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기업]][[분류:2003년 설립]][[분류:일본의 광학 회사]] ||<-2> {{{#white {{{+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br]KONICA MINOLTA, INC. / 코니카미놀타 주식회사}}} || ||<-2> [[파일:코니카미놀타 로고.svg|width=200]] || || '''정식 명칭''' ||코니카미놀타 주식회사 || || '''종류''' ||주식회사 || || '''시장 정보''' ||[[도쿄증권거래소]] [[https://www2.jpx.co.jp/tseHpFront/StockSearch.do?method=topsearch&topSearchStr=4902|JPX: 4902]] || || '''본사 소재지''' ||[[도쿄도]] [[지요다구]] [[마루노우치]] 니쵸메 7번 2호[br](東京都千代田区丸の内二丁目7番2号) || || '''창립년일''' ||[[1936년]] [[12월 22일]] || || '''업종''' ||사무기기, 솔루션 서비스, 광학 디바이스 등 || || '''법인번호''' ||[[https://www.houjin-bangou.nta.go.jp/henkorireki-johoto.html?selHouzinNo=5010001084367|5010001084367]] || || '''대표'''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타이코우 토시미츠(大幸利充) || || '''자본금''' ||375억 19백만 엔 (2022년 3월 기준) || || '''매출''' ||연결: 9,114억 26백만엔[br](2022년 3월 기준) || || '''경상이익''' ||연결: 163억 38백만엔[br]단독: 983억 5,600만 엔[br](2022년 3월 기준) || || '''순이익''' ||단독: 144억 76백만 엔[br](2022년 3월 기준) || || '''순자산''' ||단독: 3,325억 87백만엔[br](2022년 3월 기준) || || '''총자산''' ||단독: 8,026억 73백만엔[br](2022년 3월 기준) || || '''종업원 수''' ||연결: 39,121명[br]단독: 4,545명[br](2022년 3월 기준) || || '''결산기''' ||[[3월 31일]] || || '''회계 감사인''' ||유한 책임 아즈사 감사 법인 || || '''외부 링크''' ||[[https://www.konicaminolta.com/jp-ja/index.html|일본 공식 사이트]] [[https://www.konicaminolta.com/kr-ko/index.html|한국 공식 사이트]] || [[파일:JP-Tower-01.jpg|width=500]] [목차] == 개요 == [[일본]]의 광학기기 제조사. [[2003년]]에 코니카와 [[미놀타]]가 합병되어 만들어진 회사다. 2022년, Clarivate Analytics(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 구 [[톰슨 로이터]] IP&S)가 선정한 탑 100 글로벌 혁신기업에 선정되기도 했다. [[https://clarivate.com/top-100-innovators/the-top-100/?clv-award-year=2022|#]] == 역사 == 기업의 역사는 기본적으로 미놀타가 흡수합병으로 해체됐기 때문에 코니카의 역사를 따른다. 따라서 창립년은 코니카의 설립해인 [[1876년]]으로 친다.[* 참고로 로고는 미놀타의 로고를 일부 변형하여 쓰고 있다.] === 코니카 === [[파일:Konica_Logo.svg.png|width=400]] [[1876년]] 고니시야 로쿠베텐(小西屋六兵衛店)이란 이름의 약재상을 물려받은 스기우라 로쿠사부로(杉浦六三郎)가 사진술에 관심을 갖고 관련 제품을 만들어 판 것이 시작이다. 처음에는 로쿠오샤(六櫻社)란 자회사 명의로 [[카메라]]를 생산했으며 [[1921년]]에는 본업이던 약재상을 정리하고 사진 관련 사업에만 몰두하면서 회사 이름을 고니시로쿠(小西六) 본점으로 바꾸었다. 사명은 초기 사업을 시작한 약재상의 첫 글자에서 유래되었다. [[1940년]]에는 일본 최초의 컬러 필름인 사쿠라 천연색 필름(さくら天然色フ[[ヰ]]ルム)[* 현재 표기법으로는 さくら天然色フィルム이지만 당시에는 표기가 이랬다. 이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을 사용했기 때문.]을 선보였다. [[1943년]]에는 자회사를 흡수해서 고니시로쿠 사진 공업 주식회사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때부터 [[1987년]]까지 '코니카'란 이름은 카메라에만 사용되었고 필름은 '''사쿠라''' 브랜드로 생산되었다가 이후 코니카 브랜드로 통일되었다. 이 시절 [[한국]]에서는 1958년 설립된 새한칼라현상소[* 1969년 새한상사로 사명 변경]가 고니시로쿠사와 계약을 맺고 1967년부터 이 브랜드로 필름을 수입했다. 1977년 새한상사의 부도 이후 현대교역[* [[현대그룹]]과는 무관하다. 해당 회사는 1953년 칠성기업이라는 사명으로 설립. '현대칼라' 브랜드로 유명했다. 참고로 현대그룹은 HYUNDAI, 현대칼라는 HYONDAE를 썼다.]이 브랜드를 인수하여 계속 수입하였으나 '사쿠라'란 표현은 한국에서 어감이 좋지 않았는지, 수입처의 원 브랜드를 그대로 쓰지 않고 독자 브랜드로 포장을 바꿔서 팔았다.[* 그래도 1987년 이전까지 현대칼라 인화지 뒷면에서는 사쿠라 브랜드로 이름만 남겼다.] [[1987년]]에 정식 회사명을 코니카주식회사로 변경했다. 동시에 한국 내 사업 제휴처도 우성필림으로 바뀌었다. 이후 '''센츄리아''' 브랜드로 필름을 생산하였다. === 미놀타 === [[미놀타]]의 역사는 해당 링크 참조. == 합병 후 == 코니카와 미놀타라는 카메라계의 큰손 두 회사가 합병했는데도 불구하고, [[2007년]]을 마지막으로 카메라 업계에서 완전 손을 뗐다. [[디지털 카메라]]가 주류가 되면서 대체로 필름 기술의의 원천기술을 가지고 있던 코니카는 이 부분에 연구비용을 [[2000년대]] 들어오면서 대폭으로 줄였고, 미놀타는 이미 침체에 빠진 상태에서 흡수되었기 때문에 이미 시장 점유율이 크게 감소된 상태였던 것이 첫 번째 이유. 그리고 이미 코니카 미놀타 체제에서는 주요 생산 및 판매주력상품이 오피스 기기와 광학, 화학 제품으로 넘어간 것이 두 번째 이유이다. [[2006년]]부로 카메라 사업을 [[소니]]에 매각한 후 소비자 제품에서 비중이 크게 낮아졌다. 이미 주요 생산품이 정밀기기재료와 일반인이 구매할 일 없는 사무용 복합기 같은 사무용품들이다보니, 철저하게 고객층이 기업이기 때문. 게다가 [[한국]]에는 사업전개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신도(구 [[신도리코]])에서 내놓는 고가 복합기가 코니카미놀타에서 이름만 바꿔([[OEM]]) 출시하는 게 대다수다. 드라이버도 호환된다. 국내에서는 (주)태흥아이에스가 코니카미놀타 복합기의 총판을 하고 있다. 한때 코니카와 제휴를 맺었던 우성필림은 코니카미놀타와 결별하고 DNP라는 사진용지 회사와 새로 제휴해서 포토 프린터를 팔고 있다.] 한국에서 이 회사를 알아봐야 예전에 돌아다니던 코니카, 혹은 미놀타제 카메라나[* 이전에 [[삼성]]과 합작으로 카메라를 국내에 출시한 적이 있기는 했다.], 코니카 필름(구 사쿠라 필름)뿐이다. [[2016년]] [[https://proprint.konicaminolta.co.kr/|코니카미놀타 프로프린트 솔루션스 코리아]]로 국내 법인이 설립되었다. 일반 사무용 복합기가 아닌, 주로 인쇄 업체용으로 사용되는 PP(Production Print) 제품만 취급한다.[* 사무용 복합기는 (주)태흥아이에스와 (주)신도리코 에서 취급한다.] 필름을 생산하긴 하는데...카메라용이 아니라 자동차 썬팅필름이다. 국내에서는 인지도나 점유율이 낮은 편이다. 카메라용 렌즈 개발은 지속하고 있다. [[http://dicahub.com/2016/01/29/코니카미놀타-aps-c-미러리스를-위한-18-35mm-f2-28-렌즈-특허-출원-중|2016년 1월에 미러리스 렌즈 특허를 출원 중이라고 한다.]] [[2010년]] 기준으로 광학기기 업계에서는 [[캐논(기업)|캐논]], [[RICOH]], [[교세라]]에 이어 4위정도의 포지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