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인물이 설립한 대학교, rd1=밴더빌트 대학교, other2=NBA 농구선수, rd2=재러드 밴더빌트)] [include(틀:역대 의회 명예 황금 훈장)] [include(틀:스미소니언 선정 미국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인물들)] ||
<-2><:>[[파일:external/www.wonderslist.com/Cornelius-Vanderbilt.jpg|width=100%]]|| ||<#595959> {{{#FFFFFF ''' 이름 ''' }}} ||{{{#595959 '''코닐리어스 밴더빌트 (Cornelius Vanderbilt)''' }}} || ||<|2><#595959> {{{#FFFFFF ''' 출생 ''' }}} ||[[1794년]] [[5월 27일]]|| ||[[미국]] [[뉴욕주]] [[뉴욕시]] [[스태튼 아일랜드]]|| ||<|2><#595959> {{{#FFFFFF ''' 사망 ''' }}} ||[[1877년]] [[1월 4일]] (향년 82세)|| ||[[미국]] [[뉴욕주]] [[뉴욕시]] [[맨해튼]]|| ||<#595959> {{{#FFFFFF ''' 가족 ''' }}} ||밴더빌트 가문 || ||<#595959> {{{#FFFFFF '''종교 ''' }}} ||[[개신교]](모라비아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기업가. '''철도왕'''과 '''선박왕'''으로 불린 당대 미국의 대부호 중 한명으로[* [[자유방임주의]]가 판치던 당시 경제 구조상, 그의 축재는 말 그대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이루어졌고, 그래서 밴더빌트를 비롯한 당시 미국의 대부호들을 가리켜 [[도적 귀족]](Robber Baro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밴더빌트 가문을 창시한 인물이다. == 역사 == 1794년 5월 [[뉴욕]] [[스태튼 아일랜드]]에서 태어났다. 11살 때 학교를 그만두고 아버지 밑에서 [[여객선]] 일을 도왔다. 16살 때 여객선을 구입해 본격적으로 선박업에 발을 디딘다. 부유하다고 할 수 없는 집안에서 태어나 교육도 제대로 배우지 못했지만 끝없는 노력과 냉철한 판단력을 통해 당시 빠르게 성장하고 있던 선박업을 독점하고 큰 부와 지위를 손에 넣게 된다. [[남북전쟁]] 때는 자신이 운영하는 여객선을 해군에 기부하고 남부군의 무역선을 파괴하는 공을 세운다.[* 상단에 나오는 훈장도 이 때 공적으로 받은 훈장.] 애석하게도 남북전쟁 동안 본인이 가장 아꼈던 막내아들이 병에 걸려 죽고 만다. 남북전쟁 이후 코닐리어스는 급부상하는 철도 산업에 관심을 가졌고 그 당시 모두가 기피하던 뉴욕/할렘 철도선을 포함한 네 개 철도선의 대주주가 된다. 이때 먼저 떠난 막내아들을 대신해 첫째 아들 빌리 밴더빌트를 다시 후계자로 정하고 할렘 철도선을 키워보라고 시킨다. 놀랍게도 빌리는 매우 성공적으로 할렘선을 키웠고 코닐리어스는 선박업을 처분하고 철도업에 올인하게 된다. 현재 미국의 3대 철도사라고 할 수 있는 [[CSX]]의 일부인 뉴욕 센트럴 철도선을 세우게 된다. 물론 미국이라는 나라가 원체 땅이 크다 보니 그 수많은 철도선을 독점 운영하지는 못했지만 경쟁자를 따돌리고 가장 많은 이윤을 남겼다. 쉽게 말하자면 북동부와 중서부에 위치한 모든 철도는 그의 손안에 있었다.[* 미국의 거인들이라는 다큐에서 그의 영향력을 단적으로 보여는 것이 있었는데, 무슨 일로 그의 심기를 거스르는 바람에 뉴욕으로 가는 모든 철도 운송을 막아버렸다. 대도시의 소비되는 물자가 막혀버리자 그에게 항복한 일이 있었다. 즉 그의 의지로 뉴욕과 같은 대도시의 숨통을 막아 버릴 수 있다는 소리다.] 하지만 이 밴더빌트도 제이 굴드(Jay Gould)한테 한방 먹는데, 이리 철도(Erie Rail)[* 현재는 [[CSX]]의 일부 선로이다. 당시 이리 철도는 노선 총연장이 50 km도 안 될 정도로 작은 회사였다. 그러나 이 작은 노선이 하필이면 뉴욕으로 진입하기 위한 '''유일한''' 철도 노선이었기에 밴더빌트의 눈에 들 수밖에 없었다.]에 대한 적대적 [[M&A]] 과정에서 발생한다. 밴더빌트는 [[뉴욕]] 시에 진입하는 철도 회랑을 장악하고 있는데, 하필이면 이 철도 회랑 바로 앞에 있는 선로가 이리 철도의 것이었다. 결국 밴더빌트는 자기 재산을 모조리 쏟아부어 이리 철도를 인수할 생각을 한다. 그래서 [[뉴욕증권거래소]]를 통해 이리 철도 주식에 대한 [[주식공개매수|공개매수]] 선언을 했다. 이 선언을 들은 당시 이리 철도의 2대 주주였던 제이 굴드는 이리 철도 사장 대니얼 드루, 기업사냥꾼 제임스 피스크와 작당했다. 이들이 뭉친 이유는 “밴더빌트의 돈을 빼앗아버리자!” 어떤 방법을 썼냐면, '''등록되지 않은 미등록 불법 주식을 마구 찍어내어 뉴욕증권거래소 및 미국 [[재무부(미국)|재무부]]에 신고하지 않고 시장 내외에서 주식을 마구 팔아치운 것'''[* 미등록 주식을 시장에 팔아치운 사례로는 무려 160년이나 지난 뒤에 나온 [[한국]]의 [[2018년]] [[삼성증권 유령주식 사태]]와 비슷하다.]이다. 굴드는 많을 때는 하루에 700만 달러 어치(하루에 50만 주 가량)씩 미등록 불법 신주를 찍어내며 밴더빌트의 공개매수 시도를 정말 기어이 좌절시킨다. 밴더빌트가 굴드의 작전을 알게 된 것은 아들이 가져온 주식이 이전에 가져온 주식과 달리 '''재무부의 발행인가가 없는''' 부분인 것을 발견한 때로, 이미 밴더빌트가 무려 5,000만 달러를 이리 철도 공개매수에 투입했을 때였다.(...) 밴더빌트는 분명히 주식을 계속 사고 있으므로 지분율이 높아져야 정상인데 생각보다 지분율이 올라가지 않아 의심하던 차에 이 불법 주식을 발견한 것. 그제서야 밴더빌트는 돈을 제이 굴드한테 삥뜯겼다는 것을 깨달았지만 굴드, 드루, 피스크는 이미 이리 철도에서 돈을 나눠먹은 후 이리 철도에서 도망간 뒤였다.(...)[* 나중에 굴드는 이때 밴더빌트의 돈을 빼앗아 나눠먹은 대니얼 드루를 피스크와 손 잡고 배신해서 재산을 모조리 강탈해 비참하게 죽게 만들었고, 나중에 같이 일하던 피스크도 에드워드 스톡스에게 호텔에서 암살당하면서 그의 재산도 모조리 차지한다.] 결국 밴더빌트는 1차 이리 철도 인수전에서 돈을 날려먹은 이후에 록펠러의 석유 수송을 하면서 번 돈으로 4년 후 2차 이리 철도 인수전을 벌여야 했고, 이 때는 공개매수에 성공하여 기어이 이리 철도와 합병하는데 성공했다. == 재산 == 그의 재산에 대해선 자료마다 차이는 있지만, 1877년 사망 당시에는 2억 달러였다. 현재 가치로 200조원. 사망 당시 1억 달러의 유산을 남겼다고 하는데, 아들 윌리엄 밴더빌트는 그의 재산을 두 배로 늘린 걸로 유명하며 그 후 4세대까지 호의호식하면서 살 정도로 엄청난 부를 모았다. 요즘은 인터넷에서 망한 가문 취급받기도 하지만, [[로스차일드]] 가문처럼 대를 거치면서 자식들에게 재산이 많이 분할돼서 그럴 뿐 5세대 인물인 글로리아 밴더빌트와 6세대인 [[앤더슨 쿠퍼]]를 보면 망한 것과는 영 거리가 멀어보인다. 현재 그의 유산은 미국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테네시]]주 [[내슈빌]]에 위치한 [[밴더빌트 대학교]]이다.[* 당대 사업가들은 기업에 대한 사회적 비판을 피하고 합법적인 조세회피 등의 목적으로 교육, 문화 사업에 투자를 제법 했는데, 록펠러의 [[시카고 대학교]] 및 뉴욕 [[MoMA]]와 카네기의 [[카네기 멜런 대학교]] 등이 대표적이다. 물론 카네기처럼 진짜 살아생전에 거의 전재산 다 쓰고 간 케이스도 있긴 하다만.] == 가족사 == 사업가로는 일견 성공했지만, 가족한테는 냉혹했고 좋지 않은 가장이었다. 일단 부모님의 반대를 무릅쓰고 결혼한 부인한테도 차갑게 굴었고 시도 때도 없이 창녀촌에 가서 놀았다고 한다. 자식들에게도 무자비한 편이었는데, 자식이 11명이 넘는 것도 [[남아 선호 사상|딸보단 아들]]을 많이 가지고 싶어서 생긴 결과였다. 하지만 자식 11명 중에서 오직 3명만 아들이었다. 헌데 그렇게 얻은 아들들한테는 관대했냐 하면 그것도 아니었다. 첫째 빌리는 너무 어리숙하다고 어렸을 때 시골로 내쫓았고, 둘째는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시켰다. 오직 막내아들한테만 관심을 두었는데 [[남북전쟁]]때 아쉽게도 병에 걸려 [[요절]]하고 말았다. 이런 가족사를 가지고도 4세대까지는 대중적인 관심을 받을 정도로 모두 호의호식하고 살았다는 게 오히려 기적에 가까울 지경이다. --장남이 많이 벌어서?-- 가족사에 있어서는 정말 실드가 불가능한 인물. 그래도 일말의 양심은 있었는지 죽을 때는 딸들한테도 상당한 유산을 남겼다. 둘째 부인과 딸들한테 각각 $200,000~$500,000을 남겼다고 하는데 19세기 당시에는 엄청난 돈이었다. 자식들은 이 돈을 가지고 여러 건축물들을 세웠는데, 현재 이 건축물 대부분은 국가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고 한다. 나머지 9천만 달러는 첫째 빌리한테 갔고 빌리는 뛰어난 사업 수완으로 죽을 당시 2억 달러를 모았다고 한다. 어리숙하다고 갈군 아들이 오히려 돈을 2배로 불린걸 보면 자식 보는 눈도 어두웠던 모양. [각주] [[분류:미국의 기업인]][[분류:1794년 출생]][[분류:1877년 사망]][[분류:스태튼 아일랜드 출신 인물]][[분류:네덜란드계 미국인]][[분류:대학교 설립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