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민주당(미국) 스쿼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14388%, #214388%, #214388%, #214388)" '''{{{#white 미합중국 제 117대 연방 하원의원[br]{{{+1 코리 부시}}}[br]Cori Bush}}}'''}}}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ori_Bush_117th_U.S_Congress.jpg|width=100%]]}}} || ||<|2> '''출생''' ||[[1976년]] 7월 21일 ([age(1976-07-21)]세) || ||[[미주리|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가족''' ||자녀 2명 || || '''학력''' ||카디널 리터 대학준비 고등학교 {{{-2 ([[졸업]])}}}[br]해리스-스토우 주립대학교^^(1995 ~ 1996년)^^[br]루터교 간호학교{{{-2 ([[간호학]] / [[학사|B.A.]])}}} || || '''정당''' ||[include(틀:민주당(미국))] ,,,([include(틀:미국 민주사회주의자들)]),,, || || ''' 종교 ''' ||[[기독교]] {{{-2 ([[개신교]], [[루터교회]])}}} || || '''지역구''' ||[[미주리 1구|미주리 1구]] || || '''의원 선수''' ||'''1''' (하원) || || '''경력''' ||'''[[미주리 제 1구|미주리 1구]] 연방 하원의원 ,,,(2020~현재),,,''' || || '''소셜 미디어'''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repcori, 크기=20)] | [[https://www.facebook.com/RepCori/|[[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repcori|[[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민주당(미국)|미국 민주당]] 소속의 연방하원의원. 지역구는 [[미주리]] 주 1구로, 사회주의 단체인 [[미국 민주사회주의자들]](DSA)에 소속된 사회주의자이다. == 생애 == 1976년 7월 21일 미주리 주의 [[세인트루이스]]에서 출생했다. 아버지인 에럴 부시(Errol Bush)는 미주리 주의 노스우드 시의회 의원과 노스우드 시장을 역임한 정치인이다. 해리스-스투 주립대학교에서 공부하고 2001년까지 유치원에서 일했다. 2008년에는 간호학 학위를 받았다. 또 간호사로 일하면서 신학을 배워서 2011년부터 2014년까지 루터교회 소속의 외국인 교회에서 목사로 섬기다가[* 미주리 주의 루터교회는 보수적인 성향이어서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 [[2014년 퍼거슨 소요]][* 2020년의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과 비교되는 경찰의 비무장 흑인 사살 사건인데 이 사건이 하필이면 세인트루이스에서 벌어졌다.] 당시 흑인 당사자로서 인종차별과 관련된 사회운동을 하게 되면서 정치와 인연을 맺었다. 2016년, 2016년 양원/주지사 선거에 미주리주 연방상원의원에 출마 선언을 하나 당내 경선에서 주 국무장관을 지낸 제이슨 캔더에게 패배한다. 이후 캔더 역시 본선에서 공화당의 [[로이 블런트]] 후보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배한다. 2018년, 2018년 양원/주지사 선거에 미주리주 제 1구에 연방하원의원으로 재도전했지만 경선에서 민주당 현역 의원인 레이시 클레이에게 36.9vs56.7로 패했다. 이때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Knock the House'(한국 제목은 '세상을 바꾸는 여성들')[[https://www.netflix.com/kr/title/81080637|#]]에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스]]와 함께 코리 부시의 이야기가 나와 있으니 참고하는 것도 좋다. 2020년 양원/주지사 선거에서는 같은 지역구의 연방하원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정의민주당 등 당 내 진보파의 지지를 받았고, 본선에서 앤서니 로저스 공화당 후보를 상대로 '''78%'''를 득표했다.[* 미주리 주 전체는 공화당이 우세한 레드스테이트지만 주가 넓은 만큼(남한보다 크다.) 제 1구는 1909년 이후로 단 17개월을 제외하고 계속 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었고, 1940년대 이후로는 공화당 후보는 단 한 번도 40% 이상을 득표한 적이 없는 민주당 우세 지역이다.] 이전 의원이었던 레이시 클레이는 정치인 가문 출신이기도 한데, 클레이 패밀리가 이 지역 의석을 가지지 못한 건 1968년 이후 52년 만이다. 2021년 1월 6일, [[도널드 트럼프|트럼프]] 지지자들에 의해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폭동]]이 발생하자 시위대에 동조해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부정선거 음모론|부정선거 음모론]]을 주장한 공화당 의원들을 조사할 것을 주장했다. 극우 성향을 가진 [[마조리 테일러 그린]] 공화당 하원의원은 코리 부시가 [[조지 플로이드 사망 항의 시위]] 때 시위대가 한 커플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것을 선동, 지지했다고 비난했다. 공화당 흑인 의원인 [[바이런 도널즈]]에게 백인 우월주의에 동조하는 매국노라는 식으로 말을 하여 크게 비판을 받았다. == 성향 == * 스쿼드와 함께 활동하는 민주당 내 대표적인 진보파이다. * 흑인 민권 운동을 지지하며, 인종 평등에 초점을 맞춘 경찰 및 사법개혁을 지지한다. Defund the Police에도 호의적이다. * 연방 최저임금을 15달러로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버니 샌더스]]식의 단일 지불자 [[의료보험]] 제도를 지지한다. * [[낙태|임신중지]]의 전적인 허용을 지지한다. 이는 17세에 성폭행으로 인해서 임신중지를 직접 경험해봤기 때문으로 보인다.[[https://m.yna.co.kr/view/AKR202109301245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국방비를 축소하고 그 비용을 지역사회 발전과 의료에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때문에 [[케빈 매카시]] 공화당 하원 원내대표에게 비판받기도 했다. * [[이스라엘]] 보이콧 운동인 [[보이콧, 투자철회 및 제재|BDS]]를 지지한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미합중국 연방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20 || [[202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2> 미주리 1구 ||<|2> [include(틀:민주당(미국))] || '''249,087 (78.78%)''' ||<|2> '''당선 (1위)''' || '''초선''' || || 2022 || [[202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60,999 (72.86%)''' || '''재선''' || == 둘러보기 == [include(틀:미국 제117대 하원의원)] ------ [include(틀:미국 제118대 하원의원)] ------ [[분류:미국의 여성 정치인]][[분류:미국 하원의원]][[분류:1976년 출생]][[분류:미국 민주당 소속]][[분류:세인트루이스 출신 인물]][[분류:루터교회 목사]][[분류:미국의 정치인 자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