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Comedy horror [[코미디]]와 [[호러물|호러]]를 조합한 장르. 공포 코미디(Horror comedy)라고도 한다. 간혹 '호믹물' 혹은 '호미디'라는 애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 특징 == 말그대로 공포스러운 내용이나 분위기가 코믹하게 묘사되는 장르다. 코미디이기도 해서 그런지 이쪽 작품들은 공포물치고는 무섭지 않은 경우가 많다. 특히 둘 다 [[개연성]]과 명확한 결말이 없어도 되는 장르라서 '호러와 코미디는 사실 종이 한 장 차이다.'[* [[사이코]] 원작자 로버트 블로흐가 한 말이다.] 라는 말도 있으며 사람에 따라서는 공포물을 개그로 느끼고 웃음을 터뜨린다거나, [[블랙 코미디]]를 보고 공포감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추구하는 분위기 외에는 공통점이 많기도 하다. 두 장르를 동시에 번갈아 만드는 창작자도 꽤 많다. 역사로 보자면 문학쪽에서는 [[프랑켄슈타인]] 원작이 나왔을때 패러디 작품들이 쏟아진 경우도 있었고 [[에드거 앨런 포]]도 코미디 공포 성향 소설을 발표했다. 영화쪽에서는 1922년 [[데이비드 와크 그리피스]]가 One Exciting Night라는 코미디 공포 영화의 시초로 꼽힌다. 이 영화는 박쥐The Bat나 고양이와 카나리아The Cat and the Canary라는 코미디 공포 연극이 히트치자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영화인데 정작 상술한 두 연극 영화화는 5년 뒤에나 이뤄져 이 영화가 먼저 시초로 꼽히게 되었다. 다만 본격적으로 활성화된 것은 코미디 공포 영화로는 코미디언 [[애봇과 코스텔로]]가 1948년 출연한 애봇과 코스텔로 프랑켄슈타인을 만나다를 시발점으로 꼽는다. 애봇과 코스텔로는 이 영화의 성공으로 유니버설 호러 영화를 패러디하는 영화를 몇 편이나 찍었다. [[블랙 코미디]]의 일종으로도 볼 수 있으며 풍자스러운 작품들도 몇 있다.[* 대표적인 예가 [[총몇명]].] 주제만 [[좀비]]로 설정한 좀비 코미디도 있다. 또한 [[새벽의 황당한 저주]]나 [[무서운 영화]]처럼 어떤 특정한 영화들의 패러디로 나오는 영화도 있고 [[터커 & 데일 VS 이블]]처럼 특정한 장르의 패러디격으로 나오는 영화도 있다. 같은 코미디 공포여도 메인 소재, 호러와 코미디가 얼마나 섞여 있는지에 따라 내용이 천차만별이다. '간혹 웃긴 연출이 나오긴 하나, 집 앞에서 탈옥수가 등장하는 잔혹한 내용이 나오고 주인공네 가족의 숨겨진 비밀 등의 여러가지를 분석하는 호러물'인 [[Spooky Month]], '호러 연출이 간혹 나오지만 그다지 무섭진 않은 일상물'인 [[뱀파이어소녀 달자]]를 비교해 본다면 주요 장르와 전개 방식, 내용의 수위 등 차이가 심하다. == 해당 작품 == === 영화 === * [[13일의 금요일 시리즈]] * [[갈갈이 패밀리와 드라큐라]] * [[강시선생]] * [[겟 아웃(영화)|겟 아웃]] * [[귀신이 산다]] * [[고무인간의 최후]] * [[고스트버스터즈]] * [[곤지암(영화)|곤지암]] * [[구스범스(영화)|구스범스]] * [[그렘린(영화)|그렘린]] * [[다크 섀도우]] * [[더 비지트]] * 더 펀하우스 매서커 * [[데드 돈 다이]] * [[데드 얼라이브]] * [[델리카트슨 사람들]] * 데이브 미로 만들다: 판타스틱 미로 대탈출 * [[레프러콘(영화)|레프러콘]] * [[록키 호러 픽쳐 쇼]] * 미트 더 블랙스 * [[무서운 영화]] * [[무서운집]] * [[뱀파이어에 관한 아주 특별한 다큐멘터리]] * 블랙 쉽 * [[비틀쥬스]] * [[사탄의 인형]] 4, 5편 * [[사탄의 베이비시터]] * [[새벽의 황당한 저주]] * 세브란스 * [[시실리 2km]] * [[신장개업(영화)|신장개업]] * [[아담스 패밀리#s-5]] * [[아메리칸 사이코]] * 아이 렉 유 * 안나와 종말의 날 * [[어스(영화)|어스]] * [[오싹한 연애]] * [[유령신부]] * '''[[이블 데드 시리즈]]'''[* 2편부터 장르가 바뀐다. 단 2013년판 리부트 시리즈만 예외.] * [[외계인 삐에로]] * [[웜 바디스]] * ~~[[인간 지네 3]]~~~ * [[점쟁이들]] * [[정신나간 유령]][* [[유유백서]] 실사화.] * [[존은 끝에 가서 죽는다]] * 좀비랜드 시리즈 * [[좀비랜드]] * [[좀비랜드: 더블 탭]] * [[좀비 서바이벌 가이드(영화)|좀비 서바이벌 가이드]] * [[좀비오]] * [[조용한 가족]] * [[죽어야 사는 여자]] * [[차우]] * [[천녀유혼]] * [[카메라를 멈추면 안 돼!]] * 쿠티스 * 크람푸스 * [[터커 & 데일 VS 이블]] * [[토마토 대소동]] * [[티스(영화)|티스]] * [[프라이트너]] * [[프랑켄위니]] * [[프리키 데스데이]] * [[플래닛 테러]] * 피라냐 3D, 3DD * 피막 * [[피스트]] * [[하우스(일본 영화)]] * [[하우스(미국 영화)]] * 해피 데스데이 시리즈 * [[해피 데스데이]] * [[해피 데스데이 2 유]] * [[헌티드 맨션]] 실사 영화 * [[헌티드 맨션(2003년 영화)|헌티드 맨션]](2003) * [[헌티드 맨션(2023년 영화)|헌티드 맨션]](2023) * 헌티드 하우스 * 호커스 포커스 시리즈 * [[호커스 포커스]] * [[호커스 포커스 2]] * [[화성침공]] * 휴비의 핼러윈 * [[흡혈식물 대소동]] * [[흡혈식물 대소동(1986)|흡혈식물 대소동]] * [[The ABCs of Death]] === 게임 === * [[무서운 걔임]] * [[뱀파이어 시리즈]][* 캡콤 격투게임들중 유일하게 개그노선을 타고 가장 코믹한 모션이 많이나오나 고어 연출에다 모리건, 리리스, 펠리시아, 자벨, 사스콰치 등 일부를 제외하곤 캐릭터 설정은 상당히 어두운편이다. 또한 1997년 방영된 애니는 코미디 요소를 삭제하고 완전히 진지한 분위기로 바뀌었다.] * [[루이지 맨션 시리즈]] * [[바인딩 오브 아이작]] * [[Dark Deception|다크 디셉션]] * [[제5인격]] * [[이상한 나라의 화장실]] *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 [[Bendy and the Ink Machine]] * [[모게코 캐슬]] * [[I am Bread]] * [[Fate/Grand Order]] - [[서번트 서머 캠프!]] * --[[DEAD BY DAYLIGHT]]--[* 원래는 진지한 분위기가 맞긴 한데 생존자 유저들과 살인마 유저의 실력차가 많이 나고 생존자들이 서로 연락하는 다인큐이기까지 하면 생존자들이 살인마를 농락하는 코미디가 된다.] === 만화·애니메이션 === * [[겁쟁이 강아지 커리지]] * [[괴기목욕탕]] * [[귀곡의 문]] * [[뒤에있는 카무이씨]] * [[렛츠고 괴기조]] * [[백귀야행지]] * [[뱀파이어소녀 달자]] * [[보이는 여고생]] * [[불량 퇴마사 레이나]] * '''[[스쿠비 두 시리즈]]''' * [[슈의 인간공장]]: 슈게임 2차 창작 * [[원주민 공포만화]] * [[유유백서]] * [[인어공주의 미안한 식사]] * [[좀비딸]] * [[좀비를 위한 나라는 없다]] * [[체인소 맨]] * [[총몇명]]의 대부분 작품들 * [[펫숍 오브 호러스]][* 원작 만화 한정. 애니메이션은 코미디 요소가 많이 배제되었다.] * [[학원기이야담]] * [[헬보이]] * [[혼의 나라]] * [[죽은 자의 목소리를 듣는 게 좋을 거야]] * [[Spooky Month]] * [[Skibidi Toilet]] * [[The Amazing Digital Circus]] === 드라마 === * [[경이로운 소문 드라마 시리즈]] * [[저스트 비욘드]] === 연극·뮤지컬 === * [[리틀 샵 오브 호러스]] * [[The Guy Who Didn't Like Musicals]] * [[블랙 프라이데이(뮤지컬)|Black Friday]] === 기타 === * [[유령의 축제]] * [[유령의 축제 2 (Sneak)]]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호러물, version=244)] [[분류:코미디 공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