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442776008.webp|width=100%]]}}} || ||<-2> '''{{{#7b123e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No. 4}}}''' || ||<-2> '''{{{#fff,#fff {{{+1 켄달 와스톤}}}[br] Kendall Waston}}}''' || || '''본명''' ||켄달 자말 와스톤 만리[br]Kendall Jamaal Waston Manley || ||<|2> '''출생''' ||[[1988년]] [[1월 1일]] ([age(1988-01-01)]세) || ||[[코스타리카]] [[산호세(코스타리카)|산호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코스타리카)]''' || || '''신체 조건''' ||196cm / 89kg || || '''포지션''' ||[[센터백]] || || '''유소년 클럽'''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2000~2006) || || '''소속 클럽'''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2006~2014)[br]{{{-1 → [[AD 카르멜리타]] (2007 / 임대)}}}[br]{{{-1 →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 (2008 / 임대)}}}[br]{{{-1 → [[바야몬 FC]] (2010 / 임대)}}}[br]{{{-2 → [[LA U 우니베르시타리오스]] (2010~2011 / 임대)}}}[br]{{{-1 → [[AD 무니시팔 셀레돈]] (2011~2012 / 임대)}}}[br]{{{-1 → [[AD 무니시팔 셀레돈]] (2013 / 임대)}}}[br][[밴쿠버 화이트캡스 FC]] (2014~2018)[br][[FC 신시내티]] (2019~2020)[br][[데포르티보 사프리사]] (2021~ ) || || '''국가대표'''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5]]]] 65경기 9골[* 2022년 11월 27일 기준]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코스타리카]] / 2013~ )^^ || [목차] [clearfix] == 소개 == 코스타리카의 축구선수. 현재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소속이다. == 클럽 경력 == === 자국 리그 시절 === 2006년 [[데포르티보 사프리사]]에서 프로 데뷔를 하였다. 그리고 수 년간 자국 리그 여러 팀의 임대를 전전하였으며, 2013년부터는 사프리사 1군에서 자리를 잡으며 활약하였다. === [[밴쿠버 화이트캡스 FC]] === 2014년 8월 8일, 미국 [[MLS]]의 밴쿠버 화이트캡스에 입단하였다. 그리고 MLS 23R [[로스앤젤레스 갤럭시]] 전을 통해 교체 선수로 데뷔전을 가졌다. 이후, 다음 라운드부터는 주전으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2014년 10월 25일, 그는 [[콜로라도 래피즈]]와의 정규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코너킥 헤딩골로 4년 만에 화이트캡스의 MLS 플레이오프 진출을 견인하였다. 그리고 10월 한 달간 인상적인 활약을 선보이며 MLS 이 달의 선수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그는 매 시즌 주전 센터백으로 활약하였고, 2017 시즌부터는 팀의 주장으로 임명되었다. 2018년 5월 26일, [[산호세 어스퀘이크스]]를 상대로 100번째 MLS 경기를 출전하였다. === [[FC 신시내티]] === 2018년 12월 11일, 신생팀 FC 신시내티에 트레이드 형식으로 입단하였다. 그리고 구단의 첫 MLS 시즌에 초대 주장으로 선임되어 25경기를 뛰고 1골을 기록하였는데, 이 한 골은 3R [[포틀랜드 팀버스]] 전에서 성공시켰다. 이후, 2020 시즌이 끝난 뒤 팀에서 방출되었다. ===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 신시내티에서 방출된 뒤 2021년 1월 21일에 친정팀 데포르티보 사프리사로 복귀하였다. == 국가대표 경력 == 연령대 대표 시절, U-20 소속으로 [[2007 FIFA U-20 월드컵 캐나다]]에 참가한 경력이 있다. 2013년 5월 28일,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캐나다]]와의 친선전을 통해 성인 대표팀에 데뷔하였다. 그리고 12일 뒤 [[온두라스 축구 국가대표팀|온두라스]]와의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지역예선(북중미카리브)#s-6|브라질 월드컵 북중미 최종예선]] 4차전에서 본인의 두 번째 A대표팀 경기를 치렀고, [[2013 CONCACAF 골드컵]]에서 본선 4경기 모두 벤치를 지킨 이후에는 2년 동안 대표팀에 소집되지 못하다가 2015년 10월 14일,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과의 친선전에 선발로 출전하면서 오래간만에 A대표팀 경기에 모습을 드러내었다. 이후에는 코스타리카 대표팀에 줄곧 소집되며 주전 센터백으로 활약하였고,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북중미카리브)#s-6|러시아 월드컵 북중미 최종예선]] 기간 동안 좋은 활약[* 온두라스와의 2연전 모두 동점골을 기록하며 소중한 승점을 획득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으로 조국의 월드컵 진출을 견인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2018년 5월, [[러시아 월드컵]]에 참가하는 23인 최종 엔트리에 당당히 포함되었다. 월드컵 본선에서 1,2차전은 벤치에서 대기하였고, 3차전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를 상대로 월드컵 데뷔전을 치룬 그는 0:1로 뒤지던 후반 10분에 코너킥 상황에서 장신의 키를 활용하여 동점골이자 동시에 자신의 월드컵 첫 골을 뽑아내는데 성공하였다. 그리고 경기는 2:2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러시아 월드컵이 끝난 뒤 [[2019 CONCACAF 골드컵]]과 [[2021 CONCACAF 골드컵]]에 참가하였고, [[카타르 월드컵 북중미 최종예선]] 기간에는 2022년부터 줄곧 선발 출전하기 시작하면서 그가 출전한 6경기 동안 5승 1무를 기록, 극적인 약진을 이끌며 [[카타르 월드컵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을 이루어내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그리고 플레이오프에서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뉴질랜드]]를 만나 후반 시작과 동시에 교체 투입되었고, 45분간 뉴질랜드의 공세를 잘 막아내며 [[카타르 월드컵|본선]] 진출을 일조하였다. [[분류:1988년 출생]][[분류:코스타리카의 축구선수]][[분류:나시오날/은퇴, 이적]][[분류:FC 신시내티/은퇴, 이적]][[분류:밴쿠버 화이트캡스 FC/은퇴, 이적]][[분류:코스타리카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참가 선수]][[분류: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분류:2013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분류:2015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분류:2017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분류:2019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분류:2021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분류:2023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분류: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참가 선수]][[분류:2007 FIFA U-20 월드컵 캐나다 참가 선수]][[분류:2005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페루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