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로마 황제)] || '''{{{#FCE774 콘스탄티노스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9세기)]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CE774,#FCE774 로마 제국 제85대 황제}}}[br]{{{#FCE774,#FCE774 {{{+1 콘스탄티노스}}}[br]Κωνσταντῖνος}}}'''}}}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레온 5세와 콘스탄티노스.jpg |width=100%]]}}} || || {{{#FCE774,#FCE774 '''이름'''}}} ||콘스탄티노스[br]Κωνσταντῖνος[* [[그리스어]]]|| ||<|2> {{{#FCE774,#FCE774 '''출생'''}}} ||771년 1월 14일 || ||[[동로마 제국]] || ||<|2> {{{#FCE774,#FCE774 '''사망'''}}} ||805년 이전 || ||[[동로마 제국]] || ||<|2> {{{#FCE774,#FCE774 '''재위 기간'''}}} ||{{{#000 로마 황제}}} || ||[[813년]] [[12월 25일]] ~ [[820년]] [[12월 25일]] '''(7년)''' || || {{{#FCE774,#FCE774 '''전임자'''}}} ||[[레온 5세]] || || {{{#FCE774,#FCE774 '''후임자'''}}} ||[[미하일 2세]] || || {{{#FCE774,#FCE774 '''부모'''}}} ||[[아버지]] : [[레온 5세]][br][[어머니]] : [[테오도시아]] || || {{{#FCE774,#FCE774 '''종교'''}}} ||[[기독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동로마 제국]]의 황제. 813년 아버지 [[레온 5세]]에 의해 공동 황제로 즉위했지만 820년 12월 25일 아버지가 성찬예배 도중에 피살당한 후 폐위되었다. == 생애 == [[레온 5세]]와 [[테오도시아]]의 장남이다. 초명은 심바티오스(Συμβάτιος)이며, 남자 형제로 바실리오스, 그리고리오스, 테오도시오스가 있었고 누이로 안나가 있었다. 813년 황위에 오른 아버지에 의해 12월 25일 공동 황제로 즉위했다. 레온 5세는 군대가 지난날 [[콘스탄티노스 5세의 불가리아 원정|불가리아 원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콘스탄티노스 5세]]를 그리워하는 것을 감안해 아들의 이름을 콘스탄티노스로 개명했다. 815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를 주재해 [[성상 파괴주의]]를 교리로 확정지었다. 820년 12월 25일 아버지가 성찬예배 도중 [[미하일 2세]]를 추종하는 자들에 의해 암살당했다. 그 후 그는 황위에 오른 미하일 2세의 명령에 따라 세 형제 바실리오스, 그리고리오스, 테오도시오스와 함께 프린키포 섬으로 유배된 후 섬에 도착하자마자 거세되었다. 이때 테오도시오스는 거세 직후 사망했다. 그나마 다행이라 해야 할지, 미하일 2세는 이들이 수도원 생활을 하도록 강요하지 않았고, 레온 5세가 생전에 가지고 있던 재산을 물려받는 걸 허용했다. 하지만 그와 그리고리오스는 성직자로 살아가기로 했고, 847년 [[이그나티오스]]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선출을 지지했다. 또한 누이 안나는 아르메니아의 마미코니안 가문 출신 흐마야크(Hmayeak)와 결혼하여 [[미하일 3세]]의 궁정에서 활약한 콘스탄티노스를 낳았다.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분류:동로마 황제]][[분류:9세기 집정관]][[분류:동로마 집정관]][[분류:폐위된 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