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미군에서 국가원수급 인사를 지칭하는 암호명 == 코드원(Code One)은 [[미군]]에서 [[국가원수]]급 인사를 지칭하는 암호명. 정확하게는 [[https://www.public.navy.mil/airfor/nalo/Pages/VIPCodes.aspx|VIP Code]]라고 하며, [[미국 대통령]]과 외국의 [[국가원수]]급 인사는 “'''코드 1'''”으로, [[미국 부통령]]·[[유엔 사무총장|UN 사무총장]]·대사 등은 “'''코드 2'''”로 부른다. 이러한 코드는 “코드 1”부터 “코드 7”까지 모두 7단계로 분류되어 있다. == 대한민국 국군에서 대통령 또는 다른 나라의 국가원수 및 그 이동을 지칭하는 암호명 == 1번 항목의 사용례를 받아들여, [[대한민국 국군]]에서도 “'''코드원'''”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10.26 사건]] 당시 [[보안사]] [[참모장]]이었던 우국일 육군 준장이 [[국군서울지구병원]]장이었던 [[김병수(1935)|김병수]] 공군 준장과의 통화 당시 코드원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소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소설)|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에서도 비밀리에 진행한 남북합작 핵개발 사실이 미국에 탄로날 위기에 처했을 때 안기부장이 코드원을 연결해 달라는 대목이 등장하기도 한다. 드라마 제5공화국에서도 10.26때 이 용어를 쓰는 장면이 한 번 나온다. 그리고 영화 [[공작(영화)|공작]]에서도 최학성 안기부 해외실장이 대통령을 코드 원이라고 부르는 장면이 나온다 최근에는 [[VIP]]라는 표현을 더 즐겨 쓰는 것으로 보이나, [[대한민국 공군]]의 경우 여전히 미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대한민국 대통령 등 국가원수급 VIP의 항공기 사용 이동이라는 임무개요에 대해 코드원이라는 암호명으로 지칭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로 인해 코드원이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기]]의 호출 부호라는 기술이 있었으나, 해당 항목의 서술에서 보듯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기의 호출 부호는 [[에어 포스 원]]과 유사하게 ROKAF 001[* [[2018 남북정상회담 평양|2018년 남북정상회담]] 때 남한에서 북한으로 올라갈 때 쓰인 [[콜사인]]은 교신 녹취에 따르면 “Korean Airforce 001”(KAF 001)이었다. 해당 콜사인을 해외에서도 사용하는지, 아니면 국내에서만 사용하는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이다. 또한 외국의 국가 원수가 여러 명 방문하면 모두 각각 코드원으로 불리고, 대규모 정상회의, 예컨대 [[G20]]이나 [[APEC]] 같은 경우에는 연달아 코드원 행사에다 Field Close가 연이어 걸리기도 한다. 이와 관련한 부분은 [[제15특수임무비행단]], [[제5공중기동비행단]] 참고. 참고로, [[북한]]의 경우에는 최고지도자[* 즉, [[김일성]]·[[김정일]]·[[김정은]]. 북한식 표현으로는 “최고령도자”이다.] 혹은 최고지도자와 관련된 것을 “'''1호'''”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김정은]]의 [[사진]]은 “[[http://imnews.imbc.com/weeklyfull/weekly07/3421722_17999.html|1호 사진]]”이라고 불리고, 김정은의 전용 열차인 [[태양호]]는 “1호 열차”, 전용기는 "[[참매 1호]]"라고 불리며, 김정은이 참석하는 행사는 “1호 행사”라고 불린다. == [[공군]]에서 사용하는 은어 == 2번 항목에서 파생된 호칭. [[최선임병]]을 지칭하는 단어로 ‘[[왕고]]’를 뜻한다. [[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