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NOAH 정규군)] ||[[파일:600full-shuji-kondo.jpg|width=100%]] || || '''{{{+5 {{{#cad106 <[ruby(最凶, ruby=さいきょう)]キングコング / Deadliest king Kong> [br] [ruby(近藤 修司, ruby=こんどう しゅう じ)] / Shuji Kondo}}}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콘도슈지프로필.webp|width=100%]]}}} || ||<-2> [[프로레슬링 NOAH|{{{#009740 '''NOAH'''}}}]] || || '''링네임''' || 콘돗티 슈지(コンドッティ修司)[* [[밀라노 콜렉션 A.T.]]의 군단인 이탈리안 커넥션 시절 사용하던 링네임. 데뷔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밀라노에게 권유받아 스테이블에 들어간 이후 사용했다.] [br] 돗티 슈지(ドッティ修司)[* 이탈리안 커넥션 이탈 후 사용하던 링네임.] [br] '''콘도 슈지''' || || '''본명''' || [ruby(近藤 修司, ruby=こんどう しゅう じ)] [br] 콘도 슈지 || || '''생년월일''' || 1978. 1. 21 ([age(1978-01-21)]세) || || '''신장''' || 172cm || || '''체중''' || 95kg || || '''혈액형''' || O형 || || '''출생지'''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시즈오카현]] [[후지시]] || || '''학력''' || 국제무도대학 {{{-2 (럭비부 / 학사)}}} || || '''유형'''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파워하우스|파워하우스]]''' || || '''시그니쳐 무브''' || [[브레인버스터]] [br] [[보스턴 크랩]] [br] [[빅 붓]] [br] [[파일 드라이버(프로레슬링)|크루시픽스 파일드라이버]] [br] [[문설트]] [br] [[사이드 슬램#s-2|란사르세]][* 상대에게 달려가 복부를 오른 팔로만 잡고 들어올려 무릎을 꿇으면서 땅에 메다꽂는 기술. 들어올리는 데 아무 준비시간 없이 단숨에 상대를 한쪽 팔을 중심으로 들어올려야 하는 순수 파워 의존도가 너무 높은 기술이라 일본 프로레슬링계 괴력의 상징인 콘도 슈지 정도만 제대로 쓰는 기술이다. 뜻은 스페인어로 '돌진'.] || || '''피니쉬 무브''' || 고릴라 클러치[* 인버티드 클로버리프.] [br] [[사이드 슬램#s-2|란사르세]] [br] [[잭 해머(프로레슬링)|잭 해머]] [br] [[https://imgur.com/2fwPare|웨일 헌트]] [br] '''[[래리어트|킹콩 래리어트]]''' || || '''별명''' || '''최흉 킹콩 ([ruby(最凶, ruby=さいきょう)]キングコング)''' || || '''테마곡''' || [[https://www.youtube.com/watch?v=TyCKqRvCN8E|Funky Shit]] - [[The Prodigy]] (2004 - 2013) [br] '''[[https://www.youtube.com/watch?v=MJFQWusJGQU|VIOLENT KING KONG]] - ACMA (2021 - )''' || || '''데뷔''' || 2001년 5월 18일 (23세) [br] [[멕시코]] 푸에블라주 뜰랄네빤뜰라 [br] [[https://www.google.com/maps/place/Arena+Lopez+Mateos/@19.5415461,-99.1988075,17z/data=!3m1!4b1!4m6!3m5!1s0x85d21d5bfaf8debf:0x45d9e0087f759f17!8m2!3d19.5415411!4d-99.1962326!16s%2Fg%2F121_4ppg?entry=ttu|아레나 로페즈 마테오스]] [br] '''[[드래곤 게이트|T2P]]'''[* 토류몬 2000 프로젝트. 토류몬 JAPAN과 별개로, 멕시코를 거점으로 일본인 루차도르를 양성하던 일종의 단체 내의 단체. 2000년에 탄생하여 2003년 1월에 해산되었다.] [br] vs 오가와우치 쥰 || || '''SNS'''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ondo_shuji, 크기=25)] [[https://www.instagram.com/kingkong_shuji_kond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 개요 == 일본의 [[프로레슬러]]. 172cm의 크지 않은 키에도 일본 프로레슬링계 최고의 퓨어 파워를 자랑하는 파워하우스 선수이다. == 경력 == === [[드래곤 게이트]] === === Dragondoor-프로 레슬링 ElDorado === === [[전일본 프로레슬링]] === === [[WRESTLE-1]] === === 프리 === == 여담 == * 일본 프로레슬링계를 대표하는 금강역사급 퓨어 파워의 소유자. 2010년 2월 28일 [[코라쿠엔 홀]]에서 스포츠 선수용 서플리멘트 '파워 프로덕션 시리즈' 발매 10주년 기념 대회인 '[[글리코]] 파워 프로덕션 드림매치'의 제 3시합 [[벤치 프레스]] 콘테스트에 참가,[* 참가자는 콘도 슈지, [[나카니시 마나부]], 나카노우에 야스후미, 히라사와 미츠히데(캡틴 뉴 재팬), [[SANADA]] 이렇게 다섯명이었다.] 172cm의 키에도 벤치 프레스 '''225Kg'''를 들어올리는 괴력을 증명하며 225kg를 드는 데 실패한 SANADA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한창 시절엔 주니어 헤비급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괴력과 뛰어난 스피트, 플라잉 능력으로 유명했다. * 프로레슬링 입문 후에야 처음으로 바벨의 올바른 사용법을 알았다고 한다. 이전에는 지면에 놓인 100kg의 바벨을 머리 위까지 한번에 번쩍 들어올리는 식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당연히 보통의 사용법에 비해 파워가 훨씬 요구되는 방법이었으며, 한 팬이 이 방법에 필요한 운동 에너지를 계산한 결과, 2톤 트럭을 끌 수 있는 힘이 필요한 것으로 계산되었다. * 단백질 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 하루에 고기를 다섯끼 섭취하는 것으로 근육을 만들었다. 고기에 대한 집착이 상당해서, CIMA가 한 인터뷰에서 "멕시코에서는 '''개고기'''를 먹고 있었다"라고 증언한 적이 있다. *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 당일,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이시노마키시]] 흥행 참가를 위해 [[센세키선]] 이시노마키행 쾌속 열차를 타고 있었다. 다행히도 콘도가 승차했던 열차는 [[노비루역]] 앞에서 긴급 정지를 감행하여 정지 직전에 탈선했지만 해일의 피해는 면했다. 노비루역에서 스쳐지나간 열차가 직후 해일에 휩쓸리고 탈선한 [[아오바도리역]]행 보통 열차였기 때문에 아슬아슬하게 사고를 피한 셈. 승객은 콘도 포함 전원 무사했지만 운행 불가로 열차 내에서 하루를 노숙해야 했다. [[파일:IP220211TAN000064000_0001_CDSP.jpg|width=400]] * 2021년 10월, 고향인 [[후지시]]에서 동생과 함께 [[피낭시에]] 전문점 "버터 브라더스"를 개업하였다. 위치는 후지시청 근처인 静岡県富士市国久保3-2-32. 간혹 도쿄 등에서 팝업 스토어도 열고 있다. * 도쿄 [[치요다구]] 칸다미사키쵸에서 사전예약제 PT 짐인 '이치고(딸기) 짐'을 운영 중. 콘도가 직접 PT 트레이닝을 담당하지만 워낙 스케쥴이 들쭉날쭉한 프로레슬러인지라 달별로 사전예약을 받아 운영하고 있다. [[도쿄 죠시 프로레슬링|도쿄 여자 프로레슬링]] 선수인 [[엔도 아리스]]가 가끔씩 짐에서 연습하는 사진이 콘도의 트위터를 통해 나온다. == 둘러보기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jpw-logo.gif|width=200]] || ||||||||||||<:> '''[[주니어 BATTLE OF GLORY|주니어 헤비급 리그전 역대 우승자]]''' || || KAI [br] (2008) || → || '''콘도 슈지 [br] (2009)''' || → || [[지미 왕 양|지미 양]] [br] (2010) || ||<-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jpw-logo.gif|width=20]] {{{#ed2121 '''역대 [[주니어 BATTLE OF GLORY|{{{#ed2121 주니어 BATTLE OF GLORY}}}]] 우승자'''}}} || || {{{#000000 '''2017'''}}} || {{{#000000 →}}} || {{{#000000 '''2018'''}}} || {{{#000000 →}}} || {{{#000000 '''2019'''}}} || || [[이와모토 코지|{{{#black 이와모토 코지}}}]] || {{{#000000 →}}} || {{{#000000 '''콘도 슈지'''}}} || {{{#000000 →}}} || [[이와모토 코지|{{{#black 이와모토 코지}}}]] || ||<-5>
[[파일:프로레스대상 로고.svg|width=80]] {{{#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s-2.1|{{{#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최우수 태그팀 상}}}]]'''}}} || ||<:> [[아케보노 타로|아케보노]] & [[무토 케이지]] [br] 단짝 태그([ruby(相方, ruby=あいかた)]タッグ) [br] ([[히다카 이쿠토]] & [[후지타 미노루]]) [br] (2005) || → ||<#FFFFA1><:> '''VOODOO-MURDERS [br] ("brother" YASSHI & [[스와마]] & TARU & 콘도 슈지) [br] (2006)''' || → ||<:> G.B.H [br] ([[야노 토루]] & [[마카베 토우기]]) [br] (2007) || ||<-5>
[[파일:프로레스대상 로고.svg|width=80]] {{{#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s-2.2|{{{#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연간 최고 시합상 (베스트 바웃)}}}]]'''}}}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2008년''' [br] 11월 3일 || [[전일본 프로레슬링]] [br] 2008 프로레스LOVE in 료고쿠 Vol.6 || 세계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매치 [br] ___[[마루후지 나오미치]]___(C) vs '''콘도 슈지''' || [[분류: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78년 출생]][[분류:2001년 데뷔]][[분류:후지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