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애니메이션 고베|{{{#e5d85c 역대 애니메이션 고베}}}]]''' || ||<-5> [[파일:external/i1.wp.com/kobe-2.png|width=200]] || ||<-5> {{{#e5d85c '''작품상 - TV 부문'''}}} || || '''제12회[br]([[2007년]])''' || {{{+1 → }}} || '''제13회[br]([[2008년]])''' || {{{+1 → }}} || '''제14회[br]([[2009년]])''' || ||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 {{{+1 → }}} ||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br]'''R2''' || {{{+1 → }}} || [[동쪽의 에덴]] || ||<-5> || [include(틀:코드 기아스)] ||<-2>
{{{#ffffff,#dddddd '''{{{+1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R2}}}''' (2008)[br]コードギアス 反逆のルルーシュ R2[br]Code Geass: Lelouch of the Rebellion R2}}}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odgeassr2_keyvisual.jpg|width=100%]]}}} || ||<-2> {{{#ffffff,#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ffffff,#dddddd 장르}}}''' ||[[사이언스 픽션|SF]], [[전쟁]], [[거대로봇물|로봇]], [[피카레스크]] || || '''{{{#ffffff,#dddddd 스토리 원안}}}''' ||[[오코우치 이치로]][br][[타니구치 고로]] || || '''{{{#ffffff,#dddddd 캐릭터 디자인 원안}}}''' ||[[CLAMP]] || || '''{{{#ffffff,#dddddd 감독}}}''' ||[[타니구치 고로]] || || '''{{{#ffffff,#dddddd 부감독}}}''' ||[[무라타 카즈야]] || || '''{{{#ffffff,#dddddd 시리즈 구성}}}''' ||[[오코우치 이치로]] || || '''{{{#ffffff,#dddddd 부 시리즈 구성}}}''' ||[[요시노 히로유키(각본가)|요시노 히로유키]] || || '''{{{#ffffff,#dddddd 캐릭터 디자인}}}''' ||[[키무라 타카히로]] || || '''{{{#ffffff,#dddddd 나이트메어 디자인}}}''' ||[[야스다 아키라]][br][[나카다 에이지]][br][[아쿠츠 준이치]] || || '''{{{#ffffff,#dddddd 메인 애니메이터}}}''' ||키무라 타카히로[br][[치바 유리코]][br]나카다 에이지[br][[나카타니 세이이치]] || || '''{{{#ffffff,#dddddd 메카 디자인}}}''' ||<|2>테라오카 켄지(寺岡賢司) || || '''{{{#ffffff,#dddddd 컨셉 디자인}}}''' || || '''{{{#ffffff,#dddddd 미술 감독}}}''' ||<|2>히시누마 요시노리(菱沼由典) || || '''{{{#ffffff,#dddddd 미술 보드}}}''' || || '''{{{#ffffff,#dddddd 색채 설계}}}''' ||이와사와 레이코(岩沢れい子) || || '''{{{#ffffff,#dddddd 촬영 감독}}}''' ||오오야 소타(大矢創太) || || '''{{{#ffffff,#dddddd 편집}}}''' ||모리타 세이지(森田清次) || || '''{{{#ffffff,#dddddd 음향 감독}}}''' ||우라카미 야스오(浦上靖夫)[br]이자와 모토이(井澤 基) || || '''{{{#ffffff,#dddddd 음악}}}''' ||[[나카가와 코타로]][br][[쿠로이시 히토미]] || || '''{{{#ffffff,#dddddd 프로듀서}}}''' ||모로토미 히로후미(諸冨洋史)[br][[카와구치 요시타카]][br]미네기시 타쿠오(峯岸卓生)[br]유카와 준(湯川 淳) || || '''{{{#ffffff,#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선라이즈(브랜드)|선라이즈]] || || '''{{{#ffffff,#dddddd 제작}}}''' ||[[마이니치 방송|MBS]][br][[선라이즈(브랜드)|선라이즈]][br]코드 기어스 [[제작위원회]] || || '''{{{#ffffff,#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08년 4월|2008. 04. 06.]] ~ 2008. 09. 28.[br][[애니메이션/2022년 7월|2022. 07. 09.]] ~ 2022. 12. 24.^^15주년 재방송^^ || || '''{{{#ffffff,#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마이니치 방송|MBS]][br](일) 17:00[br](토) 02:25^^15주년 재방송^^[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br](목) 23:00(2회 연속방송)^^1~18화^^[br](화) 00:00(2회 연속방송)^^19~25화^^ || || '''{{{#ffffff,#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fff,#dddddd 화수}}}''' ||25화 || || '''{{{#ffffff,#dddddd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19세 이상 시청가}}}]] || || '''{{{#ffffff,#dddddd 관련 사이트}}}''' ||[[https://www.mbs.jp/geass/|[[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나는 세계를 부수고, 세계를 창조한다.(俺は世界を壊し、世界を創る。)"'''[* R2 최종화에서 나온 를르슈의 대사이다.]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시리즈]] 중 TVA 제2기. 2008년 4월부터 2기인『코드 기아스 반역의 를르슈 R2』의 방영이 시작, 9월 28일 25화를 끝으로 완결되었다. 스태프는 감독 [[타니구치 고로]]를 비롯해 1기와 거의 동일하다. 전작의 부감독이었던 [[무라타 카즈야]]가 좋은 반응을 얻어 R2에선 무라타의 연출 비중이 늘었고 마지막화도 무라타 카즈야가 마무리지었다. == 공개 정보 == === 키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코드기아스반역의를르슈R2_애니키비주얼.jpg|width=100%]]}}} || || '''{{{#ffffff,#dddddd 티저 비주얼}}}''' || == 특징 == 시즌1에 해당하는 1기가 일종의 [[피카레스크]]물이었던 것에 비해 2기인 R2는 를루슈를 내세운 히로익 판타지물로 노선이 [[수정]]되었다. [[타니구치 고로]] 감독 말로는 방송 시간대가 바뀌어서 1기처럼 과격한 내용을 할 수 없게 되었고 1기와 너무 이어버리면 새로 유입된 시청자들이 안 보기 때문에 내용이 크게 바꾸었다고 한다. 원래 2기로 기획했던 스토리는 재활용해서 [[액티브 레이드 -기동강습실 제8계- ]]로 만들었다고 한다. [[https://fullfrontal.moe/goro-taniguchi-interview/|#]] ==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시리즈/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시리즈/등장인물)] ||
'''등장인물''' || '''성우''' || || '''[[를르슈 람페르지]]''' || [[후쿠야마 쥰]] || || '''[[C.C.(코드 기아스)|C.C.]]''' || [[유카나]] || || '''[[쿠루루기 스자쿠]]''' || [[사쿠라이 타카히로]] || || '''[[코우즈키 카렌]]''' || [[코시미즈 아미]] || || '''[[로로 람페르지]]''' || [[미즈시마 타카히로]] || || '''[[지노 바인베르그]]''' || [[호시 소이치로]] || || '''[[아냐 아르스트레임]]''' || [[고토 유코]] || || '''[[셜리 페넷]]''' || [[오리카사 후미코]] || || '''[[미레이 애쉬포드]]''' || [[오오하라 사야카]] || || '''[[리발 칼데몬드]]''' || [[스기야마 노리아키]] || || '''[[오우기 카나메]]''' || [[마도노 미츠아키]] || || '''[[제레미아 고트발트]]''' || [[나리타 켄]] || || '''[[비렛타 누]]''' || [[와타나베 아케노]] || || '''[[디트하르트 리트]]''' || [[나카타 죠지]] || || '''[[샤를 지 브리타니아]]''' || [[와카모토 노리오]] || || '''[[슈나이젤 엘 브리타니아]]''' || [[이노우에 노리히로]] || || '''[[니나 아인슈타인]]''' || [[치바 사에코]] || || '''[[리 신쿠]]''' || [[미도리카와 히카루]] || ==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시리즈#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시리즈, 앵커=설정)] == 음악 == === 주제가 === ==== OP1 ==== ||<-2>
'''{{{#ffffff,#e5e5e5 R2-1 OP[br]O2}}}'''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ogCUjp4Cj98, width=100%)]}}} || ||<-2> '''{{{#ffffff,#e5e5e5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FCjEazt7S8, width=100%)]}}} || ||<-2> '''{{{#ffffff,#e5e5e5 Full ver.}}}''' || || '''노래''' ||<|3> [[ORANGE RANGE]] || || '''작사''' || || '''작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타니구치 고로]] || || '''연출''' || [[쿠죠 리온]] || || '''작화감독''' || [[키무라 타카히로]][br][[나카다 에이지]]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ED1 ==== ||<-2>
'''{{{#ffffff,#e5e5e5 R2-1 ED[br]シアワセネイロ[br]행복의 색깔}}}'''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gFePGTALWBs, width=100%)]}}} || ||<-2> '''{{{#ffffff,#e5e5e5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om5pEjRP3Yc, width=100%)]}}} || ||<-2> '''{{{#ffffff,#e5e5e5 Full ver.}}}''' || || '''노래''' ||<|3> [[ORANGE RANGE]] || || '''작사''' || || '''작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러스트''' || [[CLAMP]], [[키무라 타카히로]]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OP2 ==== ||<-2>
'''{{{#ffffff,#e5e5e5 R2-2 OP[br]WORLD EN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osKkMKolWQ8, width=100%)]}}} || ||<-2> '''{{{#ffffff,#e5e5e5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g9MbO7FIJ6o, width=100%)]}}} || ||<-2> '''{{{#ffffff,#e5e5e5 Full ver.}}}''' || || '''노래''' || [[FLOW(일본 밴드)|FLOW]] || || '''작사''' || Kohshi Asakawa || || '''작곡''' || Takeshi Asakawa || || '''편곡''' || [[FLOW(일본 밴드)|FLOW]][br]lkoman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타니구치 고로]] || || '''연출''' || [[오오하시 요시미츠]] || || '''작화감독''' || [[스즈키 타쿠야]][br][[나카다 에이지]] || || '''총 작화감독''' || [[키무라 타카히로]][br][[나카다 에이지]]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ED2 ==== ||<-2>
'''{{{#ffffff,#e5e5e5 R2-2 ED[br]わが﨟たし悪の華[br]나의 아름다운 악의 꽃}}}'''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vRnl_-E0is, width=100%)]}}} || ||<-2> '''{{{#ffffff,#e5e5e5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pJilCH2zZg, width=100%)]}}} || ||<-2> '''{{{#ffffff,#e5e5e5 Full ver.}}}''' || || '''노래''' || [[ALI PROJECT]] || || '''작사''' || 타카라노 아리카(宝野アリカ) || || '''작곡''' ||<|2> 카타쿠라 미키야(片倉三起也)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러스트''' || [[CLAMP]], [[키무라 타카히로]]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재방송 OP1 ==== ||<-2>
'''{{{#ffffff,#e5e5e5 15주년 재방송 R2-1 OP[br]Face2}}}'''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2i2PcLAdfA, width=100%)]}}} || ||<-2> '''{{{#ffffff,#e5e5e5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R3V8q2Nqll8, width=100%)]}}} || ||<-2> '''{{{#ffffff,#e5e5e5 Full ver.}}}''' || || '''노래''' ||<|2> 로자리나(ロザリーナ) || || '''작사''' || || '''작곡''' ||<|2> 로자리나(ロザリーナ)[br]MICHVEL JVMES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 || '''연출''' || || || '''작화감독''' ||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재방송 ED1 ==== ||<-2>
'''{{{#ffffff,#e5e5e5 15주년 재방송 R2-1 ED[br]無色透明[br]무색투명}}}'''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lrLMahTLlY, width=100%)]}}} || ||<-2> '''{{{#ffffff,#e5e5e5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4ZRLwwBHVo8, width=100%)]}}} || ||<-2> '''{{{#ffffff,#e5e5e5 Full ver.}}}''' || || '''노래''' || 야마시타 유타로(山下優太郎) || || '''작사''' ||<|3> 쿠리야마 유리(栗山夕璃)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 || '''연출''' || || || '''작화감독''' ||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재방송 OP2 ==== ||<-2>
'''{{{#ffffff,#e5e5e5 15주년 재방송 R2-2 OP[br]デイドリーム ビリーヴァー[br]Daydream Belie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ffff,#e5e5e5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K525iMKYRg, width=100%)]}}} || ||<-2> '''{{{#ffffff,#e5e5e5 Full ver.}}}''' || || '''노래''' ||<|4> [[FLOW(일본 밴드)|FLOW]]×[[ORANGE RANGE]] || || '''작사'''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 || '''연출''' || || || '''작화감독''' ||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재방송 ED2 ==== ||<-2>
'''{{{#ffffff,#e5e5e5 15주년 재방송 R2-2 ED[br]Z.E.R.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ffff,#e5e5e5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GF6jCEb6Ee8, width=100%)]}}} || ||<-2> '''{{{#ffffff,#e5e5e5 Full ver.}}}''' || || '''노래''' ||<|2> [[BLUE ENCOUNT]] || || '''편곡''' || || '''작사''' ||<|2> 타나베 슌이치(田邊駿一) || || '''작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 || '''연출''' || || || '''작화감독''' ||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삽입곡 === ||<-2>
'''{{{#ffffff,#e5e5e5 3화 삽입곡[br]Masquerad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CRZt9qNzYc, width=100%)]}}} || ||<-2> '''{{{#ffffff,#e5e5e5 Full ver.}}}''' || || '''노래''' || Hitomi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2>
'''{{{#ffffff,#e5e5e5 19화 삽입곡[br]僕は、鳥になる。}}}'''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PWqEy-d8mY, width=100%)]}}} || ||<-2> '''{{{#ffffff,#e5e5e5 Full ver.}}}''' || || '''노래''' || Hitomi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2>
'''{{{#ffffff,#e5e5e5 23화 삽입곡[br]Innocent Day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3xsqTgxpB0, width=100%)]}}} || ||<-2> '''{{{#ffffff,#e5e5e5 Full ver.}}}''' || || '''노래''' || Hitomi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2>
'''{{{#ffffff,#e5e5e5 25화 삽입곡[br]Continued Stor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9wsRRlTL3s, width=100%)]}}} || ||<-2> '''{{{#ffffff,#e5e5e5 Full ver.}}}''' || || '''노래''' || Hitomi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오코우치 이치로]]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2 TURN 01}}} || {{{-2 魔神 が 目覚める 日[br]마신이 깨어나는 날}}} ||<|2> {{{-2 [[스나가 츠카사]]}}} || {{{-2 [[아키타야 노리아키]]}}} || {{{-2 [[이시다 카나]][br]모리 히로유키[br](森 寬之)}}} ||<|3> {{{-2 [[치바 유리코]][br][[나카다 에이지]]}}} || {{{-2 日: 2008.04.06.[br]韓: 2010.08.12.}}} || || {{{-2 TURN 02}}} || {{{-2 日本 独立 計画[br]일본 독립 계획}}} || {{{-2 토바 아키라[br](鳥羽 聡)}}} || {{{-2 사카모토 슈지[br](坂本修司)[br][[이카리야 아츠시|이타가키 아츠시]]}}} || {{{-2 日: 2008.04.13.[br]韓: 2010.08.12.}}} || || {{{-2 TURN 03}}} || {{{-2 囚われ の 学園[br]사로잡힌 학원}}} || {{{-2 [[무라타 카즈야]]}}} || {{{-2 바바 마코토[br](馬場 誠)}}} || {{{-2 [[신보 타쿠로]][br]이케다 유우[br](池田 有)}}} || {{{-2 日: 2008.04.20.[br]韓: 2010.08.19.}}} || || {{{-2 TURN 04}}} || {{{-2 逆襲 の 処刑台[br]역습의 처형대}}} || {{{-2 [[스기시마 쿠니히사]]}}} || {{{-2 미야케 카즈오[br](三宅和男)}}} || {{{-2 [[카데카루 치카시]][br][[나카타니 세이이치]]}}} || {{{-2 나카타니 세이이치}}} || {{{-2 日: 2008.04.27.[br]韓: 2010.08.19.}}} || || {{{-2 TURN 05}}} || {{{-2 ナイト オブ ラウンズ[br]나이트 오브 라운즈}}} ||<|2> {{{-2 스나가 츠카사}}} || {{{-2 아키타야 노리아키[br]미야케 카즈오}}} || {{{-2 타바타 히사유키[br](田畑壽之)[br]후쿠시마 히데키[br](福島秀機)}}} ||<|5> {{{-2 치바 유리코[br]나카다 에이지}}} || {{{-2 日: 2008.05.04.[br]韓: 2010.08.26.}}} || || {{{-2 TURN 06}}} || {{{-2 太平洋 奇襲 作戦[br]태평양 기습작전}}} || {{{-2 토바 아키라}}} || {{{-2 이시다 카나[br]이타가키 아츠시}}} || {{{-2 日: 2008.05.11.[br]韓: 2010.08.26.}}} || || {{{-2 TURN 07}}} || {{{-2 棄てられた 仮面[br]버려진 가면}}} || {{{-2 무라타 카즈야}}} || {{{-2 바바 마코토}}} || {{{-2 사코 유키에[br](佐光幸恵)[br]SNIPES}}} || {{{-2 日: 2008.05.18.[br]韓: 2010.09.02.}}} || || {{{-2 TURN 08}}} || {{{-2 百万 の キセキ[br]백만의 기적}}} || {{{-2 스기시마 쿠니히사}}} || {{{-2 미야케 카즈오}}} || {{{-2 사카모토 슈지[br]이케다 유우}}} || {{{-2 日: 2008.05.25.[br]韓: 2010.09.02.}}} || || {{{-2 TURN 09}}} || {{{-2 朱禁城 の 花嫁[br]주금성의 신부}}} ||<|3> {{{-2 스나가 츠카사}}} || {{{-2 [[사카이 카즈오]]}}} || {{{-2 치바 유리코[br]모리 히로유키}}} || {{{-2 日: 2008.06.08.[br]韓: 2010.09.09.}}} || || {{{-2 TURN 10}}} || {{{-2 神虎 輝く 刻[br]쉔후가 빛날 때}}} || {{{-2 토바 아키라}}} || {{{-2 코조 요코[br](高乗陽子)[br]마에다 세이메이[br](前田清明)}}} || {{{-2 [[키무라 타카히로]][br]나카다 에이지}}} || {{{-2 日: 2008.06.15.[br]韓: 2010.09.09.}}} || || {{{-2 TURN 11}}} || {{{-2 想い の 力[br]마음의 힘}}} || {{{-2 [[노부타 유우]]}}} || {{{-2 마츠바라 카즈유키[br](松原一之)[br][[나카 모리후미]]}}} || {{{-2 나카타니 세이이치}}} || {{{-2 日: 2008.06.22.[br]韓: 2010.09.16.}}} || || {{{-2 TURN 12}}} || {{{-2 ラブ アタック ![br]러브 어택!}}} || {{{-2 스나가 츠카사[br][[모리 쿠니히로]]}}} || {{{-2 아키타야 노리아키}}} || {{{-2 신보 타쿠로[br]이케다 유우[br]코구레 마사히로[br](小暮昌宏)}}} ||<|2> {{{-2 치바 유리코[br]나카다 에이지}}} || {{{-2 日: 2008.06.29.[br]韓: 2010.09.16.}}} || || {{{-2 TURN 13}}} || {{{-2 過去 から の 刺客[br]과거에서 온 자객}}} || {{{-2 무라타 카즈야}}} || {{{-2 [[요네다 카즈히로]]}}} || {{{-2 타바타 히사유키}}} || {{{-2 日: 2008.07.06.[br]韓: 2010.09.26.[* 13, 14화는 9/23(목) 추석 특집 편성으로 인해 9/26(일) 1:00에 본방 편성.]}}} || || {{{-2 TURN 14}}} || {{{-2 ギアス 狩り[br]기어스 사냥}}} ||<|3> {{{-2 스나가 츠카사}}} || {{{-2 미야케 카즈오}}} || {{{-2 이시다 카나[br]이타가키 아츠시[br]마타가 다이스케[br](又賀大介)[br]나카다 에이지[*M 메카닉]}}} || {{{-2 나카다 에이지}}} || {{{-2 日: 2008.07.13.[br]韓: 2010.09.26.}}} || || {{{-2 TURN 15}}} || {{{-2 C の 世界[br]C의 세계}}} || {{{-2 바바 마코토}}} || {{{-2 사코 유키에[br]나카다 에이지[br]미야마에 신이치[br](宮前真一)[br]나카자와 유이치[br](中澤勇一)}}} ||<|2> {{{-2 치바 유리코[br]나카다 에이지}}} || {{{-2 日: 2008.07.20.[br]韓: 2010.09.30.}}} || || {{{-2 TURN 16}}} || {{{-2 超合集国決議第壱號[br]초합집국 결의 제일호}}} || {{{-2 아베 타츠야[br](阿部達也)[br]카와하라 토모히로[br](川原智弘)}}} || {{{-2 카와하라 토모히로}}} || {{{-2 日: 2008.07.27.[br]韓: 2010.09.30.}}} || || {{{-2 TURN 17}}} || {{{-2 土 の 味[br]대지의 정취}}} || {{{-2 [[히다카 마사미츠]][br]야마모토 타마요[br](山本珠代)}}} || {{{-2 쿠도 히로아키[br](工藤寛顕)}}} || {{{-2 사카모토 슈지[br]마츠이 아키라[br](松井 章)[br]나카타니 세이이치[*M]}}} || {{{-2 나카타니 세이이치}}} || {{{-2 日: 2008.08.03.[br]韓: 2010.10.07.}}} || || {{{-2 TURN 18}}} || {{{-2 第二次 東京 決戦[br]제2차 도쿄 결전}}} || {{{-2 스나가 츠카사}}} || {{{-2 토바 아키라}}} || {{{-2 마츠바라 카즈유키[br]마에다 세이메이[br]이케다 유우[br]나카다 에이지[*M]}}} || {{{-2 나카다 에이지}}} || {{{-2 日: 2008.08.10.[br]韓: 2010.10.07.}}} || || {{{-2 TURN 19}}} || {{{-2 裏切り[br]배신}}} || {{{-2 무라타 카즈야}}} || {{{-2 아키타야 노리아키}}} || {{{-2 이시다 카나[br]SNIPES[br]나카다 에이지}}} ||<|2> {{{-2 키무라 타카히로[br]나카다 에이지}}} || {{{-2 日: 2008.08.17.[br]韓: 2010.10.12.}}} || || {{{-2 TURN 20}}} || {{{-2 皇帝 失格[br]황제 실격}}} ||<|2> {{{-2 스나가 츠카사}}} || {{{-2 미야케 카즈오}}} || {{{-2 코바야시 료[br](小林 亮)[br]마츠이 아키라[br]요시다 타카히코[br](吉田隆彦)}}} || {{{-2 日: 2008.08.24.[br]韓: 2010.10.12.}}} || || {{{-2 TURN 21}}} || {{{-2 ラグナレク の 接続[br]라그나뢰크의 접속}}} || {{{-2 바바 마코토}}} || {{{-2 타바타 히사유키[br]나카자와 유이치[br]나카다 에이지[*M]}}} || {{{-2 나카다 에이지}}} || {{{-2 日: 2008.08.31.[br]韓: 2010.10.19.}}} || || {{{-2 TURN 22}}} || {{{-2 皇帝 ルルーシュ[br]황제 를르슈}}} || {{{-2 무라타 카즈야}}} || {{{-2 미요시 마사토[br](三好正人)[br]노부타 유우}}} || {{{-2 미야마에 신이치[br]나카 모리후미}}} || {{{-2 나카타니 세이이치}}} || {{{-2 日: 2008.09.07.[br]韓: 2010.10.19.}}} || || {{{-2 TURN 23}}} || {{{-2 シュナイゼル の 仮面[br]슈나이젤의 가면}}} ||<-2> {{{-2 이가라시 타츠야[br](五十嵐達矢)}}} || {{{-2 사코 유키에[br]신보 타쿠로[br]이케다 유우}}} || {{{-2 사코 유키에[br]나카다 에이지}}} || {{{-2 日: 2008.09.14.[br]韓: 2010.10.26.}}} || || {{{-2 TURN 24}}} || {{{-2 ダモクレス の 空[br]다모클레스의 하늘}}} || {{{-2 스나가 츠카사}}} || {{{-2 토바 아키라}}} || {{{-2 키무라 타카히로[br]이타가키 아츠시[br]마타가 다이스케[br]나카다 에이지[*M]}}} || {{{-2 나카다 에이지}}} || {{{-2 日: 2008.09.21.[br]韓: 2010.10.26.}}} || || {{{-2 TURN 25}}} || {{{-2 Re;}}} || {{{-2 스나가 츠카사[br]무라타 카즈야}}} || {{{-2 아키타야 노리아키[br]미야케 카즈오[br]바바 마코토[br]호조 후미야[br](北條史也)}}} || {{{-2 치바 유리코[br]나카다 에이지}}} || {{{-2 -}}} || {{{-2 日: 2008.09.28.[br]韓: 2010.11.02.}}} || == 평가 ==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2904, user=8.91)] ## 2022년 11월 21일 기준 Reviewers : 1,105,710 감독이 '1기의 모든 떡밥을 회수하겠다'는 약속의 말을 남긴 채 약 1년 만에 돌아오면서 R2는 제작 단계에서부터 큰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1기가 좋으면 보통 2기가 안 좋은 경우가 많았기에 여러 걱정이 많기도 했다. 그리고 방영 후, 방영 전의 걱정이 들어맞듯이 R2는 흑의 기사단의 배신 이후부터 결말 직전까지 [[막장 드라마]]식 전개로 굉장히 평가가 안 좋은 작품이었다. 막나가는 급전개, 제대로 회수하지 않은 사소한 떡밥들, 갈피를 못 잡는 듯한 난잡한 플롯 등이 문제가 되었다. 초중반에는 그래도 괜찮게 나갔으나 후반에서 이런 문제가 폭주해 터져버린다.[* 사실 이것은 스토리상 일개 멸망한 레지스탕스일 뿐인 흑의 기사단이 갑자기 신성 브리타니아 제국이라는 극초강대국을 분쇄할 힘을 거머잡는 동시에, 를르슈라는 일개 기아스 유저가 세계의 신이나 다름없는 C의 세계에 대적하는 전개까지 쑤셔넣어야 했기 때문에 급하게 전개가 이루어진 것이다. 이 때문에 2기를 3기까지 연장하여 를르슈의 축출까지를 2기, 제로 레퀴엠까지를 3기로 잡아서 넉넉한 분량으로 전개했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시청자들의 아쉬운 미련이 일부에서 2020년대까지도 언급되었다.] 그렇지만 최후의 장면인 [[제로 레퀴엠]]을 통해 해결 불가능해 보이던 복선들을 인상적인 연출로 한꺼번에 회수하며 평가는 반등되었고, 오늘날까지도 추억의 명작 애니메이션으로 회자되고 있다. 2022년 11월 21일 기준 110만 명이 참여한 MyAnimeList의 평점은 8.91 로, 평점 상위 20위에 위치하며 이를 증명하고 있다.[* 분리되어 있는 [[은혼]]을 하나의 항목으로 묶는다면 10위권대로 봐도 무방한 수준이다.] ===# 결말 #=== [include(틀:스포일러)] 승전과 세계통일 2개월 뒤, 죽었다고 생각했던 제로가 제 99대 황제로 군림한 를르슈를 퍼레이드에서 시해하고 통일 브리타니아 제국은 합중국 브리타니아가 되어 제로(스자크)와 나나리를 필두로 한 브리타니아와 각국이 조약을 체결하는 등 일상과 평화가 찾아오게 된다. 마지막 장면에 를르슈를 잃은 공범자 C.C.가 등장하며 남기는 대사를 마지막으로 코드 기아스는 막을 내리게 된다. 이처럼 본작은 를르슈의 죽음이라는 깔끔하게 닫힌 결말로 막을 내렸으나 동시에 이후 미디어 믹스 전개에 차질이 생기게 되어 결국 세계관 리부트가 감행되었다. 이 리부트를 기반으로 해서 나온 작품이 바로 [[코드기아스 극장판 시리즈]]과 [[코드 기아스 부활의 를르슈]]로, TV판인 본작의 결말은 평행세계 처리되었고 코드 기아스 시리즈 후속작 및 [[공인설정]]은 부활의 를르슈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판매량 == 이래저래 문제점이 많았지만 사실 1기와 더불어 R2도 상당한 상업적 성과를 거두었다. 평균 DVD 판매량에서 코드 기아스는 1기 45,000장, 2기 42,000장 정도(BD포함)를 기록하였다. 이는 2000년대 TV 애니메이션 판매량을 기준으로 봤을 때 약 6~7만장을 기록한 [[기동전사 건담 SEED]]와 DESTINY, [[바케모노가타리]]등에 이은 기록이었다. 심지어 [[마크로스 프론티어]]나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리고 나중에 발매된 박스판들도 1기 27,000장, 2기 18,000장이라는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였다. 따라서 총 평균 판매량은 1기 7만 2천장, 2기 6만장으로 1, 2기 모두 역대 TVA 판매량 순위에 랭크될 정도로 높은 판매량이다. 뿐만 아니라 1, 2기를 합쳐 BD/DVD 누계 출하량이 2010년 4월 시점에서 170만장을 돌파했다. 이는 [[기동전사 건담 더블오]]마저 압도하는 수치라고 한다. 거기다 프라모델이나 피규어 판매량도 잘나온 편이라 R2의 시청률이 어찌되었건 상업적으로 크게 성공한 애니메이션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R2의 상업적 성공으로 인해 [[코드 기아스]] 시리즈가 성립되어 다양한 미디어 믹스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 상업적 성과에 대한 논란 === R2는 상업적으로 실패했다고 잘못 알려져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이러한 소문의 원인의 가장 큰 이유로 R2의 DVD/BD 판매량이 집계되는 기간동안 차트의 BD 판매량이 처음에는 순위 정도만 알려주는 정도라서 BD 판매량을 모르고 DVD 판매량만 감안해서 생긴 오해라는 의견이 많다. 실제로 R2의 DVD 판매량과 BD 판매량을 합하면 1기와 거의 비슷한 성적이다. 보통 애니들이 후속작에서 낙폭이 심한걸 생각해보면 잘 선방한 편. 그리고 R2는 TV애니메이션 최초로 DVD & BD 종합 랭킹 동시 1위를 차지했는데[* BD랭킹 자체를 2008년도부터 실시하여 그 이전 작품들은 해당 안 된다.] 이 기록은 [[진격의 거인]]이 나올 때까지 5년 동안 다른 어떤 애니메이션들도 달성하지 못했다 한다.([[http://news.nicovideo.jp/watch/nw743108|관련 기사]]) 거기다 음반 분야의 경우 1기보다 R2 시절 판매량이 오히려 더 좋았다. 다만 R2 방영 당시 위기를 맞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특히 그 원인은 심각한 [[시청률]] 저하인데 심야 애니메이션임에도 상당히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던 전작에 비해, 방영 초기 R2는 일요일 5시라는 시간대에도 불구하고 2%라는 전작 시청률의 반토막 수준으로 집계되었다. 다행히 후반부에는 4% 정도의 시청률을 기록했으나, 상당한 수준의 홍보가 이루어졌음에도 이 정도라는 점에서 그 당시의 상황은 시리즈 전체의 존속이 위협받을 수 있는 위기였다.[* 잡지 [[뉴타입]]에서 거의 [[건담]] 시리즈 수준으로 다루어 인기도 면에서는 1기와 2기가 별 차이 없긴 했다.] 이렇게 된 원인에 대한 추측은 대략 아래와 같다. 1. 본래 심야 [[애니메이션]]이었던 관계로 [[매니아]] 층에는 잘 알려졌지만, 일반 시청자 층에는 그리 알려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기는 1기를 모르는 사람이 보고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신규 시청자의 확보에 실패했다. 1. 방송시간대를 [[토요일]] 6시로 배정받을 예정이었지만 방송국 사정상 [[일요일]] 5시로 변경되었다. 가족이 함께 즐기는 [[일요일]] 저녁 시간대의 프로그램으로서는, 코드 기아스의 표현 수위는 너무 높다. 그래서 외면받게 되는 것이다. [* 사실 MBS/TBS 계열의 주말 저녁 애니메이션 방송시간이 원래 토요일 6시였으나, [[어른의 사정]] 탓인지 본작품부터 아예 애니메이션 방송 시간대 자체가 일요일 5시로 이동한 것이긴 하지만.] 1. 본래 [[일요일]] 5시 시간대는 애니메이션이 방송하던 시간대가 아니었기 때문에, "이 시간에 애니메이션을 보는 습관"이 없는 사람들을 이 시간대로 끌어오기에 코드 기아스는 그렇게까지 대중성이 있는 시리즈가 아니었다. 1. 실제로 관동 지역의 [[시청률]][[조사]]는 400세대라고한다. 이건 너무나 한정적인 수치이다. 하지만 [[한국]]이나 [[일본]]의 다른 모든 프로그램의 시청률도 비슷한 수준이라는 점에서 이것은 이유가 되기 어렵다. 1. 관서 지방에서의 시청률은 1화(5.2%), 2화(3.8%), 3화(3.5%), 4화(3.3%)라고 한다. 원래 관서지방은 전체적으로 관동 지방보다 시청률이 높은 경향이 있는 것을 고려해야 하며, 상대적으로 관서 지역에서 선전했던 것은 관동 지역과는 달리 재방송이 여러 차례 되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1. R2 방영 전에 발매된 [[코드 기아스 반역의 를르슈 DS|게임]]과는 성격이 너무 달라 신규 시청자 유치에 실패했다. == 수상 내역 == * 제 13회 애니메이션 고베 작품상 TV부문 * 도쿄 국제 애니메이션 페어 2009 도쿄 애니메이션 어워드 우수 작품상 TV 부문 * 도쿄 국제 애니메이션 페어 2009 도쿄 애니메이션 어워드 각본상 : [[오코우치 이치로]] * 도쿄 국제 애니메이션 페어 2009 도쿄 애니메이션 어워드 성우상 : 후쿠야마 쥰 * 2011년 재팬 엑스포 어워드 오리지널 작품상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시리즈, version=691, paragraph=2)] [[분류: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시리즈]][[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08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08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거대로봇물 애니메이션]][[분류:일본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분류:피카레스크]][[분류:선라이즈(브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