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코나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그리고(지역화폐))] [[분류:선불형 지불수단]][[분류:대안화폐]] [include(틀:지역사랑상품권)] [목차] == 개요 == [[코나카드]] 플랫폼 기반의 지역화폐. 기존 코나카드 플랫폼을 이용해서 지역에서만 통용되는 카드형 지역화폐를 해당 시.군 주관 하에 출시했다. 이를 이용해 각 지역별로 자영업자에게 혜택을 주는 것이다. 전통시장에서 쓸 수 있는 온누리상품권 또는 각 지역화폐를 쓰기 쉽게 카드로 만들었다고 보면 된다. 공통적으로는 해당 지역 내에서 사용 가능하나, 대형마트.기업형 슈퍼마켓.유흥업소.프렌차이즈 등은 제외한다. == 종류 == === 별도 문서가 있는 지역 === * [[그래서울]] - [[서울특별시]] 자치구(2021년 8월 현재는 강동구만 서비스 중) * [[동백전]] - [[부산광역시]]. 서비스 자체는 [[부산은행]]에 이관되었으나 선불카드에 한해 코나아이가 발급을 담당한다. * [[인천e음 카드]] - 인천광역시 * [[경기지역화폐]] - 경기도. 성남, 시흥은 다른 기반이고, 고양시는 코나카드 방식과 더불어 KT도 농협카드와 고양 탄소지움카드로 참여하면서 2가지 방식 통용지역이다. * [[김포페이]] - 경기지역화폐 소속이지만 별도 앱을 사용한다. * [[e바구페이]] - 부산광역시 동구 * [[대덕 e로움]] - 대전광역시 대덕구 === 강릉페이 (강원도 강릉시) === ||
<#ffffff><-2> {{{#0000ff 강릉페이}}} || || 주관 || 강원도 강릉시 || || 사용처 || 강릉시 소재의 모든 사업장 || ||<#ffffff> [[파일:강릉페이1.jpg|width=100%]] ||<#ffffff> [[파일:강릉페이2.jpg|width=100%]] || || 강릉페이 일반 || 강릉페이 신사임당 || 강원도 강릉시 주관의 카드형 상품권으로 100억원 규모로 발행된다. === 경주페이 (경상북도 경주시) === ||
<#ffffff><-2> {{{#0000ff 경주페이}}} || ||||<#ffffff> [[파일:gjPay1.png|width=100%]] || || 주관 || 경상북도 경주시 || || 사용처 || 경주시 소재의 모든 사업장 || 경상북도 경주시 주관의 카드형 상품권. 2020.6.15일 출시 === 양산사랑카드(경상남도 양산시) === ||
<#ffffff><-2> {{{#0000ff 양산사랑카드}}} || || 주관 || 경상남도 양산시 || || 사용처 || 양산시 소재의 모든 사업장 || ||||<#ffffff> [[파일:양산.jpg|width=50%]] || |||| 양산사랑카드 블루 & 화이트 || 경남 양산시 주관의 양산시 내 지역사랑상품권. 최초 100억원은 충전금액의 10%, 100억원 소진 후에는 5%를 인센티브로 지급한다. === 청주페이(충청북도 청주시) === ||
<#ffffff><-2> {{{#0000ff 청주페이}}} || || 주관 || 충청북도 청주시 || || 사용처 || 청주시 소재의 모든 사업장 || ||<#ffffff> [[파일:청주페이1.jpg|width=73%]] ||<#ffffff> [[파일:청주페이2.jpg|width=75%]] || |||| 청주페이 || 2019년 12월부터 서비스 중인 충청북도 청주시가 주관하에 발행하는 충청북도 청주시 최초 카드형 지역화폐. 발행 기념으로 선착순 6000명에게 충전 금액의 10%를 인센티브로 주었다. 이후 이 이벤트가 종료되었고 상시 충전금액의 6%가 인센티브로 더해지며, 실제 금액 차감은 인센티브가 바로 잔액으로 들어오는 게 아니라 충전액과 인센티브의 비율대로 양자가 동시에 차감되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10% 인센티브 기준 1만원 충전시 1천원이 더해진 1만 1천원이 충전되며, 사용시엔 10:1의 비율로 차감된다. 2020년 4월 3일부터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충전 인센티브를 다시 10%로 늘렸다. 인센티브 지급 한도는 1달에 50만원을 충전했을 때의 5만원이다. 2022년 6월 13일부터 인센티브가 1달에 30만원을 충전했을 경우(즉 3만원)로 줄었고 6월 24일 오후 4시를 기점으로 인센티브 지급이 중단되었다. 하지만 같은 해 9월 8일 0시를 기점으로 인센티브가 부활했다. 27억원의 예산이 소진될 때까지 지급하며 20만원 충전 시까지 최대 2만원을 지급해준다. 2020년 말~2021년 초에 학생 가정 식자재 지원으로 청주시내 각 학교에 해당 카드를 무료로 지급하였다. 2022년 10월 5일부터 선불 교통카드 기능이 탑재된 청주페이를 출시하였다. 신청은 청주페이 앱에서 할 수 있으며 발급 비용은 2,000원이다. 기존 10%의 인센티브 지급이 2022년 12월 27일 예산이 소진되어 종료되었고 중앙정부의 지역화폐 예산이 삭감되어 2023년 1월 4일부터 인센티브 지급율이 6%로 하향되었으며 인센티브 지급 한도는 30만원까지 가능하다. === 천안사랑카드 (충청남도 천안시) === ||
<#ffffff><-2> {{{#0000ff 천안사랑카드}}} || || 주관 || 충청남도 천안시 || || 사용처 || 천안시 소재의 모든 사업장 || ||||<#ffffff> [[파일:천안사랑카드.jpg|width=100%]] || 2020년 4월 7일 출시된 충남 천안시 주관의 카드형 상품권. 4월 말 출시 예정이였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침체된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4월 초에 출시되었다. 4월에 천안사랑카드를 출시하면서 캐시백 10% 지급을 9월말까지 운영했다가 10월 이후로 6%를 지급해 왔다. 다만 코로나19로 위태한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를 지원하기 위해 캐시백 혜택을 10%로 상향했다. === 오륙도페이 (부산광역시 남구) === ||
<#ffffff><-2> {{{#0000ff 오륙도페이}}} || || 주관 || 부산광역시 남구 || || 사용처 || 부산 남구 소재의 모든 사업장 || ||||<#ffffff> [[파일:오륙도페이2.jpg|width=100%]] || 부산광역시 남구 주관의 카드형 상품권. 이미지에 나온 [[오륙도선]]은 착공은커녕 공사 계획조차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 밀양사랑카드 (경상남도 밀양시) === ||
<#ffffff><-2> {{{#0000ff 밀양사랑카드}}} || || 주관 || 경상남도 밀양시 || || 사용처 || 밀양시 소재의 모든 사업장 || ||||<#ffffff> [[파일:밀양사랑카드.jpg|width=100%]] || 경남 밀양시 주관의 카드형 상품권. 1인당 월 50만원 연 400만원 한도 내에서 충전 시 10%의 인센티브를 지급한다. 2022년 현재, 밀양시에서 1인당 월 80만원(실물카드 충전 또는 은행에서 지로구매, 80만원 구매시 88만원 사용가능), 온라인 제로페이 월 20만원(18만원 구매시 20만원 충전)한도로 사용가능한다. 2011년에는 제로페이는 매월 변동있었지만 주로 80만원 한도였고, 밀양사랑카드 및 밀양사랑상품권은 월 100만원 또는 50만원 한도로 선택 발급가능했다. 한도와 선택가능여부는 자주 변한다. === 경산사랑(愛)카드 (경상북도 경산시) === ||
<#ffffff><-2> {{{#0000ff 경산사랑(愛)카드}}} || || 주관 || 경상북도 경산시 || || 사용처 || 경산시 소재의 가맹점 || ||||<#ffffff> [[파일:경산사랑애카드.png|width=100%]] || 지역 경제 활성화와 소비 진작, [[COVID-19]] 지원금 지급용도 등을 목적으로 2020년 5월 출시한 경북 경산시 주관의 카드형 상품권. 최초 충전가능 금액은 50만원, 기명화 시 200만원. 2021년 현재 기준 구매(충전)금액 10%이내 선불 지급 혜택(혜택 한도는 1인 월 70만원 / 연간 700만원) 및 사용금액의 30% 소득공제 혜택 제공 중. 이미지 테마는 지역 명소 [[반곡지]]에서 뛰어노는 [[삽살개]]. === 울산페이(울산광역시) === || 공식 블로그 || [[http://blog.naver.com/ulsanpay]] || * 월 20만원 한도 내에서 7% 인센티브를 지원하고 최대 보유금액은 100만원이다. * 2023년 4월부로 우선협상자로 코나아이가 선정되면서 기존 착한페이 서비스 종료 후 6월 1일부로 코나아이로 이관되었다. == 출시 예정 지역 == == 지역화폐 혜택 == *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 매장의 할인정보를 알려준다. *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된 할인혜택을 알려주기도 한다. == 단점 == * 디자인이 다양하지가 않다. 특히 인천광역시의 [[인천e음 카드]]와는 다르게 어린이 용돈카드로도 활용이 가능한 6~13세 어린이용 디자인이 없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인천e음카드의 경우에는 점박이물범 친구들 디자인이 유일한 어린이용 디자인이다.] [[분류:선불형 지불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