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앙아메리카의 통화)] Colón Costarricense ([[스페인어]]) [[파일:Banco Central de Costa Rica.png|align=right&width=200]] [목차] == 개요 == [[코스타리카]]의 통화. [[ISO 4217]]코드는 CRC, 기호는 ₡이다. [[센트|¢]], [[세디|₵]], [[유로|€]]와 헷갈리면 곤란할지도?[* 하지만 현지에선 편의상 은근히 ¢ 기호를 자주 사용한다고.] 보조단위는 센티모(céntimo)이나 현재 쓰이지 않는다. 복수형은 콜론즈(Colones)와 센티모즈(Centimos). 이름의 유래는 과거에 쓰였던 [[엘살바도르 콜론]]과 마찬가지로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이며 1896년에 등장해 기존의 코스타리카 페소를 대체했다.[* 다만 폐지 직전까지 반드시 콜럼버스의 초상이 도안으로 들어갔던 엘살바도르 콜론과 달리 이쪽은 20세기 중반부터 콜럼버스의 초상이 도안에서 빠졌다는 차이가 있다.] 2011년 기준 인플레이션은 4.74%이다. 2022년 7월 코스타리카 통계청 공식발표 수치는 10.06%이다. == 환전과 환율 == 2015년 1월 기준은 평균 2.00원/₡ (500₡/US$)에서 왔다갔다한다. 10년 전인 2004년경엔 400₡/US$에서 움직였었으므로 가치가 안정되어있다고 하기엔 무리가 있다. 2022년 7월 12일 현재 수정일 유로화 기준으로는 1유로당 689.57콜론이다. 7년 6개월전에는 유로당 658.450콜론이었다. 코스타리카는 비공식적으로 [[미국 달러]]도 통용되어 여차하면 미국 달러로 계산 후 콜론으로 거스름돈 받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투어, 숙박비 등은 달러만 받는 경향이 있으므로 달러를 챙겨간 후 적당히 필요할 만큼만 현지 은행이나 환전상을 통해서 환전하면 된다. 대 미국 달러의 환율이 크게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환전사기 자체는 별로 없는 편이지만 평범한 바가지나 외국인 상대로 하는 사기행각은 어느정도 있는 편이므로 이곳으로 갈 계획이 있다면 유의하자. 한가지 특기할 사항이라면 미국 달러로 계산시에는 일부러 계산기를 두드리지 않는 한 어지간하면 500₡/USD로 계산하기 때문에 실제 환율이 이것보다 낮을 경우는 차라리 달러를 쓰는게 더 이득일수도 있다. == 지폐 == === 구권 === |||| || 앞면 || 뒷면 || || [[파일:63e0d9818f7315.21341506-original.jpg|width=100%]] || 5₡ || 라파엘 이글레시아스 카스트로 || 알레아르도 비야 작 '산 호세의 건설'[* 아래 국립극장의 천장에 그려져 있다.] || || [[파일:10-Colones.jpg|width=100%]] || 10₡ || 로드리고 파치오 브레네스, 코스타리카대학 || 중앙은행 || || [[파일:20-Colones.jpg|width=100%]] || 20₡ || 클레토 곤잘레스 비케스, 주택가 || 정의의 여신 || || [[파일:50-Colones.jpg|width=100%]] || 50₡ || 가스파르 오르투노 || 옛 코스타리카 중앙은행 || || [[파일:100-Colones.jpg|width=100%]] || 100₡ || [[리카르도 히메네스]] || 대법원 || || [[파일:62e5d0281a1916.92950944-original.jpg|width=100%]] || 500₡ || 마누엘 마리아 구티에레스 || 국립극장 || || [[파일:attachment/코스타리카 콜론/costa117.jpg|width=100%]] || 1,000₡ || 토마스 솔레이 구엘 || 국립 보험원 || || [[파일:attachment/코스타리카 콜론/costa118.jpg|width=100%]] || 2,000₡ || 클로도미로 피카도, 코코 섬 || [[귀상어]], 돌고래 || || [[파일:attachment/코스타리카 콜론/costa110.jpg|width=100%]] || 5,000₡ || [[마야]] 문명 조각 || 열대 우림 속 구형바위, 큰부리새와 재규어 || || [[파일:attachment/코스타리카 콜론/costa120.jpg|width=100%]] || 10,000₡ || 엠마 감보아, 화산들 || 퓨마, 재규어 || === 현행권 === ||||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코스타리카 콜론/costa201.jpg|width=100%]] || 1,000₡ || 브라울리오 카리요 콜리나 || 과나카스테 나무, 코스타리카피타야선인장 꽃, [[흰꼬리사슴]] || || [[파일:attachment/코스타리카 콜론/costa202.jpg|width=100%]] || 2,000₡ || 마우로 페르난데스 아쿠냐, [[산호세]] 여고 || 불가사리, [[황소상어]], 가시선인장 || || [[파일:attachment/코스타리카 콜론/costa203.jpg|width=100%]] || 5,000₡ || 알프레도 곤살레스 플로레스, 구 코스타리카 국제은행 || [[흰머리카푸친|흰머리카푸친원숭이]], 맹그로브게, 레드맹그로브 || || [[파일:attachment/코스타리카 콜론/costa204.jpg|width=100%]] || 10,000₡ || 호세 피게레스 페레르, 군대폐지 상징화 || 세발가락나무늘보, 주발버섯, 너도바디난초 || || [[파일:attachment/코스타리카 콜론/costa205.jpg|width=100%]] || 20,000₡ || 카르멘 리라, '판치타 고모 이야기'의 삽화 || 해바라기, 붉은멱벌새, 커피나무 || || [[파일:attachment/코스타리카 콜론/costa206.jpg|width=100%]] || --50,000₡-- || [[리카르도 히메네스]], 대법원 건물 || 갓버섯, 브로멜리아, [[모르포 나비]] || * 2020년 6월 4일부로 최고액권이던 5만콜론의 유통이 중단되었다. 고액권에 대한 수요가 부족해 코스타리카 정부는 발행을 중단했다고. * 2천 ~2만콜론은 도중에 면소재에서 폴리머로 재질이 교체되었는데, 면소재 은행권은 2022년부터 통용 중지된다. 1천콜론은 처음부터 폴리머로 발행되었으므로 제외. == 주화 == [[파일:Colon Coins.jpg]] 현재 10, 25, 50, 100, 500콜론 5종이 사용되고 있다. 거래시 [[스웨덴 반올림]]법을 사용하며, 뭣 하나 아쉽지 않게 고루 쓰여지는 중. 500콜론 주화는 지름 33mm로 현재 전세계에서 통용되는 일반 주화들 중 가장 크다. [각주] [[분류:통화]][[분류:코스타리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