]열상 시야||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솔로제로제 열화상 도트 사이트. 열화상 중에서도 성능이 훌륭한 편인데다 유일한 저배율인 탓에 상대에게 반사광이 비치지 않는다는 점도 메리트다. 다만 저배율이라곤 하나 실질적으로는 4배율 조준경인 VLK 조준경과 비슷할 정도로 화면을 확대시키기 때문에 다른 홀로 사이트들과는 사용 감각이 상당히 다르다. 또한 열화상 옵틱중에서도 흔치 않은 파란색 레이저[* 파란색 레이저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레이저다.]를 볼 수 있는 옵틱이다.|| ||'''{{{#white XTEN 엔젤-40}}}'''|| TAQ-M으로 11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br]거리 알림||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XTEN제 도트 사이트, 거리 가늠을 할 수 있어 적과의 거리를 알 수 있다. 물론 도트 사이트로 장거리전은 무리. || ||'''{{{#white SZ 배틀 옵틱}}}'''|| BAS-P로 19레벨 달성시 해금 || ||시야 확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 조준점이 다소 높게 잡혀 있는 솔로제로제 도트 사이트. || ==== ACOG ==== 중장거리용 조준경. 전작과 달리 더욱 다양한 유형의 ACOG들이 추가되면서 트리지콘사의 원조 ACOG 역시 추가되었다. ||'''{{{#white VLK 4.0}}}'''|| 카스토프 762로 4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https://en.wikipedia.org/wiki/USP-1|USP-1]]이 모델인 4배율 조준경. || ||'''{{{#white 슐라거 3.4X}}}'''|| RAPP H로 12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슐라거제 3.4배율 조준경. 4배율이었지만 후속 패치로 현재 배율로 변경되었다. || ||'''{{{#white 포지택 델타 4}}}'''|| 556 이카루스로 9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https://coltfirearmscollector.com/All_scope_htm-pages/Colt_3x20_and_4x20_AR-15_optics.htm|콜트 스코프]]가 모델인 포지택제 5.5배율 조준경. 원본은 [[피카티니 레일]]이 없던 시절에 AR-15의 운반 손잡이에 그대로 끼워 사용했다. || ||'''{{{#white 크로넨 제로-P 옵틱}}}'''|| TAQ-56로 4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Raytheon ELCAN사의 [[https://www.egtactical.com/scope/265-a-dr-elcan-gen3-1-4x-scope-mil-spec-ver-perfect-replica-in-stock.html|ELCAN Specter]] 조준경이 모델인 크로넨제 조준경. 설명에서는 4배율로 적혀 있지만 성능창에서는 5배율로 적혀져 있다. 실모델은 단거리와 중거리를 모두 지원하는 복합 조준경이다. || ||'''{{{#white SZ 불스아이 옵틱}}}'''|| SO-14로 20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ACOG]]이 모델인 솔로제로제 조준경. 위와 마찬가지로 설명은 4배율이지만 성능창에서는 6배율로 되어 있다. || ||'''{{{#white 루카 카니스 4X 옵틱}}}'''|| 로 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종조준 이동속도|| ||<-2> 브루엔 불펍 플랫폼을 위한 루카제 4배율 조준경. 장거리전에 적합하지만 시야각이 매우 좁아지는 관계로 근접전에 매우 취약해진다. || ||'''{{{#white SZ 어그레서-IR 옵틱}}}'''|| ISO 햄록으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br]열상 화면||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솔로제로제 6.3배율 열화상 조준경. || ||'''{{{#white 슐라거 나이트 뷰}}}'''|| STB 556으로 6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br]열상 화면||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슐라거제 6배율 열화상 망원조준경. || ||'''{{{#white VX350 써멀 옵틱}}}'''|| RPK로 7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br]열상 화면||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러시아제 5.5배율 열화상 망원조준경. || ||'''{{{#white 테플로-OP3 스코프}}}'''|| SA-B 50으로 9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br]열상 화면||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테플로제 5배율 열화상 망원조준경. || ==== 복합 조준경 ==== 근접전과 중장거리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만든 조준경이다. 이동 중 사격에는 단거리 모드[* 영점 초근접 거리에선 지향사격이 더 좋다.], 거치 중 사격이나 고정 자세 정지 중 사격에는 중장거리 모드로 사격하는 것이 좋다. ||'''{{{#white DR582 하이브리드 사이트}}}'''|| 사킨 MG38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br]이중 조준경||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이오텍과 매그니파이어 조합. ?배율과 4.8배율로 전환할 수 있다. || ||'''{{{#white 하이브리드 파이어포인트}}}'''|| 라흐만 762로 14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br]이중 조준경||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https://blog.naver.com/beisseleautomatics/222190860287|Leupold HAMR]]가 모델인 XTEN제 복합 조준경. ?배율과 4.3배율로 전환할 수 있다. || ||'''{{{#white SZ 볼텍스-90}}}'''|| 벨 46으로 28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br]이중 조준경||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솔로제로제 복합 조준경. ?배율과 5배율로 전환할 수 있다. || ||'''{{{#white BPZ40 하이브리드}}}'''|| TAQ-V로 8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br]이중 조준경||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슐라거제 5.5배율 망원조준경과 크로넨제 캔티드 사이트 조합. || ||'''{{{#white 엔젤-40 4.8×}}}'''|| RAAL MG로 6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br]거리 알림[br]이중 조준경||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XTEN제 4.8배율 복합 조준경. 거리를 알려줘서 적과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알 수 있다. || ||'''{{{#white 써로-옵틱 X9}}}'''|| 라흐만 556로 14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br]열상 화면[br]이중 조준경||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솔로제로제 5.5배율 열화상 복합 조준경. || ||'''{{{#white 테플로 클리어샷}}}'''|| HCR 56로 9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br]열상 화면[br]이중 조준경.||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테플로제 5배율 열화상 망원조준경과 크로넨제 캔티드 사이트 조합. || ||'''{{{#white DS 파사이트 11}}}'''|| M13B로 12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br]이중 조준경||좁은 시야각[br]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 4.8배율과 7배율로 전환할 수 있는 드렉스턴 소머스제 복합 망원경. || ||'''{{{#white SZ 오스카-9}}}'''|| BAS-P로 15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br]이중 조준경||매우 좁은 시야각[br]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 솔로제로제 4.8배율 ACOG과 크로넨 LP945 도트 사이트 조합. ACOG을 쓸 때 시야각이 매우 좁아져 중거리전을 수행할 때 기습당하기 딱 좋다. || ||'''{{{#white 3X RFL-옵틱}}}'''|| ?로 ?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 전환[br]열상 화면||좁은 시야각[br]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 3배율과 8배율로 전환할 수 있는 러시아제 열상조준경, 중장거리전용이지만 정작 사용해볼 수 없는 부착물로 시즌1 기준 야간전 맵이 없어서 효용성이 없다. || ||'''{{{#white 비질란트-30 C-아이언}}}'''|| ISO 햄록으로 16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br]이중 조준경||좁은 시야[br]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 XTEN제 8배율 망원조준경과 캔디드 사이트 조합. || ==== 망원조준경 ==== 장거리용 조준경. 저격하기 적합하게 고배율 조준경으로 이뤄져 있으면 반대급부로 근접전에 매우 약해진다. ||'''{{{#white FTAC 찰리7}}}'''|| SO-14로 18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포지택제 7.5배율 망원조준경. || ||'''{{{#white HMW-20 옵틱}}}'''|| 라흐만 762로 2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8배율 망원조준경. || ||'''{{{#white 루카 반데라 조준경}}}'''|| 락우드 mk2로 7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 조정||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루카제 망원조준경. 3.7배율과 8배율로 전환할 수 있어 중장거리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 ||'''{{{#white 드랙섬 프라임-90}}}'''|| FTAC 리콘으로 12레벨 달성시 해금[br]빅터스 XMR로 17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br]열상 화면||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드랙스턴-소머스제 7.5배율 열화상 망원조준경. 리콘 트리를 먼저 시행했다면 빅터스 XMR에 장착할 수 있다. 그 역도 가능. || ||'''{{{#white 아레스 클리어 샷}}}'''|| SO-14로 12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br]이중 조준경||좁은 시야각[br]정조준 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신가드 암즈제 7배율 망원조준경과 크로넨 도트 사이트 조합. 망원조준경을 장착했을 때 근접전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 ||'''{{{#white 라흐만 임팩트 9}}}'''|| LM-S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시야 가림[br]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사격 속도|| ||<-2> 라흐만&미어 총기를 위한 9.5배율 망원조준경, 장거리전을 위한다면 장착해도 무방하지만 근접전이 한없이 약해진다. || ||'''{{{#white DXS 코리오리스 V4}}}''' || TAQ-M으로 18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좁은 시야각|| ||<-2> TAQ계열 총기를 위한 드럭스턴-소머스제 9배율 망원조준경. || ||'''{{{#white SZ 히트소스 800 }}}'''|| TAQ-M으로 25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br]열상 화면||매우 좁은 시야각|| ||<-2> 솔로제로제 8.7배율 열화상 망원조준경. 장거리전에 적합하지만 시야각이 매우 좁아지는 관계로 근접전에 매우 취약해진다. || ||'''{{{#white FTAC 로커스 SP}}}'''|| EBR-14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 전환||좁은 시야|| ||<-2> 포지택제 장거리전용 망원조준경, 7배율과 11.5배율로 전환가능하며 고배율이라 근접전이 매우 약하다. || ||'''{{{#white MCPR-300 9.5X}}}'''|| ?로 ?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좁은 시야|| ||<-2> MCPR-300에 기본으로 장착된 9.5배율 망원조준경 || ||'''{{{#white 빅터스 13X}}}'''|| 빅터스 XMR 해금 시 해금 || ||배율||매우 좁은 시야|| ||<-2> 빅터스 XMR에 기본으로 장착된 13배율 망원조준경. 초장거리전용인지라 이걸 쓴다면 보조무기는 필수가 된다. || ||'''{{{#white 사이트맥스 클리어샷}}}'''|| 시그널 50으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br]이중 조준경||좁은 시야|| ||<-2> 7배율 망원조준경과 크로넨제 캔디드 사이트 조합. || ||'''{{{#white 시그널 50 8X}}}'''|| ?로 ?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 전환||매우 좁은 시야|| ||<-2> 시그널 50에 기본으로 장착된 8배율과 12.5배율로 전환 가능한 망원조준경. || ||'''{{{#white 코리오 13X VRS}}}'''|| MCPR-300로 20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 전환||매우 좁은 시야|| ||<-2> 코리오제 망원조준경, 7배율과 13배율로 전환할 수 있다. || ||'''{{{#white 랩터-FVM40}}}'''|| 빅터스 XMR로 28레벨 달성시 해금 || ||탄도 계산기[br]정조준 속도||극히 좁은 시야|| ||<-2> 솔로제로제 FVM40 탄도 계산기가 장착된 3.5-18×50 망원조준경, 싱글에서 보여준 그 망원조준경을 멀티에서 쓰는 격으로 탄환이 명중할 곳을 알려주기 때문에 예측샷을 다소 쉽게 달성할 수 있다. 그 반대급부로 근접전이 매우 많이 약해진다. || ||'''{{{#white 루카 필드-6}}}'''|| 템푸스 토렌트로 7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 전환||좁은 시야[br]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 루카제 망원조준경, 6.3배율과 12배율로 전환할 수 있다. || ||'''{{{#white SZ 울트라-11.5}}}'''|| 빅터스 XMR로 7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매우 좁은 시야[br]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 솔로제로제 11.5배율 망원조준경. || ||'''{{{#white 임페리움 12X}}}'''|| FJX 임페리움으로 ?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좁은 시야[br]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 FJX 임페리움에 기본으로 장착되는 12배율 스코프. || ||'''{{{#white 코리오 SZ-HS 800}}}'''|| ?으로 ?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br]열상 화면||정조준 이동속도[br]극히 좁은 시야[br]정조준 속도|| ||<-2> 코리오제 12.5배율 망원조준경에 솔로제로제 적외선 탐지기를 장착했다. || ||'''{{{#white 코리오 CQC 스코프}}}'''|| 브라이슨 800으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좁은 시야[br]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 설명문에는 2.5배율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5.5배율을 지원하는 코리오제 산탄총용 망원조준경 || ||'''{{{#white 다운트-C80}}}'''|| 락우드 300으로 6레벨 달성시 해금 || ||배율||좁은 시야[br]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 드랙스턴-소머즈제 6.3배율 산탄총용 망원조준경. || ||'''{{{#white 6.3X-14X 캐랙}}}'''|| 캐랙 .300으로 4레벨 달성시 해금 || ||가변 배율||매우 좁은 시야[br]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 ||<-2> 캐랙 .300을 위한 6.3배율과 14배율로 조정 가능한 망원조준경. || === 레이저 / 손전등 === 핸드가드에 위치한 레일에 부착되는 보조 조준장치로, 다양한 부착물의 효과를 보여주는데, 레이저는 저출력[* 1mW 등의 이름이 적혀있는 종류] 레이저 / 고출력[* 5mW, 7mW등의 이름이 붙어있는 종류] 레이저로 나눌 수 있으며, 손전등의 경우에는 구분법이 별도로 존재하지는 않는다. 저출력 레이저의 경우에는 얻을 수 있는 이득이 고출력레이저에 비해서 적지만, 고출력과는 다르게 적군이 레이저 라인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이득만 챙기면서, 정보전에는 여전히 유리한 포지션을 유지할 수있다. 다만, 레이저는 레이저 인지라. 레이저가 닿는 벽면에는 여전히 레이저 도트가 생기기 때문에, 완전한 정보전의 이득을 보기위해서는 일부러 다른 벽면에 조준하면서 레이저 도트를 숨기는 노력은 필요하다.[* 이해하기 어렵다면 레인보우 식스 시즈의 레이저를 생각하면 된다.] 고출력 레이저의 경우 조준하는 방향으로 레이저가 명백히 보이기 때문에 정보전에서는 불리하지만, 저출력 레이저에 비해서 조준사격진입속도 / 지향사격 명중률 등에서 명백한 이득을 볼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하이리스크 / 하이리턴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런앤건에 가장 중요한 질주후 사격전환 시간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옵션은 고출력 레이저의 전유물. 손전등의 경우 레이저와 비슷한 효과를 지니고 있지만, 단점으로는 조준하면 무조건 손전등이 켜져서 '''위치를 광고'''하는 꼴이 되다보니, 사용하는 인원은 거의 없다. ==== 1mW 레이저 ==== 근접전에 특화시켜주는 레이저로 정조준하면 레이저가 사라진다. * 소총류 ||'''{{{#white SZ 1mW PEQ}}}'''|| SP-R 208로 2레벨 달성시 해금 || ||사격 안정성||-|| ||<-2>[[AN/PEQ-15]]가 모델인 솔로제로제 적색 레이저 || ||'''{{{#white 슐라거 PEQ 박스 Ⅳ}}}'''|| 시그널 .50으로 3레벨 달성시 해금 || ||사격 안정성||-|| ||<-2>슐라거제 1mW 청색 레이저 || ||'''{{{#white 1mW 레이저 박스}}}'''|| M4로 12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 사격 명중률[br]지향 사격 반동 제어||-|| ||<-2>근접전에 특화시켜준다. 단, 연사할수록 반동이 커진다. || ||'''{{{#white STVOL DR 레이저 박스}}}'''|| 카스토프 762로 9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 사격 반동 제어[br]지향 사격 명중률||-|| ||<-2>[[https://ivantactical.com/shop/weapon-accessories/flashlights-and-accessories/flashlights/zenitco-perst-3-dual-visible-ir-tactical-laser-designator-with-ir-illuminator/|제니트 Perst-3]]가 모델인 배럴 택티컬제 적색 레이저, 위와는 달리 지향 사격시 반동 제어에 중점을 뒀다. || ||'''{{{#white 코부스 PEQ 빔-5}}}'''|| 라흐만 762로 8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 사격 반동 제어[br]지향 사격 명중률||레이저 노출|| ||<-2>[[https://wilcoxind.com/products/combat-systems/laser-aiming-devices/product_combat_raid-x|윌콕스 레이드-X]]가 모델인 코부스제 적색 레이저, STVOL DR처럼 지향 사격 반동 제어에 중점을 뒀으나 레이저가 상시 노출된다. || ||'''{{{#white FTAC 글림라인 레이저}}}'''|| TAQ-V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 사격 반동 제어[br]지향 사격 명중률[br]전력질주 후 사격속도||레이저 노출|| ||<-2>위에서 근접대응력까지 향상시켰다. 7mW 레이저지만 저시계 레이저로 분류되어져 있다. || * 기관단총 ||'''{{{#white 1mW 퀵 파이어 레이저}}}'''|| 락우드 300로 4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속도||-|| ||<-2> 정조준 속도를 향상시키는 청색 레이저. || ||'''{{{#white 슐라거 ULO-66 레이저}}}'''|| 페넥 45로 7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사격 명중률||-|| ||<-2>지향사격에 올인하는 적색 레이저. || ||'''{{{#white STVOL Tac 레이저}}}'''|| 브라이슨 800으로 10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사격 명중률[br]지향사격 반동 제어||-|| ||<-2>근접전을 향상시키는 러시아제 청색 레이저. || ||'''{{{#white 포인트-G3P 04}}}'''|| 엑스페다이트 12로 11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사격 명중률[br]지향사격 반동 제어[br]전력질주 후 사격속도||레이저 노출|| ||<-2>근접전을 강화시키는 녹색 레이저. || * 저격총 ||'''{{{#white 1mW 아르테미스 레이저}}}'''|| 빅터스 XMR로 8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안정성||-|| ||<-2> 소형 적색 레이저. 정조준 사격에 유리해진다. || * 권총 ||'''{{{#white 시리즈 710 권총 레이저}}}'''|| X12로 9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안정성||-|| ||<-2> 저시계 레이저, 단순히 정조준 사격을 향상시킨다. || ||'''{{{#white FJX DIOD-70}}}'''|| FTAC 시즈로 ?레벨 달성시 해금[br]GS .50으로 2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br]전력질주 후 사격 속도||정조준시 레이저 노출|| ||<-2> FJX제 저시계 레이저, 근접대응력을 향상시키나 정조준시 레이저가 노출된다. || ||'''{{{#white XTEN 사이드암 L400}}}'''|| X12로 14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사격 명중률[br]지향사격 반동 제어||-|| ||<-2> XTEN제 하이테크 저시계 적색 레이저. 지향사격을 향상시켜준다. || ||'''{{{#white 1mW 권총 레이저}}}'''|| P890으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사격 반동 제어[br]지향사격 명중률[br]전력질주 후 사격 속도||레이저 노출|| ||<-2> 권총용 녹색 레이저. 근접대응력이 향상되지만 정조준하지 않으면 레이저가 상시 노출된다. || ==== 5mW 레이저 ==== 위와는 반대로 정조준할 때 레이저가 노출된다. * 소총류 ||'''{{{#white 코리오 LAZ-44 V3}}}'''|| MCPR-300으로 3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속도[br]사격 안정성||정조준 시 레이저 노출|| ||<-2>[[https://bemeyers.com/segments/defense-systems/mawl-da|B.E.Meyer제 MAWL-DA]]가 모델인 코리오제 5mW 녹색 레이저 || ||'''{{{#white FSS Ole-V 레이저}}}'''|| EBR-14로 10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속도[br]전력질주 후 사격 속도[br]전력질주 속도||정조준 시 레이저 노출|| ||<-2>[[https://www.worthpoint.com/worthopedia/insight-technology-peq-cvl-carbine-173180667|AN/PEQ-5 CVL]]이 모델인 FSS제 적색 레이저 || ||'''{{{#white 캔티드 바이브로-도트 7}}}'''|| TAQ-56으로 10레벨 달성시 해금 || ||사선 레이저 조준[br]사격 안정성[br]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레이저 노출[br]반동 안정|| ||<-2>야간전 때 사용하는 것처럼 사선으로 레이저를 조준한다. 단, 이 부착물을 장비하면 캔티드 사이트 자체가 봉인되어 일부 복합 조준경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 * 기관단총 ||'''{{{#white 액큐-샷 5mW 레이저}}}'''|| 락우드 mk2로 11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정조준 시 레이저 노출|| ||<-2>정조준에 도움을 주는 녹색 레이저. || ||'''{{{#white VLK LZR 7mW}}}'''|| STB 556으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속도[br]전력질주 후 사격 속도[br]정조준 안정성||정조준 시 레이저 노출|| ||<-2> VLK제 고출력 레이저. || ||'''{{{#white 힙샷 L20}}}'''|| PDSW 528로 4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사격 명중률[br]지향사격 반동 제어||레이저 노출|| ||<-2>특이하게 5mW임에도 근접전 지향이다. 적색 레이저. || ||'''{{{#white 7mW 캔디드 레이저}}}'''|| BAS-P로 14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속도[br]전력질주 후 사격속도[br]정조준 안정성||레이저 상시 노출[br]반동 안정성|| ||<-2> 하나 밖에 없었던 캔디드 레이저가 추가되어 유이한 캔디드 레이저가 되었다. 정조준시 사선으로 비스듬하게 조준하지만 일부 복합 조준경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녹색 레이저. || ==== 손전등 ==== * 소총류 ||'''{{{#white 루미네이트-44}}}'''|| 사킨 MG38로 8레벨 달성시 해금 || ||불빛[br]전력질주 속도[br]정조준 이동사격 안정성||정조준시 불빛 노출|| ||<-2>평범한 성능의 FJX제 손전등 || ||'''{{{#white DXS 플래시 90}}}'''|| RAAL MG로 4레벨 달성시 해금 || ||불빛[br]전력질주 속도[br]정조준 이동사격 안정성||불빛 노출|| ||<-2>[[슈어파이어]]와 [[https://modlite.com/products/modlite-modbutton?variant=39564935888932|모드라이트 모드버튼]]을 조합한 데모제 1000루멘 손전등. 이쪽은 불빛이 상시 노출된다. || * 기관단총 ||'''{{{#white FJX 울트라빔 XR}}}'''|| 라흐만 서브로 12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이동사격 안정성[br]전력질주 후 사격속도[br]불빛||정조준시 불빛 노출|| ||<-2>FJX제 1000루멘 손전등, 근접대응력이 향상된다. || ||'''{{{#white EXF 솔라플레어}}}'''|| 벨 46으로 2레벨 달성시 해금 || ||불빛[br]전력질주 후 사격속도[br]정조준 안정성||불빛 노출|| ||<-2>엑스페다이트제 손전등, 근접대응력이 증대되지만 불빛이 상시 노출된다. || * 권총 ||'''{{{#white DZM-1000L}}}'''|| X13으로 13레벨 달성시 해금 || ||전력질주 후 사격속도[br]정조준 이동사격 안정성||정조준시 불빛 노출|| ||<-2> 권총용 손전등, 근접대응력이 향상된다. 정조준시 불빛이 노출되나 상대에게 눈뽕을 먹이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 ||'''{{{#white FTAC 볼텍스 200}}}'''|| P890으로 17레벨 달성시 해금 || ||전력질주 후 사격속도[br]정조준 안정성||불빛 상시 노출|| ||<-2> 포지택제 손전등. 근접대응력이 향상되나 이쪽은 가만히 서서 쏴야 명중률이 크게 감소하지 않는다. 불빛이 상시 노출되어서 야간전 때 불리한 점이 많다. || === 총구 === 설계도로 입수한 총구 부착물 스킨들은 모든 총기가 공유할 수 있다. ==== [[소염기]] ==== 총구 화염을 제거하고 반동을 잡아내지만 정조준 사격에 악영향을 준다. 육안으로 보이지 않아 어디에서 쐈는지 가늠할 수 없게 해주지만 미니맵에 찍혀서 이 기능에 맹신하지 않아야 한다. 컴펜세이터에 비하여 반동 제어 성능이 떨어지지만 그만큼 조준 속도 패널티도 적기 때문에 보통 유저들은 조준 속도를 크게 느리게 하지 않으면서 반동 제어 능력을 챙기고 싶을 때 채용한다. 23.03.16 시즌 2 리로디드 업데이트로 버프되었다. 장착 시 조준 사격 패널티가 절반으로 감소했다. * 소총류 ||'''{{{#white 코부스 슬래시 GEN.2}}}'''|| TAQ-56으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총구 화염 제거[br]반동 안정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코부스제 소염기, 소음기처럼 생겼지만 소음 효과는 없다. || ||'''{{{#white 다크 KX30}}}'''|| STB 556으로 15레벨 달성시 해금[br]LM-S로 9레벨 달성시 해금 || ||총구 화염 제거[br]반동 안정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크로넨제 소염기 || ||'''{{{#white VLK 콜로스 소염기}}}'''|| 카스토프 545로 16레벨 달성시 해금 || ||총구 화염 제거[br]반동 안정성[br]반동 고정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VLK제 소염기 || ||'''{{{#white 브로드헤드 3DP}}}'''|| 라흐만 556으로 6레벨 달성시 해금 || ||총구 화염 제거[br]반동 안정성[br]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유효 사거리[br]정조준 이동속도[br]정조준 안정성|| ||<-2>[[3D 프린터]]로 만든 브루엔제 소염기, 유효 사거리까지 줄어들어서 중장거리전이 힘들어진다. || ||'''{{{#white 데몬 헬릭스 T7}}}'''|| FTAC 리콘으로 19레벨 달성시 해금 || ||총구 화염 제거[br]반동 안정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 || || '''{{{#white 에잇-포인트 소염기}}}''' || EBR-14로 4레벨 달성시 해금 || ||총구 화염 제거[br]반동 안정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 || || '''{{{#white TZL-90 V3}}}''' || TAQ-M로 15레벨 달성시 해금 || ||총구 화염 제거[br]반동 유연성[br]반동 안정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전체적인 반동을 고루 잡아준다. || ||'''{{{#white 크로넨 모우-86}}}'''|| M13B로 6레벨 달성시 해금 || ||총구 화염 삭제[br]반동 안정성[br]반동 보정||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총구 가스를 바로 빠져나가게 하는 크로넨제 소염기, 반동이 낮아지지만 가스 배출때문에 명중률이 떨어진다. || * 기관단총 ||'''{{{#white 스파이럴 V3.5 소염기}}}'''|| PDSW 528로 7레벨 달성시 해금 || ||총구 화염 제거[br]반동 안정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나선형으로 파인 소염기 || ||'''{{{#white 폭스-202 소염기}}}'''|| 페넥 45로 16레벨 달성시 해금 || ||총구 화염 제거[br]반동 안정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 || * 저격총 ||'''{{{#white AP-390 소염기}}}'''|| MCPR-300으로 18레벨 달성시 해금 || ||총구 화염 제거[br]반동 안정성[br]반동 보정||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중장거리전부터 유용해진다. || ||'''{{{#white 포티드 DZ38}}}'''|| LA-B 330로 14레벨 달성시 해금 || ||총구 화염 제거[br]반동 보정[br]반동 안정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집탄율을 우선한 소염기, 한 점에 콕콕 박히게 만들어준다. || ||'''{{{#white 다크 KX50}}}'''|| RAAL MG로 10레벨 달성시 해금 || ||총구 화염 제거[br]반동 보정||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크로넨제 저격총용 소염기, 한발 한발 정성껏 쏘는 것이 유리해진다. || ||'''{{{#white SA 슈라우드 소염기}}}'''|| 빅터스 XMR로 2레벨 달성시 해금 || ||총구 화염 제거[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신가드 암즈제 저격총용 소염기. || ||'''{{{#white 데몬 헬릭스 XL}}}'''|| 시그널 50으로 14레벨 달성시 해금 || ||총구 화염 제거[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홈이 나선형으로 파인 대형 소염기. || * 산탄총 ||'''{{{#white 플래시 트위스트-90}}}'''|| 엑스페다이트 12로 19레벨 달성시 해금 || ||총구 화염 제거[br]반동 안정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근접전보다는 중거리전에서 유용하다. || ||'''{{{#white XTEN 쿼드플래시}}}'''|| 브라이슨 800으로 20레벨 달성시 해금 || ||총구 화염 제거[br]반동 안정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이름대로 X자로 만들어진 XTEN제 소염기. || * 권총 ||'''{{{#white XRK QZ-105}}}'''|| X12로 15레벨 달성시 해금 || ||반동 안정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XRK제 원형 소염기 || ||'''{{{#white SA GF90 소염기}}}'''|| P890으로 14레벨 달성시 해금 || ||반동 안정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신가드 암즈제 소염기 || ==== [[소음기]] ==== 무기의 총성을 감소시켜 주는 부착물. 하지만, 단순히 총성만 감소시키지는 않고, 소음기의 종류에 따라서 유효사거리나, 반동안정, 반동억제등의 부가적인 요소 또한 포함된다. 기존 총성의 고주파 사운드 임팩트를, 저주파 사운드 임팩트로 바꿔주기 때문에 다양한 소리에 쉽게 묻히게 만들어서 상대적으로 적군이 쉽게 눈치채기 어렵고,[* 주의하자. 어렵게 만드는거지, 영화처럼 소음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방식이 아닌, [[https://youtu.be/PsEIjowiDNs?t=349|100M 거리에서도 들릴 수 있을 정도]]로 본작에서의 소음억제 효과는 적다면 적게 볼 수 있다. --물론 영상의 경우 주변 교전음을 철저히 배제한 상황이기 때문에 다르다는점은 어느정도 감안하면 된다.--]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전작]] 처럼 소음기 미부착시 발생하는 방위각을 통한 위치정보를 감춰주기 때문에, 정보싸움에서도 이득을 볼 수 있다. 또한 본작에 들어서면서 '''UAV가 돌고 있을 경우''' [[https://youtu.be/PsEIjowiDNs?t=136|소음기를 부착하지 않았을 경우에, UAV스캔이 없어도 쏘는 족족 미니맵에 위치가 찍히도록]] UAV의 위상이 올라갔는데, 이것 또한 막을 수 있어 수월하게 침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주기적인 스캔의 경우에는 얄짤없다.-- 다만, 이러한 정보전에서의 이득에 대한 대가가 매우 강력한데. 평균적으로 조준사격진입속도(이하, 조.사.진)를 매우 크게 늘린다.[* 단, 일부 소음기의 경우 조준사격진입속도 증가 디버프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 때문에 늘어난 조.사.진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조사진을 줄여주는 부착물을 2개~4개등 추가적으로 달아야 하며, 그것들을 달지 않고 사용할 경우 근거리 교전은 한수 접고 들어간다고 봐야한다. * 소총류 ||'''{{{#white 사일런트파이어 XG6}}}'''|| ISO 햄록으로 12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반동 안정성[br]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br]정조준 안정성|| ||<-2>엑스페다이트제 소음기 || ||'''{{{#white 에코라인 GS-X}}}'''|| TAQ-V로 16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반동 유연성||유효 사거리|| ||<-2>슈어파이어제 [[https://www.surefire.com/products/suppressors-division/suppressors/socom556-mini2-suppressor/|Socom556 Mini2 소음기]]가 모델인 소음기, 반동이 튀는 정도가 줄어든다. || ||'''{{{#white 하브링어 G20}}}'''|| STG 556으로 18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유효 사거리[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br]정조준 이동속도|| ||<-2>탄속과 유효 사거리를 높혀주는 소음기 || ||'''{{{#white 에코리스-90}}}'''|| TAQ-56로 14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유효 사거리[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 ||'''{{{#white FSS 커버트 Ⅴ}}}'''|| HCR 56로 13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FSS제 소음기 || ||'''{{{#white 게이지-9 모노}}}'''|| 카스토프-74U로 17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반동 유연성[br]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br]정조준 이동속도[br]유효 사거리|| ||<-2>중형 소음기, 반동을 더 낮춰주지만 정조준에 악영향을 주는 것도 모자라 사거리까지 감소시킨다. || ||'''{{{#white FTAC 드레드노트}}}'''|| FTAC 리콘으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반동 안정성[br]탄속||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https://www.silencershop.com/oss-hx-qd-7-62mm.html|OSS Helix사의 OSS HX-QD 762]] 소음기가 모델인 포지택제 소음기. 다른 소음기와는 다르게 탄속이 소폭 증가한다. || ||'''{{{#white 폴라파이어-S}}}'''|| 라흐만 762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유효 사거리[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 || || '''{{{#white 허셔-65 소음기}}}''' || SO-14로 16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중거리전에 적합한 소음기, 근접을 허용하면 안된다. || || '''{{{#white ZLR 탈론5}}}''' || TAQ-M으로 22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유효 사거리[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br]정조준 이동사격 속도|| ||<-2> ZLR제 소음기. 천으로 감싼 외형이 특징으로 중장거리전에 굉장히 도움을 주지만 근접전이 한없이 약해진다. || ||'''{{{#white 줄루-60}}}'''|| SP-R 208으로 3레벨 달성시 해금[br]M13B로 19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반동 유연성[br]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br]정조준 이동사격 속도[br]유효 사거리|| ||<-2> 중거리전용 소음기, 사거리가 줄어들어서 장거리전은 끊어쏴야 제대로 맞는다. || || '''{{{#white 카스토비아 DX90}}}''' || 카스토프 762로 2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반동 유연성[br]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사격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중거리까지는 반동을 잡을 수 있는 소음기, 장거리로 가면 명중률이 떨어진다. || ||'''{{{#white FR 타이탄 소음기}}}'''|| 키메라로 13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반동 유연성||사거리|| ||<-2> 집탄율을 향상시키지만 전체적인 사거리가 줄어든다. || * 기관단총 ||'''{{{#white XTEN RR-40}}}'''|| PDSW 528으로 13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유효 사거리[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XTEN제 소음기 || ||'''{{{#white 포지 DX90-F}}}'''|| MX9로 15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반동 유연성||유효 사거리|| ||<-2> 포지택제 소음기, 에임이 흔들리는 것을 줄여주지만 사거리가 감소한다. || ||'''{{{#white SA 슈할댐프퍼 99}}}'''|| 라흐만 서브로 18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반동 유연성[br]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br]정조준 이동사격 속도[br]유효 사거리|| ||<-2> 신가드 암즈제 소음기, 정조준에 온갖 악영향을 주고 사거리까지 낮춘다. || ||'''{{{#white 신가드 MKV}}}'''|| 벨 46으로 16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유효 사거리[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br]정조준 이동사격 속도|| ||<-2> 신가드 암즈제 소음기, 사거리를 늘려주지만 정조준 사격이 불안정해진다. || ||'''{{{#white EXF 헌트리스-90}}}'''|| 미니박으로 7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반동 유연성[br]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br]정조준 이동사격 속도[br]유효 사거리|| ||<-2> 엑스페다이트제 소음기, 근접전 이외에는 장거리 사격에 불이익을 준다. || ||'''{{{#white XTEN 블랙 카이트}}}'''|| ?으로 ?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반동 유연성[br]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사격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XTEN제 소음기, 다른 소음기보다 정조준 안정성이 더 줄어든다. || ||'''{{{#white FSS 커버트 Ⅳ}}}'''|| BAS-P로 3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반동 유연성[br]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사거리[br]정조준 이동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FSS제 소음기, 정조준 사격이 불리해진다. || * 저격총 ||'''{{{#white 닐사운드 90}}}'''|| SP-X 80으로 8레벨 달성시 해금[br]시그널 50으로 19레벨 달성시 해금 || ||피해 사거리[br]탄속||정조준 안정성|| ||<-2> 장거리 피해 거리를 늘려주지만 정조준 사격이 불안해진다. || ||'''{{{#white FTAC 드레드노트}}}'''|| ?로 ?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반동 안정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포지택제 소음기, 인게임 내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유효 사거리까지 감소한다. || ||'''{{{#white FTAC 리퍼}}}'''|| MCPR-300으로 10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피해 사거리[br]반동 안정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br]정조준 이동속도|| ||<-2> 포지택제 소음기, 정조준 사격이 힘들어지지만 그것을 저반동으로 극복해내야 한다. || ||'''{{{#white 브루엔 에이전트 90}}}'''|| 시그널 50으로 8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피해 사거리[br]반동 안정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br]정조준 이동속도|| ||<-2> 브루엔제 소음기, FTAC 리퍼와 성능 변화가 동일하다. || ||'''{{{#white 탈론 식스틴}}}'''|| 빅터스 XMR로 25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반동 안정성[br]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br]정조준 이동속도[br]피해 사거리|| ||<-2> 천으로 감싼 소음기, 피해 사거리가 떨어져서 중장거리전에서 불리해진다. || ||'''{{{#white EXF 리렌트리스-40}}}'''|| RAAL MG로 21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반동 안정성[br]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피해 사거리[br]정조준 이동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엑스페다이트제 뭉특한 소음기, 무거운만큼 반동도 그만큼 줄어든다. || ||'''{{{#white 브루엔 L40 코브라}}}'''|| 빅터스 XMR로 14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반동 유연성[br]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br]정조준 이동속도[br]유효 사거리|| ||<-2> 브루엔제 저격총용 소음기. 반동이 탁월해진다. || ||'''{{{#white 브루엔 카운터-옵스}}}'''|| 빅터스 XMR로 21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유효 사거리[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br]정조준 이동속도|| ||<-2> 가차없는 총성을 지닌 브루엔제 소음기. || * 산탄총 ||'''{{{#white SA 슈바이젠 DX}}}'''|| 엑스페다이트 12로 8레벨 달성시 해금 || ||탄속[br]피해 사거리[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br]정조준 이동속도|| ||<-2> 신가드 암즈제 산탄총용 소음기, [[크고 아름답다]]. || ||'''{{{#white SA 슈바이젠 XS}}}'''|| 브라이슨 800으로 15레벨 달성시 해금 || ||탄속[br]반동 유연성[br]피해 사거리||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신가드 암즈제 산탄총용 소음기, DX보다 살짝 크기가 작으며 반동 패턴을 좀 더 많이 잡아준다. || ||'''{{{#white FTAC 트라이덴트코어}}}'''|| 브라이슨 890으로 20레벨 달성시 해금 || ||반동 유연성||피해 사거리|| ||<-2> 포지텍제 산탄총용 소음기, 반동 패턴이 개선된다. || ||'''{{{#white SA MX-50}}}'''|| 브라이슨 800으로 11레벨 달성시 해금 || ||탄속[br]피해 사거리[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신가드 암즈제 산탄총용 소음기, 슈바이젠 시리즈와는 달리 이동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 권총 ||'''{{{#white CN30 소음기}}}'''|| X13으로 10레벨 달성시 해금 || ||탄속[br]반동 유연성[br]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br]정조준 이동속도[br]유효 사거리|| ||<-2> 중거리까지는 안정적으로 사격할 수 있게 해주는 소음기다. || ||'''{{{#white 포지 DX90-F(9mm)}}}'''|| X12로 11레벨 달성시 해금 || ||탄속[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포지택제 9mm탄용 소음기, 당연히 9mm탄을 쓰는 권총만 장착할 수 있다. || ||'''{{{#white 포지 DX90-F(.45)}}}'''|| P890으로 21레벨 달성시 해금 || ||장점||단점|| ||<-2> 포지택제 45구경탄용 소음기, 당연히 45구경탄을 쓰는 권총만 쓸 수 있다. || ||'''{{{#white FT 스틸 파이어}}}'''|| P890으로 24레벨 달성시 해금 || ||탄속[br]유효 사거리[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br]정조준 이동속도|| ||<-2> 포지택제 네모난 소음기. 정조준 사격에 애로사항이 꽃핀다. || ||'''{{{#white 하브링어 D20}}}'''|| P890으로 25레벨 달성시 해금 || ||유효 사거리[br]소음 효과[br]반동 유연성[br]탄속||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br]정조준 이동속도|| ||<-2> - || ==== [[컴펜세이터]] ==== 특정한 반동을 잡아내는 부착물 * 소총류 ||'''{{{#white RF 크라운 50}}}'''|| TAQ-56으로 16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성[br]수직 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반동을 탁월하게 잡아주는 컴펜세이터 || ||'''{{{#white 코모도 헤비}}}'''|| 라흐만 556으로 18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수평 반동만 잡아준다. || ||'''{{{#white XTEN 포티드 290}}}'''|| HCR 56으로 16레벨 달성시 해금 || ||수직 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수직 반동만 잡아두는 XTEN제 컴펜세이터, 중장거리전에 약간이나마 도움을 준다. || ||'''{{{#white 크로넨 OP44}}}'''|| ISO 햄록으로 7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성[br]수직 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크로넨제 컴펜세이터 || ||'''{{{#white FTAC 캐슬 컴펜세이터}}}'''|| 556 이카루스로 10레벨 달성시 해금[br]MX9으로 12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성[br]수직 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포지택제 컴펜세이터 || ||'''{{{#white XTEN 하복 90}}}'''|| 카스토프 545로 8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성[br]수직 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XTEN제 컴펜세이터 || ||'''{{{#white 사킨 트레드-40}}}'''|| STB 556으로 4레벨 달성[br]RAPP H로 14레벨 달성 || ||수직 반동 제어성[br]수평 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수직 반동을 많이 잡아내는 사킨제 컴펜세이터, 해금 조건을 보면 알겠지만 둘 중 하나만 일정 레벨에 도달하면 해금된다. 이 경우 STB 556 혹은 RAPP H로 해당 부착물을 먼저 해금하면 다른 한쪽은 달성할 필요가 없어지니 다음 부착물을 해금하기 위한 요구 경험치 필연적으로 2배가 되어버린다. || ||'''{{{#white 슈레드 CP90}}}'''|| FTAC 리콘으로 11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성[br]수직 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 || || '''{{{#white 템푸스 GH50}}}''' || TAQ-V로 14레벨 달성시 해금 || ||수직 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템푸스제 컴펜세이터. || || '''{{{#white TY-LR8}}}''' || SA-B 50으로 17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중형 컴펜세이터. || || '''{{{#white 보어-490}}}''' || SO-14로 14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br]수직 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수평 반동을 주로 잡는 컴펜세이터. || ||'''{{{#white FJX 펄크럼 프로}}}'''|| M13B로 11레벨 달성시 해금 || ||수직 반동 제어[br]수평 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수직 반동을 잡는 FJX제 컴펜세이터. || ||'''{{{#white SA 레벨러 55}}}'''|| 키메라로 17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br]수직 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신가드 암즈제 컴펜세이터. || * 기관단총 ||'''{{{#white 브루엔 펜듈럼}}}'''|| PDSW 528로 28레벨 달성시 해금 || ||수직 반동 제어성[br]수평 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브루엔제 컴펜세이터 || ||'''{{{#white AVR-T90 COMP}}}'''|| 바즈네즈-9K로 4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성[br]수직 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사이드 벤트 컴펜세이터 || ||'''{{{#white XTEN 레이저 COMP}}}'''|| FSS 허리케인으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성[br]수직 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원래 포지택제였지만 후속 패치로 XTEN제로 변경되었다. || ||'''{{{#white XRK 샌드스톰}}}'''|| 페넥 45로 10레벨 달성시 해금 || ||수직 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XRK제 컴펜세이터, 기관단총에게 있어 수직 반동을 잡는 것은 아주 좋다. || ||'''{{{#white 락샷 KT85}}}'''|| RPK로 9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성[br]수직 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반동을 골고루 잡아내는 컴펜세이터 || ||'''{{{#white 브루엔 큐빅 COMP}}}'''|| 벨 46으로 13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성[br]수직 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브루엔제 컴펜세이터 || ||'''{{{#white 라세르타 컴펜세이터}}}'''|| BAS-P로 22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정조준 이동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수평 반동을 제어하지만 정조준 사격이 불안해진다. || * 저격총 ||'''{{{#white BVM-338}}}'''|| 락우드 mk2로 14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br]수직 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대구경용 컴펜세이터, 좌우반동을 탁월하게 잡아준다. || ||'''{{{#white 크로넨 DM338}}}'''|| MCPR-300으로 23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크로넨제 컴펜세이터, 수직 반동은 못잡으면서 정조준 사격까지 악영향을 미친다. || ||'''{{{#white XRK 크라켄}}}'''|| SP-X 80으로 11레벨 달성시 해금 || ||수직 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XRK제 최신형 컴펜세이터, 에임 들림을 확실하게 막아준다. || ||'''{{{#white TA CG76}}}'''|| RAAL MG로 15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br]수직 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템푸스제 컴펜세이터. || ||'''{{{#white H26 포티드}}}'''|| 시그널 50으로 16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기묘한 외형의 컴펜세이터. || ||'''{{{#white 비질란트 COMP}}}'''|| 빅터스 XMR로 12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br]수직 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안정성에 약간의 충격을 주는 각진 컴펜세이터. || ||'''{{{#white 리전 파이어 COMP}}}'''|| 시그널 50으로 21레벨 달성시 해금 || ||수직 반동 제어[br]수평 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수직 반동을 잡아주는 컴펜세이터. || * 산탄총 ||'''{{{#white RMGE-7}}}'''|| 엑스페다이트 12로 16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br]수직 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연사시 반동을 잡아준다. || ||'''{{{#white 락우드 스무스파이어 12}}}'''|| 브라이슨 800으로 18레벨 달성시 해금 || ||수직 반동 제어[br]수평 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락우드제 중(重)형 컴펜세이터. || ||'''{{{#white OVL-70 COMP}}}'''|| 브라이슨 890으로 11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반자동/자동 산탄총의 수평 반동을 어느 정도 잡아줄 수 있다. || ||'''{{{#white 롱 하울 50}}}'''|| KV 브로드사이드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수직 반동 제어[br]수평 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컴펜세이터 연결부에 충구 화염이 나오게 하는 구멍이 나있다. || ||'''{{{#white 울프콜 300}}}'''|| KV 브로드사이드로 13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 제어[br]수직 반동 제어|| 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길쭉한 컴펜세이터, 겉으로만 보면 수평 반동을 씹어버릴 수 있을 것 같아 보인다. || * 권총 ||'''{{{#white DZS 오픈 COMP}}}'''|| X13으로 20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제어[br]수직 반동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두꺼운 총구. || ||'''{{{#white 슬랩-10 COMP}}}'''|| P890으로 19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제어[br]수직 반동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정밀한 권총을 위한 컴펜세이터. || ||'''{{{#white XRK 벤토르-90}}}'''|| P890으로 16레벨 달성시 해금 || ||수직 반동제어[br]수평 반동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XRK제 네모난 컴펜세이터, 수직 반동을 우선적으로 잡는다. || ||'''{{{#white COMP 905F 피스톨}}}'''|| X12로 3레벨 달성시 해금 || ||수직 반동제어[br]수평 반동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권총 슬라이드와 맞먹는 크기를 지닌 컴펜세이터, 수직 반동을 우선적으로 잡는다. || ||'''{{{#white 브루엔 트라이-포트}}}'''|| X12로 18레벨 달성시 해금 || ||수직 반동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브루엔제 컴펜세이터, 수평 반동은 잡지 못한다. || ||'''{{{#white 코버스 시리즈-D}}}'''|| X13으로 14레벨 달성시 해금 || ||수평 반동제어||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코버스제 컴펜세이터, 수직 반동은 잡지 못한다. || ==== 브리쳐 ==== 백병전 성능을 대폭 올려주는 부착물. 백병전 피해량이 1대 때리면 사망할 정도로 높아지나 백병전 피해 증가 이외의 장점이 없으니 손잡이, 그립 등 다른 부착물들로 성능이 충분히 커버되면 하나 달아놓아 손해볼 건 없다. * 소총류 ||'''{{{#white C400 도어 노커}}}'''|| M16으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근접공격||정조준 속도|| ||<-2>근접공격을 향상시켜준다. || || '''{{{#white GL 클리어 브리치}}}''' || TAQ-V로 12레벨 달성시 해금 || ||근접공격||정조준 속도|| ||<-2> 중형 브리처. || || '''{{{#white TA HUL-브리치 KL}}}''' || 카스토프 762로 12레벨 달성시 해금 || ||근접공격||지향사격 이동속도|| ||<-2> 적용시 소총을 장비하면 이동속도가 줄어든다. || ||'''{{{#white JCZ-390 머즐 디바이스}}}'''|| M13B로 15레벨 달성시 해금 || ||근접공격력 향상||지향사격 이동속도|| ||<-2> 근접전용 총구. 단점 스탯이 저래 서술되어 있지만 사실상 이동속도가 줄어든 것이나 마찬가지다. || * 기관단총 ||'''{{{#white XRK 넉아웃 브리치}}}'''|| FSS 허리케인으로 13레벨 달성시 해금 || ||근접공격||정조준 속도|| ||<-2> XRK 브리쳐 || ||'''{{{#white TA-HUL 브리치}}}'''|| 페넥 45로 3레벨 달성시 해금 || ||근접공격||지향사격 이동속도|| ||<-2> 템푸스제 중형 브리쳐, 그냥 이동할 때의 속도가 줄어든다. || * 산탄총 ||'''{{{#white 벌쳐 크로우 브리쳐}}}'''|| 엑스페다이트 12로 12레벨 달성시 해금 || ||근접공격||정조준 속도|| ||<-2> 러시아제 산탄총용 브리쳐. || ||'''{{{#white 맥8 프로스트바이트}}}'''|| ?로 ?레벨 달성시 해금 || ||근접공격||탄속[br]지향사격 이동속도|| ||<-2> 지향사격에만 이동속도가 낮아진다고 되어 있지만 사실상 이동속도가 감소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 * 권총 ||'''{{{#white 홀펀치 브리쳐}}}'''|| P890으로 9레벨 달성시 해금 || ||근접공격||정조준 속도|| ||<-2> - || ==== 초크 ==== 산탄총 전용 부품, 전체적인 산탄도를 결정짓는다. ||'''{{{#white XTEN 풀 초크}}}'''|| 엑스페다이트 12로 23레벨 달성시 해금 || ||피해 사거리||정조준 속도|| ||<-2> XTEN제 초크. || ||'''{{{#white XTEN 개조 초크}}}'''|| 엑스페다이트 12로 29레벨 달성시 해금 || ||산탄도[br]피해 사거리||정조준 속도[br]반동 안정성|| ||<-2> XTEN제 초크를 개조해 산탄도를 낮췄지만 반동이 더 커진다. || ||'''{{{#white 브라이슨 개선된 초크}}}'''|| 브라이슨 800으로 4레벨 달성시 해금 || ||산탄도[br]피해 사거리||반동 안정성[br]정조준 속도|| ||<-2> 브라이슨제 개량형 초크, 반동이 이리저리 튄다. || ||'''{{{#white 브라이슨 초크}}}'''|| 브라이슨 890으로 15레벨 달성시 해금 || ||산탄도||반동 안정성[br]정조준 속도|| ||<-2> 단순히 산탄도를 낮춰주는 브라이슨제 초크. || === 총열 하부 === 설계도로 입수한 하부 총열 부착물 스킨들은 사용하는 모든 총기들이 공유할 수 있다. ==== 각진 손잡이 ==== 근접전 지향의 성능 변화를 보여준다. 23.03.16 시즌 2 리로디드 업데이트로 버프되었다. 조준 속도 패널티가 붙은 각진 손잡이의 조준 속도 패널티가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white 코만도 그립}}}'''|| BAS-P로 8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초기 안정성[br]반동 안정성||정조준 속도|| ||<-2> 반동을 탁월하게 잡아내준다. || ||'''{{{#white 엣지-47 그립}}}'''|| 카스토프-74U로 9레벨 달성시 해금[br]M13B로 16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안정성[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 ||<-2>- || ||'''{{{#white 데모 펌 그립}}}'''|| 락우드 mk2로 9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안정성[br]지향사격 명중률[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br]이동속도|| ||<-2>근접전을 강화시키는 데모제 각진 손잡이, 이동속도가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 ||'''{{{#white XTEN 그레이브디거}}}'''|| 시그널 50으로 9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초기 안정성[br]지향사격 명중률[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br]이동속도|| ||<-2>초탄 명중률을 끌어올려주는 XTEN제 각진 손잡이로 근접전의 제왕으로 거듭나게 만들어준다. || ||'''{{{#white FTAC 리퍼 56}}}'''|| 라흐만 762로 6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초기 안정성[br]지향사격 명중률[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br]이동속도|| ||<-2>포지택제 각진 손잡이, 근접전의 제왕으로 만들어준다. || ||'''{{{#white 데모 클린샷 40}}}'''|| 락우드 300으로 8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초기 안정성[br]지향사격 명중률[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br]이동속도|| ||<-2>데모제 접이식 손잡이, 근접전의 제왕이 되게 해준다. || ||'''{{{#white 데모 임프-44 그립}}}'''|| TAQ-56으로 6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초기 안정성[br]지향사격 명중률[br]반동 유연성||정조준 속도[br]이동속도|| ||<-2>데모제 각진 손잡이 || ||'''{{{#white FTAC 타이거 그립}}}'''|| || ||정조준 초기 안정성[br]지향사격 명중률[br]반동 유연성||이동속도[br]정조준 속도|| ||<-2>포지택제 각진 손잡이, 이동속도가 더 느려저서 이탈 속도도 느려진다. || ||'''{{{#white FSS 샤크핀 90}}}'''|| M4로 6레벨 달성시 해금[br]페넥 45로 2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초기 안정성||-|| ||<-2>FSS제 각진 손잡이, 단순히 초탄 명중률을 올려준다. || ||'''{{{#white 요원 그립}}}'''|| X13 오토로 17레벨 달성 || ||정조준 초기 안정성[br]지향사격 명중률||이동속도|| ||<-2>- || ||'''{{{#white 브루엔 싱크 샷 그립}}}'''|| PDSW 528로 22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초기 안정성[br]지향사격 명중률||이동속도|| ||<-2>브루엔제 각진 손잡이 || ||'''{{{#white XTEN 드랍 그립}}}'''|| STG 556으로 8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초기 안정성[br]지향사격 명중률||이동속도|| ||<-2>XTEN제 각진 손잡이 || ||'''{{{#white 페이즈-3 그립}}}'''|| 바즈네즈-9K로 9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초기 안정성[br]지향사격 명중률[br]반동 유연성||이동속도[br]정조준 속도|| ||<-2>- || ||'''{{{#white XTEN 넥서스 그립}}}'''|| BAS-P로 2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초기 안정성[br]반동 안정성||정조준 속도|| ||<-2> 안정성을 높혀주는 XTEN제 각진 손잡이. || ==== [[수직 손잡이]] ==== 근접대응력을 높혀준다. 23.03.16 시즌 2 리로디드 업데이트로 버프되었다. 조준 속도 패널티가 붙은 수직 손잡이의 조준 속도 패널티가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white 용병 수직 손잡이}}}'''|| TAQ-V로 6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사격 명중률[br]반동 안정성[br]지향사격 반동 제어성[br]정조준 이동사격 안정성||지향사격 이동속도[br]정조준 속도|| ||<-2>흔한 수직 손잡이지만 스탯 증감이 전작과 달라졌다. || ||'''{{{#white 락그립 프리시전-40}}}'''|| 라흐만 서브로 9레벨 달성시 해금|| ||지향사격 명중률[br]반동 안정성[br]정조준 이동사격 안정성||정조준 속도|| ||<-2>- || ||'''{{{#white 헥스-40 그립}}}'''|| ISO 햄록으로 9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사격 명중률[br]반동 안정성[br]정조준 이동사격 안정성[br]지향사격 반동 제어성||정조준 속도[br]지향사격 이동속도|| ||<-2>정조준 속도가 느려진다. || ||'''{{{#white 슐라거 탱고}}}'''|| 카스토프 762로 7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사격 명중률[br]정조준 이동사격 안정성[br]반동 안정성||정조준 속도|| ||<-2>슐라거제 수직 손잡이 || ||'''{{{#white VX 파인애플}}}'''|| 556 이카루스로 14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사격 명중률[br]지향사격 반동 제어성[br]반동 안정성[br]정조준 이동사격 안정성||지향사격 이동속도[br]정조준 속도|| ||<-2>- || ||'''{{{#white 브루엔 워리어 그립}}}'''|| 사킨 MG38로 12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사격 명중률[br]지향사격 반동 제어성[br]반동 안정성[br]반동 안정성||지향사격 이동속도[br]정조준 속도|| ||<-2>브루엔제 수직 손잡이 || ==== 뭉툭한 손잡이 ==== 본작에서 새로 등장한 카테고리, 지향사격에 모든 것을 건 근접전의 극을 향하는 부착물이다. 23.03.16 시즌 2 리로디드 업데이트로 버프되었다. 조준 속도 패널티가 붙은 뭉툭한 손잡이의 조준 속도 패널티가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white OP-X9 수직 손잡이}}}'''|| EBR-14로 6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사격 명중률[br]지향사격 반동 제어성[br]반동 안정성[br]지향사격 이동사격 안정성||지향사격 이동속도[br]정조준 속도|| ||<-2>위와는 달리 근접전을 극히 강화시켜주는 뭉특한 손잡이다. || ||'''{{{#white 오퍼레이터 수직 손잡이}}}'''|| 벨 46으로 3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사격 명중률[br]정조준 이동사격 안정성[br]지향사격 반동 제어성||지향사격 이동속도|| ||<-2>- || ||'''{{{#white TV 웨커 그립}}}'''|| HCR 56으로 10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사격 명중률[br]정조준 이동사격 안정성||-|| ||<-2> 택티크 베르트제 수직 손잡이 || ||'''{{{#white 브루엔 틸트 그립}}}'''|| TAQ-56으로 13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사격 명중률[br]지향사격 반동 제어성[br]정조준 이동사격 안정성||지향사격 이동속도|| ||<-2>브루엔제 뭉특한 손잡이 || ||'''{{{#white 크로넨 그루브샷 그립}}}'''|| 브라이슨 800으로 7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사격 명중률[br]지향사격 반동 제어성[br]정조준 이동사격 안정성||지향사격 이동속도|| ||<-2>크로넨제 뭉특한 손잡이 || ||'''{{{#white EXF 백드래프트 그립}}}'''|| BAS-P로 17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사격 명중률[br]지향사격 반동 제어[br]정조준 이동사격 안정성[br]반동 안정성||지향사격 이동속도[br]정조준 속도|| ||<-2> 손잡이쪽에 구멍이 숭숭 뚫린 엑스페다이트제 뭉특한 손잡이, 전체적인 명중률 향상시켜주나 이동속도가 느려진다. || ==== [[양각대]] ==== 거치했을 때 안정성을 향상시켜준다. 양각대 특성상 수평으로 놓인 벽에 놓여야 안정성이 높아지는데 수직으로 놓인 벽에 거치해도 안정성이 높아진다. 또한 바닥에 엎드린 상태에서 거치할 수 있는 '바이포드 마운트' 기능으로 인해 포복시 반동을 크게 줄일 수 있다. ||'''{{{#white 바이포드 V9 그립}}}'''|| TAQ-V로 19레벨 달성시 해금 || ||바이포드 마운트[br]반동 안정성||정조준 속도|| ||<-2>양각대 그립, 벽에 거치했을 때 안정성을 향상시켜준다. 23.03.16 시즌 2 리로디드 업데이트로 버프되었다. 조준 속도 패널티가 118ms에서 25ms로 줄어들었다. || ||'''{{{#white 레벨 에임 양각대}}}'''|| SP-R 208로 8레벨 달성시 해금 || ||바이포드 마운트||정조준 속도|| ||<-2>- || ||'''{{{#white 코너스톤 양각대}}}'''|| MCPR-300으로 19레벨 달성시 해금 || ||바이포드 마운트||정조준 이동사격 속도|| ||<-2>정조준 이동사격 속도가 감소하는 양각대 || ||'''{{{#white XTEN 스테이블 샷}}}'''|| 빅터스 XMR로 6레벨 달성시 해금 || ||바이포드 마운트||전력질주 속도|| ||<-2>전력질주 속도가 감소하는 XTEN제 양각대 || ||'''{{{#white RPK 양각대}}}'''|| RPK로 14레벨 달성시 해금 || ||거치 가능||정조준 속도|| ||<-2> 엎드렸을때 거치할 수 있다. || ||'''{{{#white 브루엔 헤비 바이포드}}}'''|| 로 레벨 달성시 해금 || ||거치 가능||정조준 속도|| ||<-2> AUG HBAR의 양각대. 브루엔제로 나온다. || ||'''{{{#white 코어 BP-2}}}'''|| ISO 햄록으로 22레벨 달성시 해금 || ||양각대||-|| ||<-2> 양각대 손잡이, 수직 손잡이도 겸하기 때문에 반동잡기가 쉬워진다. || ==== 하부 무장 ==== 카스토프 74U를 제외한 돌격소총과 SO-14를 제외한 전투소총, 그리고 KV 브로드사이드와 템푸스 토렌트에 장착할 수 있는 무장들이다. 하부 무장은 사용 키가 B키에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 무장을 장착할 시 사격 방식을 설정할 수 없다. M16이나 배틀 라이플에 하부 무장을 달 때 유의할 점. 드럼탄창을 사용하고 있을때는 하부 무장을 장착할 수 없게 제한이 되어있다. 정작 동일한 탄약을 채워주는 카스켓 탄창의 경우에는 제한없이 장착이 가능해진다. 23.03.16 시즌 2 리로디드 업데이트로 버프되었다. 모든 하부 무장의 이동속도 패널티가 제거되었고 반동 제어 보너스가 붙었다. 그리고 유탄 발사기의 기본 탄환 수가 1개에서 2개로 늘었다. ||'''{{{#white [[M203 유탄발사기|SPW 40mm]]}}}'''|| M16으로 13레벨 달성시 해금 || ||하부 유탄발사기||정조준 속도[br]이동속도|| ||<-2>M4 플랫폼의 소총 시리즈와 M13에 사용되는 크로넨 사의 M-203 표준 [[유탄발사기]]. 개명된 이름과 다르게 모델링에는 '''40MM M203'''이라고 적혀있다. || ||'''{{{#white [[GP-25|KL40-M2]]}}}'''|| 카스토프 762로 15레벨 달성시 해금 || ||하부 유탄발사기||정조준 속도[br]이동속도|| ||<-2>표준 길이의 카스토프 플랫폼 소총/샷건에 장착되는 GP [[유탄발사기]]. || ||'''{{{#white [[Mk.13 EGLM|헬스크림 40mm]]}}}'''|| TAQ-56으로 15레벨 달성시 해금 || ||하부 유탄발사기||정조준 속도[br]이동속도|| ||<-2>택틱 베르트 총기를 위해 제작된 Mk.13 [[유탄발사기]]. || ||'''{{{#white TL40 파이어 드레이크}}}'''|| STB556으로 16레벨 달성시 해금 || ||하부 유탄발사기||정조준 속도[br]이동속도|| ||<-2>대부분의 소총에 사용되는 포지택제 단총열 [[유탄발사기]]. M320 비슷하게 생긴 기묘한 외형을 하고 있으며 모티브는 MP5에 부착 가능한 유탄발사기인 ISL-200으로 추정된다. 정작 본작의 라흐만 서브는 유탄 발사기를 사용할 수 없다. || ||'''{{{#white [[KAC 마스터키|코르부스 마스터키]]}}}'''|| 카스토프 545로 18레벨 달성시 해금 || ||하부 산탄총||정조준 속도|| ||<-2>코부스제 반자동 하부 산탄총. 그런데 제품에는 DEMO의 각인이 되어있다. 미국에서 만든 무장이지만 AK 플랫폼을 통해 해금해야 해서 꽤 열심히 달려야 한다. 전작과 달리 16발의 예비탄약과 4발의 장탄수를 가졌고, 사거리도 길어졌다. 성능은 엑스페다이트 12를 하부 무장으로 달았다고 보면 될 수준인데, 하부 무장이란 특성을 생각하면 무난한 편. 무기 교체식이 아니라 샷건과 소총 모드를 스피디하게 바꿀 수 있어[* [[레인보우 식스 시즈]]의 [[벅(레인보우 식스 시즈)|CAMRS / C8 SFW]], [[배틀필드 4]]의 [[M26 MASS]]의 조작방식과 비슷하다.], 코너 쪽에선 샷건을, 롱 쪽에선 소총을 사용하며 유연한 조작이 가능해진다. 의도는 알 수 없지만 KV 브로드사이드 샷건에도 장착할 수 있어서 [[치도리 미치루|쌍샷건]]을 구현해줄 수 있다. || ||'''{{{#white 코르부스 토치}}}'''|| 하부 총열 샷건으로 적 15명 영거리 처치 || ||하부 산탄총[br]소이탄 피해||정조준 속도|| ||<-2>용의 숨결 탄을 장전한 마스터키. 용숨탄 자체가 KV 브로드사이드나 MX 가디언이 아니면 힘을 못쓰는 탄종이라 성능은 그저 그런 듯.|| ||'''{{{#white SPW 40mm 드릴}}}'''|| 크로넨 스콜로 26레벨 달성시 해금 || ||하부 드릴 차지||정조준 속도[br]이동속도|| ||<-2> M203 유탄발사기에 유탄 대신 써멀 랜스를 사용하는 드릴 차지를 사용한다. 전술 장비와 함께 사용하면 총 4개의 드릴 차지를 갖고 다닐 수 있지만 탄도가 드릴 차지와 비슷하다보니 기존 유탄발사기처럼 사용하면 땅바닥으로 향하지 않고 건물 벽으로 날아가는 모습만 볼 수 있다. || === 탄종 === 뱅가드에서 보여줬던 탄종에 모던 워페어 당시의 시스템이 추가되고 실제로 뱅가드에서 크게 문제가 되었던 대미지가 대폭 증가되던 일부 밸런스 붕괴 탄약들이 없어졌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어떤 탄종을 쓰던간 장애물 관통력 증가,경직,체력 회복 지연 정도의 효과만 있을뿐 대미지가 더 강력해진다던가 했던건 사실상 없어졌다고 봐도 좋다. 시리즈 전통의 FMJ는 철갑탄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실제 군용 총기들에 쓰이는 일반 탄약들은 전부 [[FMJ]]에 해당된다. 즉 오랜 기간동안 행해진 고증오류가 고쳐진 셈.] 할로우 포인트, 고압탄 등은 모던 워페어 리부트 당시의 총기특전중 파쇄탄 등을 가져왔다. 한 플랫폼에 배정된 탄종은 모두 공용이 되면서 플랫폼에 있는 다른 무기도 동일한 탄종을 쓸 수 있게 되었다. ||<-2>'''{{{#white 아음속탄}}}'''|| ||사살된 적의 킬 마커 숨김|||| ||<-2>MX-9, BAS-P, 라흐만 슈라우드 등에 삽탄되는 9mm 패러블럼, 9mm 마카로프, .45 ACP, .300BLK 탄들의 고유 특성. 모든 탄종의 속성으로 탄속이 느리지만 적을 사살했을때의 킬 마커 숨김 처리가 되는 효과가 있다. 키메라는 이 아음속 특성 덕에 탄종 개조중 고속탄 개조를 할 수 없다. || ||<-2>'''{{{#white 철갑탄}}}'''|| ||관통력 개선[br]이동수단 피해량 증가|||| ||<-2>시리즈 전통의 FMJ/전피갑탄. 5.45mm 탄약 철갑탄의 경우 7N39가, 9mm 탄약의 경우 VBR사의 AP 6.3이 된다. 전작처럼 LMG 등으로 공중 킬스트릭을 빠르게 격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피해량은 약 40%정도도 증가한다. 탄속감소 패널티는 사라짐|| ||<-2>'''{{{#white 할로 포인트}}}'''|| ||이동 저지력||관통력 저하|| ||<-2>적의 이동속도를 저지하는 특수탄. 전작 파쇄탄-저지의 이동속도 방해효과를 가져왔다. 다리에 맞췄을 때만 효과가 있으며, 달리기를 못하게 만들며, 약간의 비틀거리는 효과를 준다. 23.03.16 시즌 2 리로디드 업데이트로 버프되었다. 탄속 패널티가 사라졌다.|| ||<-2>'''{{{#white 파쇄탄}}}'''|| ||부상 효과||관통력 저하|| ||<-2>착탄시 비산하여 적의 치료를 지연시키는 특수탄이다. 전작의 파쇄탄-치명상 특전을 가져왔으며, 권총탄의 경우 R.I.P 탄의 외형을 하고있다. 23.03.16 시즌 2 리로디드 업데이트로 조정되었다. 유효 사거리 패널티가 사라졌다. 치료 지연 타이머가 첫 번째 탄환 피격이 아닌 마지막 탄환 피격에 작동하도록 변경되었다. 대신 치료 지연 시간이 9.7초에서 8.6초로 감소했다.|| ||<-2>'''{{{#white 고압탄+P}}}'''|| ||경직 증가|||| ||<-2>화약량을 증가시켜 더 강력하게 적을 제압하는 특수탄. 적이 받는 에임펀치가 대폭 늘어나는 탄약(맞딜할 때, 상대방의 에임이 더 흔들림)이다. 돌격소총/기관단총류를 상대로는 에임펀치의 효과가 적은 편이지만, 볼트액션 DMR이나 저격소총 상대로는 사용 유무의 차이가 상당히 크다. 23.03.16 시즌 2 리로디드 업데이트로 버프되었다. 반동 증가 패널티가 사라졌다. 적 경직 증가량이 증가했다.|| ||<-2>'''{{{#white 고속탄}}}'''|| ||탄환 속도 증가||유효 사거리 감소|| ||<-2>단순히 총기 탄속을 개선시키는 탄약이다. 탄속은 총기 종류에 따라 최대 45%~50% 증가하지만 유효사거리는 2.5% 감소한다. 유효사거리 손해를 보기 때문에 유효사거리의 영향이 적고 탄속이 빠르면 빠를 수록 좋은 중기관총이나 저격총에 장착하는것이 권장된다. SMG 및 키메라에는 없는 탄종이다. || ||<-2>'''{{{#white 소이탄}}}'''|| ||소이탄 피해[br]이동수단 피해량 증가||탄속 감소[br]유효 사거리 감소[br]관통력 저하|| ||<-2>LMG 및 SR을전용 탄종. 탄두에 소이제를 채워 화상 피해를 입힌다. 피격자에게 약간의 도트뎀(4~6)을 주며 이동수단 피해량(~50%)도 개선된다. RAPP-H 마냥 피해량이 극도로 애매한 총기에 장착해주면 좋다. 다만 관통력이 떨어져서 LMG라도 얇은 문을 뚷을 수가 없게된다. [br] 탄속감소는 ~25%정도, 유효사거리 감소는 ~10%정도 || ||<-2>'''{{{#white 50구경 폭발 유탄}}}'''|| ||고폭탄[br]유효 사거리 증가[br]이동수단 피해량 증가||탄속 감소[br]관통력 저하|| ||<-2>.50 BMG용 탄종. Mk.211 MOD-0으로 전작 라이택 AMR의 25mm 유탄 개조를 계승하는 탄종이다. 폭탄 스쿼드를 장착하지 않은 유저 상대로는 부위에 관계 없이 피격자를 한방에 처치할 수 있지만 폭탄 스쿼드를 착용한 적은 '''헤드샷으로도''' 일격사를 내지 못한다. 코어 모드에서 폭탄 스쿼드가 얼마나 많은 유저들이 애용하고 있는가를 생각해보면 최소한 코어에서는 장착할 이유가 없는 탄종. || ||<-2>'''{{{#white 12게이지 폭발탄}}}'''|| ||고폭 슬러그 탄[br]유효 사거리 증가[br]이동수단 피해량 증가||피해 반경 감소[br]탄속 감소|| ||<-2>전작 JAK-12의 전용 탄종이였던 Frag-12이다. || ||<-2>'''{{{#white 12게이지 용의 숨결}}}'''|| ||소이탄 피해||탄속 감소[br]유효사거리 감소[br]관통력 저하|| ||<-2>전작의 용숨탄이지만, 악랄한 성능을 가지고있던 전작 샷건들과 달리, 본작은 산탄 피해량이 거리가 벌어지면 기하급수적으로 떨어지고, 용숨탄을 적용하면 그 사거리가 더 떨어지기때문에 사실상 계륵같은 물건이 되었다. 23.03.16 시즌 2 리로디드 업데이트로 너프되었다. 적에게 가하는 소이탄 틱 피해량이 줄어들었다. || ||<-2>'''{{{#white 12게이지 슬러그}}}'''|| ||슬러그 탄[br]유효사거리 증가[br]탄속 증가||피해 반경 감소|| ||<-2>슬러그탄. 안그래도 조준사격이 중요햐진 본작 산탄총에 조준사격을 강요하게 만드는 탄종이다. 탄자가 하나로 줄어드므로 흉부나 머리 등의 치명적인 부위에 맞춰야한다. || == 플랫폼 부착물 == 무기의 플랫폼마다 배치되어 있는 고유 부착물로 플랫폼에 속한 무기마다 각기 다른 부착물이 배치되지만 같은 플랫폼을 쓰는 무기라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다. 설계도로 입수한 플랫폼 부착물들은 해당 플랫폼 안에서 존재하는 부착물에 한해 공유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같은 플랫폼이라 해도 무기에 따라서는 전용 부착물이 나와 다른 무기군에 장착할 수 없는 경우도 생긴다. === 총몸 === 상부 리시버를 교체해 다른 형태의 무기로 만들 수 있다. 어떤 한 무기를 다른 무기로 컨버전할 수 있어 핵심적인 성능 변화가 이뤄진다. 또한 특정 무기의 설계도를 여러개 보유하고 있다면, 예광탄이나 처치 효과를 가진 무기의 총몸 스킨 외견이 마음에 안 들 때 동일한 무기의 다른 설계도의 리시버 스킨으로 갈아끼우면서도 예광탄과 처치 효과는 그대로 유지하는 게 가능하다. === 총열 === 총기의 성능을 다양하게 바꿔주는 부착물로, 반동억제/반동안정/조준사격진입속도 등등. 총기의 성능을 바꿔주는 파츠. 총기의 종류에 따라 적어도 4개~5개의 총열 부착물이 존재해 일일이 나누기 어렵지만, 종류로 나누면 장총열/단총열/헤비배럴/프리 플로팅배럴/일체식 소음기등으로 구분이 가능하며 각 배럴은 이하의 특징을 주로 소유하고 있다. 장총열 : 총열이 길어진 만큼 유효사거리 증가/반동감소/반동억제/유효사거리 증가/지향사격 정확도 증가 등의 효과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그에대한 반동으로 조준사격진입속도/조준안정등에서 불리함을 소유하고 있다. 단총열 : 총열이 짧아진 만큼 조준사격진입속도/질주후 사격전환등의 런엔건에 강점을 소유하고 있지만, 반동증가/유효사거리 감소등 전반적인 총기의 안전성이 떨어진다. 헤비배럴 : 장총열과 비슷한 효능을 보이지만, 주된 메인은 반동감소/억제등의 총기 안정성에 치중되어 있다. 또한 이득이 상대적으로 적은 만큼, 장총열에 비해서는 조준사격진입속도등에서의 불이익은 상대적으로 적은편. 일부 총기의 경우 헤비배럴에 나사산이 파여있지 않아 총구부착물을 달 수 없다.[* 현시점에서는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장비류/주무기#s-3.4|FTAC 리콘]]의 불 라이더 16.5" 총열이 해당 케이스에 속한다.] 프리 플로팅 배럴 : 헤비배럴과 비슷하지만, 총기 안전성보다는 명중률에 좀더 치중되어있는 종류의 배럴. 헤비배럴에 비해서 느껴지는 이득이 크지 않으나, 그에 대한 반동으로 불이익또한 적다. 일체식 소음기 : 총열 = 소음기인 총열로, 해당 부착물을 부착할 경우 소음억제 효과를 누릴 수 있어 최종적으로 5개의 부착물이 아닌 6개짜리 부착물 총기로 취급이 가능하다. 다만 그에대한 반동으로 조준사격진입속도가 적지 않게 늘어나며, 이득이 큰만큼 불이익도 다양하다. 해당 부착물을 소유한 총기는 STB-556, HCR-56, MCRP-300, PDSW-528, 페넥45, FSS 허리케인, BAS-P, SP-R 208, SA-B 50 가 소유하고 있다. === 탄창 === 무기의 장탄수를 결정짓는다. 뱅가드와는 달린 탄환 구경까지는 바꾸지 않기에 특정 스탯에 치우치지 않게 만들었다. 전작에서 확장 탄창은 장탄수가 늘어나는 대신 일반적으로 조준 사격 진입 속도와 이동 속도가 감소되는 형식이였으나 이번 작의 확장 탄창은 조준 사격 진입 속도와 이동 속도 뿐만 아니라 장전 속도와 '''질주 후 사격 전환 속도'''까지 감소하여 훨씬 더 무거워졌고, 경량 탄창은 그 반대가 된다. 때문에 확장 탄창을 쓰면 런앤건 플레이에 어느 정도 제약이 생겨 런앤건 유저들은 확장 탄창을 쓰는 있어 60발 드럼/카스켓 탄창을 쓰느냐, 혹은 적당히 40발 탄창만 쓰느냐, 탄창식 LMG거나 저용량 탄창의 장탄수가 납득 되는 수준의 경우에는 아예 장탄수 좀 희생해서 저용량 탄창을 쓰느냐로 더욱 신중해지게 되었다. STB 556과 페넥의 경우 사격 모드가 바뀌는 대신 발당 데미지가 변화하는 특수한 탄창이 존재한다. === 후방 손잡이 === 무기에 부가적인 성능을 부여하는 부착물. === 볼트 === 산탄총 한정 부착물. 총기의 사격 속도를 담당한다. === 개머리판 === 반동을 결정짓는 부착물. == 튜닝 == 이번작의 핵심 시스템, 아무 무기 하나를 만렙으로 만들면 해금되며 만렙이 된 무기에서 원하는 부품의 성능을 조정하는 것으로 플레이어에게 이상적인 성능을 가지게끔 만들 수 있다. 탄창과 레이저에는 적용할 수 없으며 각 부품에 배정된 스탯을 증감시킬 수 있다. 원하는 부품을 적용한 후, 조정 화면에 들어가면 가로줄에 해당되는 스탯과 세로줄에 해당되는 스탯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며 원하는 수치까지 조정한 후 시험 사격을 해서 성능을 조금 더 조정하거나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세부 조정된 스탯은 부품을 바꾸기 전까지는 그대로 유지된다. 참고로 튜닝으로 인한 성능 보너스와 패널티 수치는 튜닝바를 당기는 정도와 선형적으로 비례해서 증가하지 '''않으며''' 튜닝바를 당겼을 때 보너스가 급속하게 증가하는 구간이 패널티가 급속하게 증가하는 구간이 존재한다. 또한 모든 튜닝 보너스는 '스윗 스팟'이 존재해 보너스가 최대화가 되는 튜닝바의 지점이 있고 튜닝바를 최대한으로 당기면 이 '스윗 스팟'까지만 튜닝바를 당겼을 때보다 패널티는 증가하고 보너스가 오히려 감소하기 때문에 튜닝을 실시할 때에는 단순히 스텟바를 최대치로 끌어당기지 말고 이러한 시스템을 이해하고 자신이 원하는 최적의 튜닝 '스윗 스팟'을 찾는 것이 좋다. 이 '스윗 스팟'은 튜닝 시스템 UI에서 중앙 그래프의 움직임을 보고 파악하면 된다. 튜닝바를 움직였을 때 그래프 수치가 최대가 되는 지점이 실제 성능변화가 가장 커지는 지점이다.[[https://www.youtube.com/watch?v=xoCw_DlB6BM|더 자세한 설명은 여기로. 영어 영상이다.]] 다만 그래프만으로는 스윗 스팟을 판단할 수 없는 스텟이 몇 종류 있는데 대표적으로 유효 사거리. 튜닝 시스템에서 유효 사거리 쪽으로 튜닝 바를 이동시키면 사거리 그래프와 피해량 그래프가 동시에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에는 그냥 성능 보너스를 최대한 얻고 싶다면 튜닝 바를 그냥 최대치로 이동하는게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참고로 유효 사거리 스텟을 건드리면 피해량 그래프가 시각적으로는 올라가지만 실제 피해량 변화는 없고 유효 사거리에만 영향을 준다.[[https://www.youtube.com/watch?v=PTFm-aW9jdc|참고 자료. 영어 영상이다.]] 22.12.14 시즌 1 리로디드 업데이트로 튜닝 시 주어지는 성능 보너스는 늘어나고 성능 패널티는 줄어들었다. 23.02.16 시즌 2 업데이트로 일부 튜닝 성능 보너스가 증가하고 일부 튜닝 성능 패널티는 줄어들었다. == 설계도 == 모던 워페어부터 도입된 시스템으로, 본작에서도 총기의 디자인이나 색상을 바꾸는 역할을 한다. === 무기 보관함 === 본작에서 새로 추가된 시스템으로, 총몸과 정해진 부착물의 외형만 바꾸는 설계도와 다르게 해당 총기 플랫폼의 모든 부착물 외형을 정해진 테마에 맞게 바꿔준다. M4 플랫폼의 FJX 신더가 처음으로 나왔다. 또 하나의 이점으로, 무기 보관함을 얻으면 탄종을 제외한 해당 총기 플랫폼의 모든 총기와 부착물을 무기 레벨업 없이 즉시 해금할 수 있다. 하지만 위장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어찌됐든 무기 레벨을 올려는 줘야 한다. 이렇게 말은 거창하지만 게임의 사후 지원 종료까지 나온 것이 M4 플랫폼의 FJX 신더 하나 뿐이다. == 커스텀 == 전작에 있던 위장, 장식, 스티커 외에, 대형 대칼과 건 스크린이 추가되었다. === 위장 === 장비의 겉 색깔이 바뀌는 커스터마이징. 전작과는 다르게 각 총기에서 얻은 위장은 다른 총기에서도 쓸 수 있다. 각 총기당 4가지 위장을 얻을 수 있다. 총기 위장 챌린지는 2레벨에 하나, 총기 최대 레벨 1/3지점 부근에 하나, 2/3지점 부근에 하나, 총기 최대 레벨 - 1레벨에 하나씩 열린다.[* 마지막 위장 같은 경우에는 중간에 패치로 해당 총기의 최대 레벨이 확장되어 이 규칙에 맞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일일이 확인하는 것이 좋다.] 부착물 개념이 없는 백병전 무기와 로켓 런쳐 무기군은 11레벨에 챌린지가 열리는 위장 1가지만 얻을 수 있다. 인게임 구분은 다음과 같다. * 스프레이 * 삼림 (1), (2) * 디지털 (1), (2) * 드래곤 * 기하학 * 재미 * 나뭇잎 * 해골 * 호랑이 * 줄무늬 * 파충류 * 단색 * 클래식 * 절벽 * 스페셜 완벽주의자 스킨은 전작과 다른점이 많다. * 오리온을 제외한 위장들을 얻는데 챌린지를 깨야 한다. * 전작은 시즌 패스 등으로 얻을 수 있는 무기는 완벽주의자 위장 조건에 포함되지 않던 것과 달리 이번작에서는 플래티넘, 폴리아토믹, 오리온 위장 획득 필요 조건에 모두 포함된다. 플래티넘, 폴리아토믹 위장은 위장 진행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4가지 위장이 다 언락되어 있지 않아도 조건만 충족되었다면 플래티넘, 폴리아토믹 위장 챌린지에 도전할 수 있다. 다만, 오리온 위장은 나머지 완벽주의자 위장이 모두 열려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 각 챌린지에서 요구하는 킬 수는 무기군별로 다르다. * 골드 각 무기의 위장을 모두 얻었을 시 도전할 수 있다. 죽지않고 적 2명(로켓 런쳐, 백병전) 또는 3명(그 외) 처치를 요구. 요구 횟수는 10회를 넘지 않는다. * 플래티넘 특정 무기군의 모든 무기의 골드 위장을 얻었을 시 도전할 수 있다. 원거리 처치(총기류), 킬스트릭, 장비, 이동수단 파괴(로켓 런쳐), 10초 이내 각기 다른 적 처치 10회(백병전)[* 번역이 10초 이내 각기 다른 적 '''10명''' 처치로 잘못 번역되어 있다.] 요구. 요구 킬수(파괴 수)는 25회를 넘지 않는다. * 폴리아토믹 51가지 무기의 플래티넘 위장을 얻었을 시 도전할 수 있다. 헤드샷 처치(총기류), 더블킬 15회(로켓 런쳐), 적 후방 처치(백병전) 요구. 요구 킬수는 25회를 넘지 않는다. * 오리온 51가지 총기의 폴리아토믹 위장을 얻으면 즉시 얻을 수 있다. === 건 스크린 === 장식과 비슷한 위치에 붙는 소형 스크린으로, 날짜와 날씨를 알려주거나, 현재 킬뎃을 알려주는 효과를 가진 스크린을 장착할 수 있다. === 장식 === 전작과 동일하게 총기 측면에 붙는 액세서리. === 대형 데칼 === 총몸에 붙는 대형 스티커. 대형 데칼을 적용할 경우, 스티커를 1개만 부착할 수 있다. === 스티커 === 전작과 같은 무기에 붙일 수 있는 스티커이다. 대형 데칼의 추가 때문인지, 각 총에 부착할 수 있는 스티커가 최대 3개로 줄었다. [[분류:콜 오브 듀티 시리즈/장비류]][[분류: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