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000 코다 이사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width=70]][br]'''{{{일본시리즈 우승 경력}}}''' || || '''[[1989년 일본시리즈|{{{#fe5a1d 1989}}}]]''' || '''[[1994년 일본시리즈|{{{#fe5a1d 1994}}}]]'''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f8f2d, #3fb1e5)" [[일본프로야구|[[파일:NPB 로고.svg|width=auto&height=45]]]][br]'''{{{#ffffff 1989년 일본시리즈 우수선수상}}}'''}}} || ---- ||<-5> [[센트럴 리그|[[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1990년 8월 센트럴리그 월간 투수 MVP}}}''' || || 1990년 7월[br][[사이토 마사키]][br]([[요미우리 자이언츠]]) || → || '''코다 이사오[br]([[요미우리 자이언츠]])''' || → || 1990년 9월[br][[사사오카 신지]][br]([[히로시마 도요 카프]]) || ---- ||<-5> '''{{{#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48번}}}''' || || 모리타니 아키라[br](1979-1983) || {{{+1 →}}} || '''{{{#fff 코다 이사오[br](1984-1994)}}}''' || {{{+1 →}}} || 타니구치 코이치[br](1995-1997) || ---- ||<-5> '''{{{#ffffff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ffffff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등번호 12번}}}''' || || 마키시 야스나가[br](1987-1994) || {{{+1 →}}} || '''{{{#fff 코다 이사오[br](1995-2001)}}}''' || {{{+1 →}}} || 야마무라 히로키[br](2002-2004) || ---- ||<-5> '''{{{#ffffff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ffffff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등번호 70번}}}''' || || [[코바야시 시게루]][br](1996-2001) || {{{+1 →}}} || '''{{{#fff 코다 이사오[br](2002-2003)}}}''' || {{{+1 →}}} || 결번 및 팀 해체 || ---- ||<-5> '''{{{#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89번}}}''' || || 무라타 신이치[br](2002-2003) || {{{+1 →}}} || '''{{{#fff 코다 이사오[br](2004-2005)}}}''' || {{{+1 →}}} || 무라타 신이치[br](2006-2018) || ---- ||<-5> '''{{{#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72번}}}''' || || 이노우에 신지[br](2001-2005) || {{{+1 →}}} || '''{{{#fff 코다 이사오[br](2006-2011)}}}''' || {{{+1 →}}} || 아와노 히데유키[br](2012-2015) || ---- ||<-5>
'''{{{#fff [[두산 베어스|{{{#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87번}}}''' || || 고마키 유이치[br](2012) || {{{+1 →}}} || '''{{{#FFF 고다 이사오[br](2013-2014)}}}''' || {{{+1 →}}} || [[박철우(야구)|박철우]][br](2015-2022) || ---- ||<-5> '''{{{#000000 [[한신 타이거스|'''{{{#000000 한신 타이거스}}}''']] 등번호 90번}}}''' || || 츠즈키 토시유키 [br] (2004-2013) || {{{+1 →}}} || '''{{{#ffffff 코다 이사오[br](2015-2020)}}}''' || {{{+1 →}}} || 쿠보타 토모유키 [br] (2021-)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saokouda.jpg|width=100%]]}}} || ||<-2> '''{{{+2 코다 이사오[* [[두산 베어스]] 코치 시절엔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고다 이사오'''를 등록명으로 사용했다.]}}}[br]香田勲男 | Isao Kohda''' || ||<|2> '''출생''' ||[[1965년]] [[5월 29일]] ([age(1965-05-29)]세) || ||[[나가사키현]] [[히가시소노기군]] 히가시소노기촌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학력''' ||나가사키현립 사세보공업고등학교 || || '''신체''' ||180cm, 80kg || || '''투타''' ||[[우투좌타]] || || '''포지션''' ||[[투수]] || || '''프로 입단''' ||1983년 드래프트 2순위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 || '''소속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984~1994)'''[br][[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1999년부터 팀명에 연고지 [[오사카]]가 들어갔다.] (1995~2001) || || '''지도자 경력'''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1군 불펜코치 (2002~2003)[br][[요미우리 자이언츠]] 2군 불펜코치 (2004)[br][[요미우리 자이언츠]] 1군 불펜코치 (2005)[br][[요미우리 자이언츠]] 2군 불펜코치 (2006~2007)[br][[요미우리 자이언츠]] 1군 불펜코치 (2008~2011)[br][[두산 베어스]] 2군 투수코치 (2013)[br][[두산 베어스]] 1군 불펜코치 (2014)[br][[한신 타이거스]] 2군 투수코치 (2015)[br][[한신 타이거스]] 1군 투수코치 (2016~2019)[br][[한신 타이거스]] 2군 투수코치 (2020)[br]큐슈분카가쿠엔고등학교 감독 (2022~)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전직 [[프로야구]] 선수. 현재는 야구 해설자 및 지도자 등으로 활동 중에 있다. [[한국]] 야구팬들에겐 2013년부터 2014년까지 [[두산 베어스]]의 코치직을 역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현역 시기 == === 프로 데뷔 전 === 사세보 공고 시절 3차례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코시엔 대회]]에 출장하여 최고 8강 진출 및 통산 4승의 성적을 거뒀고, 3학년 하계 코시엔 대회 [[나가사키현]] 지역예선 때는 결승전에서 [[노히트 노런]]을 달성하기도 했다. 이후 1983년 드래프트 2순위에서 [[이케야마 타카히로]]의 지명권을 [[야쿠르트 스왈로즈]]에게 내준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대체 지명자로 코다를 선택하며 프로에 데뷔하게 된다. ===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절 === 데뷔 2년차인 [[1985년]] [[6월 9일]]에 [[주니치 드래곤즈]]와의 [[나고야 구장]] 원정경기에서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군 경기에 출장했고 이것이 1군 데뷔 시즌의 유일한 등판이 되었다. 3년차인 [[1986년]]엔 13등판 22이닝 1승 무패 ERA 4.09를 기록하며 프로 첫 승리투수가 되었으나, 시즌 종료 후 오른쪽 [[어깨]] [[수술]]을 받게 되어 다음 시즌을 통째로 재활에 쓰게 된 것은 물론 [[연습생]]으로 격하되는 등 순탄치 않은 신인 시절을 보냈다. 어깨 수술 재활에서 돌아온 [[1988년]]부터 기존 주전이었던 [[에가와 스구루]], [[니시모토 타카시]], [[카토 하지메]] 등이 노쇠화나 은퇴로 [[선발 투수|선발진]]에서 이탈하게 되면서 [[선발 투수]]로써의 기회를 얻게 되었고, 이후 5선발이나 [[불펜]] 등을 오가며 1군에 정착하게 되었다. [[1989년]]엔 7승 3패를 거두며 요미우리의 2년 만의 [[센트럴리그]] 우승에 공헌하였고, [[킨테츠 버팔로즈]]와의 [[1989년 일본시리즈|일본시리즈]]에선 팀이 3연패로 [[스윕]]패의 위기에 몰린 상황에서 4차전, 7차전에 [[선발 투수]]로 등판하여 2번 모두 승리(4차전은 완봉승 기록)하며 팀의 [[리버스 스윕]]을 이끈 공로로 시리즈 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다음 해인 [[1990년]]엔 23경기(선발 19경기)에 등판하여 130.1이닝 11승 5패 ERA 2.90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규정이닝]]에 도달한 것은 물론, 8월엔 5승을 거두며 투수 부문 월간 [[MVP]]에 선출되는 등 팀의 [[센트럴리그]] 2연패의 주축으로 활약했다. 다만 당대 최강 전력을 자랑하던 [[세이부 라이온즈]]와의 [[1990년 일본시리즈|일본시리즈]]에선 [[구원 투수]]로 2차례 등판해 4이닝 무실점으로 나름 잘 던져줬으나, 팀이 세이부에게 무기력하게 4연패로 패퇴하면서 빛이 바랬다. 1990시즌 이후로는 매 시즌마다 다소 기복이 심한 모습을 보여주며 이전만큼의 성적을 내진 못했고, 투수진 내 입지도 줄어들면서 [[선발 투수|선발진]]에서 밀려 [[구원 투수]]로 간간히 뛰는 경우가 늘어났다. [[1994년]]에 [[1994년 일본시리즈|일본시리즈]] 우승을 1차례 더 달성하긴 했으나 이때도 1차전에서만 [[패전처리 투수]]로 등판하는 데 그치는 등 기회를 많이 받지 못했고, 결국 1994년 시즌 종료 후 [[아와노 히데유키]]와의 맞[[트레이드]]로 [[킨테츠 버팔로즈]]에 이적하게 되었다. ===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시절 === 킨테츠로 이적한 코다는 이적 첫 해인 [[1995년]]엔 20시합(12선발) 69.2이닝 2승 5패 ERA 4.91으로 계속해서 부진한 성적에 머물렀고 다음 해인 [[1996년]]엔 4시합 등판에 그치며 이대로 재기하지 못한 채 사라지나 싶었지만, 팀이 [[교세라 돔 오사카]]로 홈구장을 옮긴 [[1997년]]에 18시합(18선발) 107.1이닝 9승 4패 ERA 3.69를 기록하며 부활에 성공한 것은 물론 같은 해 감독 추천으로 데뷔 첫 [[올스타전]] 출장을 달성하며 성공적인 컴백 시즌을 보냈다. 다만 1997년의 성적은 다소 [[플루크]]에 가까웠고, 다음 해에 4승 5패에 그치는 등 재차 성적이 나빠지며 1999년부턴 [[구원 투수]]로 완전히 전향하게 되었다. [[구원 투수]]로 완전 전향한 후엔 당시 극도로 불안정했던 [[킨테츠 버팔로즈|킨테츠]] 투수진에서 몇 안 되는 믿을 만한 투수이자 베테랑으로 활약했고, 2001년 [[퍼시픽리그]] 우승[* 이 해 [[킨테츠 버팔로즈|킨테츠]] 선수진은 211홈런을 기록한 [[슬러거]] 타선과 팀 [[평균자책점]] 4.98을 기록하며 불타오른 투수진의 극단적인 ~~투병타신~~대조로 유명했는데, 당시 주전 투수진 중 제 몫을 다한 몇 안되는 선수 중 하나가 바로 코다였다.(36등판 47.2이닝 2승 3패 1세이브 ERA 3.97) 다만 세이버상으론 WAR 음수를 기록하며 그다지 좋지 못한 모습을 보였다.]에도 공헌했다. [[2001년 일본시리즈|같은 해 일본시리즈]]에서도 등판했으나 팀은 투타 양면에서 부진하며 [[야쿠르트 스왈로즈]]에게 1승 4패로 패했고, 2001년 시즌을 끝으로 코다는 선수 생활을 마무리지었다. == 은퇴 후 == 은퇴 직후 킨테츠의 불펜코치로 선임되면서 2003년까지 코치직을 맡다가 2004년에 친정팀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불펜코치로 복귀했고, 이후 1-2군을 오가며 [[우츠미 테츠야]], [[야마구치 테츠야]] 등을 키워냈다. 2011년 시즌 종료 후 요미우리 코치직을 그만둔 뒤 2012년엔 [[후지 테레비]], 스포츠 호치의 야구 해설가를 맡았다가 2013년 시즌부터 킨테츠 시절 선수와 코치로 함께 뛰었던 [[송일수]] 2군 감독와의 인연으로 [[두산 베어스]] 2군 투수코치로 부임했다. 이후 2014년엔 [[송일수]]가 1군 감독으로 승격하며 1군 불펜코치로 보직을 변경했으나, 팀이 6위로 추락하며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송일수]] 감독이 사퇴하게 되면서 코치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두산에서 퇴단한 직후인 2015년부턴 [[한신 타이거스]] 2군 투수코치로 영입되었다. 이듬해인 2016년부터는 1군 투수코치로 보직을 변경했고 2019년까지 1군에서 투수코치를 역임하며 팀 투수 성적을 리그 상위권으로 올려놓는 등 어느 정도 성과를 냈다. 2020년에는 2군 투수코치로 보직을 바꿨고 시즌 종료 후 퇴임했다. 한신에서 퇴단한 후인 2021년엔 GAORA에서 야구 해설자를 역임했고, 2022년부터 고향 [[나가사키현]]의 큐슈분카가쿠엔고등학교 감독에 취임하며 아마추어 야구 지도자로써 데뷔하게 되었다.[* 이전부터 "언젠가는 [[고향]]으로부터 받은 [[은혜]]를 [[야구]]로 보답하고 싶다"고 생각한 것과 더불어 지역 내 야구 유망주들이 계속해서 타 지역으로 유출되는 것에 위기감을 가지고 있었기에 야구 해설가 일과 아마추어 지도자 공부를 병행했었고, 지도자 자격을 얻게 된 직후 감독직 요청을 승낙했다고 한다.] == 통산 성적 == ||<-15><#13264E> '''{{{#FFFFFF 통산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등판}}}''' || '''{{{#ffffff 선발}}}''' || '''{{{#ffffff 완투}}}''' || '''{{{#ffffff 완봉}}}''' || '''{{{#ffffff 승리}}}''' || '''{{{#ffffff 패전}}}''' || '''{{{#ffffff 세이브}}}'''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사사구}}}''' || '''{{{#ffffff ERA}}}''' || '''{{{#ffffff WHIP}}}''' || '''{{{#ffffff WAR}}}''' || || 1985 ||<|9> [[요미우리 자이언츠|요[br]미[br]우[br]리]] || 1 || 0 || 0 || 0 || 0 || 0 || 0 || 1.0 || 1 || 0 || 0.00 || 1.00 || 0.0 || || 1986 || 13 || 0 || 0 || 0 || 1 || 0 || 0 || 22.0 || 25 || 10 || 4.09 || 1.05 || 0.0 || || 1988 || 27 || 11 || 2 || 1 || 4 || 3 || 1 || 93.2 || 76 || 24 || 2.59 || 1.04 || 2.5 || || 1989 || 19 || 12 || 2 || 2 || 7 || 3 || 0 || 88.0 || 71 || 21 || 2.35 || 0.94 || 1.9 || || 1990 || 23 || 19 || 4 || 1 || 11 || 5 || 0 || 130.1 || 106 || 38 || 2.90(4위) || 1.17 || 2.8 || || 1991 || 27 || 13 || 3 || 0 || 6 || 5 || 0 || 113.2 || 78 || 37 || 4.59 || 1.36 || 0.5 || || 1992 || 13 || 3 || 0 || 0 || 0 || 2 || 0 || 26.1 || 27 || 15 || 8.89 || 2.09 || -0.1 || || 1993 || 22 || 16 || 2 || 0 || 8 || 7 || 0 || 100.0 || 59 || 35 || 3.51 || 1.17 || 1.4 || || 1994 || 21 || 11 || 1 || 1 || 2 || 3 || 1 || 70.2 || 40 || 35 || 4.46 || 1.57 || 0.3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등판}}}''' || '''{{{#ffffff 선발}}}''' || '''{{{#ffffff 완투}}}''' || '''{{{#ffffff 완봉}}}''' || '''{{{#ffffff 승리}}}''' || '''{{{#ffffff 패전}}}''' || '''{{{#ffffff 세이브}}}'''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사사구}}}''' || '''{{{#ffffff ERA}}}''' || '''{{{#ffffff WHIP}}}''' || '''{{{#ffffff WAR}}}''' || || 1995 ||<|7> [[킨테츠 버팔로즈|킨[br]테[br]츠]] || 20 || 12 || 1 || 0 || 2 || 5 || 0 || 69.2 || 39 || 28 || 4.91 || 1.56 || 0.8 || || 1996 || 4 || 4 || 0 || 0 || 0 || 3 || 0 || 14.0 || 6 || 4 || 9.64 || 2.21 || -0.3 || || 1997 || 18 || 18 || 0 || 0 || 9 || 4 || 0 || 107.1 || 58 || 29 || 3.69 || 1.39 || 2.2 || || 1998 || 23 || 14 || 0 || 0 || 4 || 5 || 0 || 89.0 || 40 || 31 || 4.96 || 1.55 || 0.2 || || 1999 || 55 || 0 || 0 || 0 || 5 || 4 || 8 || 99.2 || 67 || 21 || 2.44 || 1.16 || 3.0 || || 2000 || 28 || 0 || 0 || 0 || 6 || 2 || 0 || 37.2 || 21 || 10 || 4.06 || 1.38 || 0.9 || || 2001 || 36 || 0 || 0 || 0 || 2 || 3 || 1 || 47.2 || 24 || 8 || 3.97 || 1.01 || -0.1 || ||<-2> '''{{{#ffffff 통산 16시즌}}}''' ||<#cccccc> 350 ||<#cccccc> 133 ||<#cccccc> 15 ||<#cccccc> 5 ||<#cccccc> 67 ||<#cccccc> 54 ||<#cccccc> 11 ||<#cccccc> 1110.2 ||<#cccccc> 738 ||<#cccccc> 346 ||<#cccccc> 3.82 ||<#cccccc> 1.26 ||<#cccccc> 16.2 || == 기타 == * 한신 퇴단 직후인 2021년에 요미우리 시절 팀 동료였던 [[마키하라 히로미]]의 [[유튜브]]에 출연하여 [[한국]] 시절에 대해 간략하게 [[썰]]을 풀기도 했다. 여기서 코다 본인은 [[한국 야구]]에 대해 "[[한국 야구]]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리그]]에 진출할 만한 선수도 나오는 등 선수 개개인의 면모를 보면 뛰어난 선수들은 분명 여럿 존재하나, 팀으로써의 레벨 등 전체적인 면에선 아직 [[일본프로야구|일본 야구]]보다는 수준이 낮다"라는 평가와 함께 [[일본]]과는 다른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미국식 야구]] 스타일이 주류였던 점이 신기했던 한편 한국에서의 코치 생활이 즐거웠다는 감상을 밝혔다. 덤으로 [[한국]]에 있을 적엔 [[국제운전면허증]]을 따긴 했으나 [[한국]]의 복잡한 도로 환경에 두려움을 느껴서 대부분 [[지하철]]로 출퇴근한 경험담과, [[먹산|술을 좋아하는 선수들이 많았다]](...)[* 현재는 두산도 음주 관련해서는 선수들이 스스로 관리하는 편이다.]는 썰도 풀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WKCi-1RzpI|영상]] --그러나 적어도 잠실야구장은 고시엔보다 더 출근이 더 편했을 것이다--[* 한신의 실질적 연고지인 오사카는 서울보다 운전매너가 개판인 것으로 유명하다. 문제는 잠실야구장 근처의 교통 인프라가 [[영동대로|상습정체 구간]]과 [[서울 지하철 9호선|세계적 지옥철]]이라(...).] * 두산 베어스의 통역사인 김용환 대리는 입사 전엔 아예 야구를 몰랐으나, 2014년 코다 이사오의 통역을 맡으면서 야구에 대해 알아 가기 시작했다고 한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6951473&memberNo=44833462&searchKeyword=%EC%83%9D%ED%99%9C%EC%95%88%EC%8B%AC&searchRank=34| ]] [[분류:1965년 출생]][[분류:1983년 데뷔]][[분류:일본의 야구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