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의문명 처리된 수각류 공룡, rd1=코리아노사우루스(수각류), other2=경기도 화성시에서 발견된 공룡, rd2=코리아케라톱스)] ||<-2><#F60> '''{{{#FFF {{{+1 코리아노사우루스 }}}[br]Koreanosaurus}}}''' || ||<-2> [[파일:external/2.bp.blogspot.com/koreanosaurus.png|width=100%]] || ||<#F93> '''학명''' || ''' ''Koreanosaurus boseongensis'' '''[br][[허민(1961)|Huh]] ''et al''., 2011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조반목]]^^Ornithischi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테스켈로사우루스과^^Thescelosauridae^^||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아과'''}}}]] ||†오로드로메우스아과^^Orodromin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코리아노사우루스속^^''Koreanosauru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코레아노사우루스 보성엔시스(''K. boseongensis'')^^{{{-1 [[모식종]]}}}^^[br][[허민(1961)|Huh]] ''et al''., 2011||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oreanosaurus_NT.jpg|width=400]] || || 복원도 || || [[파일:Skeletal_diagram_of_Koreanosaurus_boseongensis.jpg|width=400]] || || 골격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백악기 후기 지금의 한반도 일대에서 서식한 것으로 추정되는 [[조반목]] [[공룡]]. == 연구사 == 2003년 5월 한국공룡연구센터 발굴팀이 [[전남]] [[보성군]] 득량면 비봉리 비봉 공룡알 화석지에서 일부 화석이 발견[* 여담으로 해당 공룡의 화석이 발견되기 전, 이 곳에서도 [[아스프로사우루스]]의 화석이 발견됐다.]되었고 2004년 [[보성군]]에서 발견된 세 개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개체가 발견된 공룡이다.]를 토대로 [[전남대학교]] [[허민(1961)|허민]] 교수에 의해 2011년에 명명되었다. 현재는 의문명이 된 [[부경고사우루스]]를 제외하면 처음으로 정식 학명이 명명된 한국산 공룡이기도 하다.[* 그 뒤를 이어 [[화성시]]에서 발견된 [[코리아케라톱스]]가 정식으로 명명되었다. 대한민국의 화강암 지형 특성상 화석이 잘 남지 않고, 생흔화석의 비중이 매우 높기 때문에 명명된 종 수가 적은 것이다.] 처음 발견되었을 당시에는 원시적인 [[하드로사우루스]]류로 추정되어 하드로사우루스류 진화의 실마리를 풀어줄 열쇠가 아닌가 하는 기대를 모았으나, 이후 거듭된 연구를 통해 [[테스켈로사우루스]]과 중 [[오로드로메우스]]아과 공룡임이 밝혀졌다. 발견 당시 암석속에 단단히 묻혀 있어 발굴 작업이 꽤나 어려웠다. 뼈화석 주위를 둘러싼 암석들을 제거하고 공룡의 정체를 파악하는 시간에만 5년이라는 기간이 소요됐다. 몸길이가 2~2.4m에 달하는 작은 조반목 공룡이다.[* Huh, M.; Kim, J.G. (2010). "Koreanosaurus boseongensis". 한국고생물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pp. 21–26.] [[힙실로포돈]]과 같은 다른 소형 조반목 공룡에 비해 비교적 목이 길고, 뒷다리가 짧아 근연종 중 유일하게 대체로 사족보행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Fearon, J. L., & Varricchio, D. J. (2015). Morphometric analysis of the forelimb and pectoral girdle of the Cretaceous ornithopod dinosaur Oryctodromeus cubicularis and implications for digging.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35(4), e936555. [[https://doi.org/10.1080/02724634.2014.936555]]] 또한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 [[오릭토드로메우스]]와 마찬가지로 땅을 파는 능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립과천과학관]]과 [[국립중앙과학관]]에 표본의 레플리카가 전시되어 있으며, 전남대학교 한국공룡연구센터에서 실물 화석과 모형을 볼 수 있다. == 등장 매체 == [[파일:YTN_science_20161222.jpg|width=400]] 2016년 12월, [[YTN 사이언스]]의 다큐S프라임 5회 "한반도의 공룡을 찾아서"에서 첫 등장했다.[* 해당 장소는 전남대학교 한국 공룡 연구센터이다. ] 이후 다큐멘터리 '히든 어스 한반도 30억 년'에선 뜬금없이 [[강남스타일]]을 추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쥬라기 월드 얼라이브]]에서 한국 출시 기념으로 오메가 등급으로 출시되었다. 처음으로 [[쥬라기 공원 시리즈]] 외전에 데뷔한 '''[[한국]] 공룡'''으로 '''성능도''' '''이론상 최상급'''이다. [[분류:오로드로메우스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