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코스트코/대한민국/지점]][[분류:2012년 개점한 할인점]][[분류:북구(울산)의 건축물]] [include(틀:코스트코/대한민국/지점)]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코스트코/대한민국|[[파일:코스트코 로고.svg|width=130]]]] ||{{{+1 '''코스트코 울산점'''}}}[br]Costco Ulsan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코스트코 울산점 전경.jpg|width=100%]]}}} || || '''개점일''' ||[[2012년]] [[8월 31일]] || || '''운영사''' ||[[코스트코/대한민국|코스트코 코리아]] || || '''면적''' ||30,593㎡ {{{-2 (연면적)}}}[br]12,588㎡ {{{-2 (영업면적)}}} || ||<|2>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코스트코 울산점, 너비=100%)]}}} || ||[[울산광역시]] [[북구(울산광역시)|북구]] [[진장유통로]] 78-12[br]([[진장동]] 283-3) || || '''우편번호''' ||44248 || || '''타이틀''' ||'''코스트코 코리아 8호점.'''[br]'''전국 최동단 점포.''' || || '''웹사이트''' ||[[https://www.costco.co.kr/store-finder/Ulsa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울산광역시]] [[북구(울산광역시)|북구]] [[진장동]]에 위치한 [[코스트코/대한민국|코스트코 코리아]] 지점이다. == 영업안내 == ||<-2> {{{+3 '''영업시간'''}}}[br]{{{-1 OPERATION HOURS}}} || || {{{+1 '''오전 10:00 ~ 오후 10:00'''}}} || {{{+1 '''10:00 AM ~ 10:00 PM'''}}} || ||<-2> {{{+2 '''코스트코 울산점은[br]{{{#005daa 매월 둘째주 수요일, 넷째주 일요일[br]정기휴무}}}'''}}} [br]Costco Ulsan will be {{{#005daa closed on '''the second Wednesday and fourth Sunday''' of each month}}} per district direction. || ---- ||<-2> [[코스트코/대한민국|[[파일:코스트코 로고.svg|width=25%]]]] || ||<-2> {{{+1 '''다음의 공휴일에 휴무'''}}}[br]Costco is closed on the following holidays {{{+1 • '''새해(1월 1일)[br]New Year's Day[br][br]• 설날 당일[br]Lunar New Year's Day[br][br]• 추석 당일[br]Chuseok Day'''}}} || == 층별안내 == ||<-2> [[코스트코/대한민국|[[파일:코스트코 로고.svg|width=20%]]]] || || '''{{{#fff {{{+3 R}}}F}}}''' ||옥상주차장 🚻[br]{{{-2 ROOF PARKING}}} || || '''{{{#fff {{{+3 2}}}F}}}''' ||주차장 🚻[br]{{{-2 PARKING}}} || || '''{{{#FAE200 {{{+3 1}}}F[br]매장 입구[br]{{{-2 ENTRANCE}}}}}}''' ||매장 🚻[br]푸드코트, 타이어센터[br]{{{-2 SALES FLOOR[br]FOOD COURT, TIRE CENTER}}} || == 교통 == ===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농수산물유통센터정문(14818·14824)'''}}}}}} || || {{{#ffffff 직행}}}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f; font-size: .95em" [[울산 버스 1147|{{{#ffffff 1147}}}]]}}} || || {{{#000 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112|{{{#000 11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235|{{{#000 23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246|{{{#000 246}}}]]}}}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402|{{{#000 40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442|{{{#000 44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453|{{{#000 45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701|{{{#000 701}}}]]}}} || || {{{#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64e7a; font-size: .95em" [[울산 버스 910|{{{#ffffff 91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64e7a; font-size: .95em" [[울산 버스 913|{{{#ffffff 91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64e7a; font-size: .95em" [[울산 버스 916|{{{#ffffff 916}}}]]}}}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64e7a; font-size: .95em" [[울산 버스 943|{{{#ffffff 94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64e7a; font-size: .95em" [[울산 버스 947|{{{#ffffff 947}}}]]}}} ||}}} == 여담 == * 울산광역시 도시계획에 따라 해당 진장동 부근을 유통전문단지로 개발함으로써, 여기도 양재점처럼 [[농협 하나로마트|농협하나로클럽]], [[롯데마트]] 진장점이 붙어있다. 조금만 더 범위를 확대하면 이 근방 터줏대감인 [[메가마트]] 신선도원(농수산물 중점 매장)까지 있었다. 현재 메가마트는 의류 아울렛 형태로 점포를 변경해 직접적인 경쟁 대상에서는 벗어났다. 그런데 이쪽은 양재점보다 더 심하다. [[농협 하나로마트|농협하나로클럽]]과는 (물류장 및 주차장 진입용) 4~5차로의 진출입로가 구분하고 있을 뿐이고, [[롯데마트]]와는 고작 철망 하나(그것도 공원화되어 도보로는 개방된 상태)만을 사이에 두고 있을 뿐이다. 거기다 2015년 코스트코 앞에 [[모다아울렛 울산점]]이 들어서서 멀리서 보면 코스트코 입구쪽만 보인다. [[산업로(울산)|산업로]] 쪽에서 보면 코스트코가 보이지만 유통단지 안에서 보면 코스트코는 간판 하나 보기 힘들 정도로. * 그런데 정작 죽어가고 있는 것은 [[롯데마트]]. 실제로 주말이건 주중이건 북적이는 코스트코 내부와 달리 롯데마트 내부를 비교하면 건물 유지비라도 나올런지 안쓰러울 정도로 손님이 적은 것을 볼 수 있다. 농협하나로클럽도 평일 일반 코너는 매우 한산하지만 그래도 사업자나 단체급식업을 대상으로 하는 회원제 식자재 코너에서 국내 기업의 식품과 물건들을 벌크로 떼올 수 있어 일반사업자로 항상 붐빈다. 또한 코스트코에 이어 하나로클럽을 하루에 동시 쇼핑하는 소비자도 많다. 예컨대 냉동이나 공산품 등은 코스트코에서 쇼핑한 후 육류, 채소나 과일 등은 하나로클럽에서 쇼핑하는 식으로. 진장동의 농협하나로클럽과 삼산동의 농수산물도매시장은 울산에서 가장 신선한 농수임산물을 취급하는 곳이기에 코스트코와는 소비 품목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 이는 국내 최고 품질의 농산품을 취급하는 양재 농협하나로클럽과 양재 코스트코점과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또 하나로클럽은 의무휴일 조례에서 예외로 두고 있어서 코스트코가 놀 때 손님들을 끌어올 수라도 있지만[* 그에 따라 코스트코가 노는 2째주 수요일과 4째주 일요일에는 농협하나로클럽의 손님 수가 어마어마하게 차이가 난다.] 롯데마트는 의무휴일 조례를 적용받아서 코스트코가 노는 날에는 같이 휴점해야 한다. 또한 모다아울렛의 경우 의류 전문 아울렛이고 코스트코가 취급하지 않는 골프의류, 스포츠 의류 등산복 매장 등 다양한 의류매장을 내점하고 있어 코스트코와는 상호 영향력이 없다. * [[7번 국도]]의 교통량 문제[* 울산포항고속도로를 타고 1시간 만에 울산에 도착한다 하더라도 7번 국도에서 배로 시간을 보내게 된다.]로 경주-포항권에서의 접근성이 좋은 편이 아니라 경주 외동읍을 빼면 울산 자체 수요만으로 수익을 내야 하는데 울산 인구나 구매력이 줄어드는 상황이라 한국 코스트코 매출 하위권을 맡고 있다. * 입점에 굉장한 난항을 겪었었다. [[윤종오]] 당시 북구청장이 영세상인 보호를 이유로 입점을 불허했는데, 이에 코스트코가 민사소송을 제기해 이겨 입점할 수 있었고 오히려 [[북구청(울산)|북구청]]에서 배상금을 물어줘야 했다. [[http://www.sedaily.com/NewsView/1OL0W6ZIG7/|기사]]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코스트코/대한민국/지점, version=844, paragraph=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