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케이티 페리)] [include(틀:케이티 페리)] [목차] == 개요 == [[파일:kpmv.gif|width=900]] >본 문서는 많은 양의 유튜브 링크를 포함하고 있으니 데이터 주의를 요함. [[케이티 페리]]의 데뷔 이전, 그리고 데뷔 이후 싱글컷한 곡의 뮤직 비디오를 모아서 분리시킨 문서이다. * 이 문서에는 각 싱글곡의 뮤직비디오만 있다. * 각 싱글곡의 메이킹영상 및 투어영상과 라이브 영상은 각 싱글 곡 문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더 자세한 수상 실적은 각 싱글 곡 문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데뷔 이전 == 아래 뮤직비디오들은 케이티 페리가 [[One of the Boys]]로 '''팝 가수'''로 데뷔하기 이전[* CCM 가수로서는 2001년에 데뷔하였다.], 콜롬비아 레코드에서 케이티 페리가 녹음했던 곡들의 뮤직 비디오(혹은 Lyrics)이다. 1~3집에서의 케이티 페리와는 확연히 스타일이 다른데, 이는 [[케이티 페리]] 본문에 소개되어 있듯이 당시 케이티 페리의 소속사였던 콜롬비아 레코드에서 한창 어두운 음악을 하던 시절의 1•2집 [[에이브릴 라빈]] 컨셉을 잡으려 했기 때문이다. '''The Box''' [youtube(wyjlRfLF6PY)] * 케이티페리:Part of me 에서 케이티의 데뷔 과정에서 만든 곡 중 하나로 소개된다. '''Long Shot''' [youtube(LD79neQbfiM)] * 해당 곡은 [[켈리 클락슨]]이 받아 정규 앨범에 수록한 곡이다. '''Simple''' [youtube(CGyqdB_hFxw)] == [[Ur So Gay]] (EP)~[[One of the Boys]] Era (2007~2009) == === [[Ur So Gay]](2007.11.20) === ||<-2> Ur So Gay || ||<-2> [youtube(tWbLkXhGEmo)] || || 공개일 || 2008년 4월 4일 || || 조회수 || 약 6천 7백만 || * 현재 대한민국에서 볼 수 없었는데 2019년 10월 19일 기준 재생이 가능하다???! === [[I Kissed A Girl]] (2008.4.28) === ||<-2> I Kissed A Girl || ||<-2> [youtube(tAp9BKosZXs)] || || 공개일 || 2008년 6월 11일 || || 조회수 || 약 2억 6천만 || === [[Hot n Cold]] (2008.9.9) === ||<-2> I Hot N Cold || ||<-2> [youtube(kTHNpusq654)] || || 공개일 || 2008년 10월 14일 || || 조회수 || 약 11억 4천만 || * 실제 케이티의 부모님이 출연하셨다. === [[Thinking of You]] (2009.1.12) === ||<-2> Thinking of You || ||<-2> [youtube(wdGZBRAwW74)] || || 공개일 || 2009년 1월 13일 || || 조회수 || 약 1억 4천만 || '''초기 버전''' [youtube(0V6AxOFY0gM)] === [[Waking Up In Vegas]] (2009.4.21) === ||<-2> Waking Up In Vegas || ||<-2> [youtube(1-pUaogoX5o)] || || 공개일 || 2009년 5월 1일 || || 조회수 || 약 9천 8백만 || * 세계적인 한국계 뮤직비디오 감독 조셉 칸이 연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 [[Teenage Dream]] Era (2010~2012) == === [[California Gurls]] (Feat. Snoop Dogg) (2010.5.7) === ||<-2> California Gurls || ||<-2> [youtube(F57P9C4SAW4)] || || 공개일 || 2010년 6월 15일 || || 조회수 || 약 6억 6천만 || '''공식 가사비디오''' [youtube(CTVJTt-Gfx8)] === [[Teenage Dream(곡)|Teenage Dream]] (2010.7.23) === ||<-2> Teenage Dream || ||<-2> [youtube(98WtmW-lfeE)] || || 공개일 || 2010년 8월 11일 || || 조회수 || 약 3억 2백만 || '''공식 가사비디오''' [youtube(8fj2HVYlD_4)] === [[Firework]] (2010.10.18) === ||<-2> Firework || ||<-2> [youtube(QGJuMBdaqIw)] || || 공개일 || 2010년 10월 29일 || || 조회수 || 약 14억 8백만 || > '''2011 [[MTV VMA]] 올해의 비디오상 수상작''' '''공식 가사비디오''' [youtube(b3bkpyNiv8Y)] === [[E.T.(곡)|E.T.]] (Feat. Kanye West) (2011.2.16) === ||<-2> E.T || ||<-2> [youtube(t5Sd5c4o9UM)] || || 공개일 || 2011년 3월 31일 || || 조회수 || 약 6억 3천만 || > '''2011 MTV VMA 최우수 콜라보레이션상, 최우수 특수효과상 수상작''' '''공식 가사비디오''' [youtube(OehxXNCYvTM)] === [[Last Friday Night (T.G.I.F.)]] (2011.6.6.) === ||<-2> Last Friday Night || ||<-2> [youtube(KlyXNRrsk4A)] || || 공개일 || 2011년 6월 13일 || || 조회수 || 약 14억 4천만 || === [[The One That Got Away]](2011.10.4) === ||<-2> The One That Got Away || ||<-2> [youtube(Ahha3Cqe_fk)] || || 공개일 || 2011년 11월 12일 || || 조회수 || 약 9억 3천만 || === Teenage Dream:The Complete Confection Era (2012) === ==== [[Part Of Me]] (2012.2.13) ==== ||<-2> Part of Me || ||<-2> [youtube(uuwfgXD8qV8)] || || 공개일 || 2012년 3월 22일 || || 조회수 || 약 9억 2천만 || * 케이티 페리가 실제로 해병대 여군훈련에 참여했다고 한다. 당시 훈련교관에 의하면 케이티가 이혼한 후의 촬영이였지만 열심히 임했다고 한다. * 2012 MTV VMA 최우수 여성 비디오상 부문 후보 '''공식 가사비디오''' [youtube(2Fko7_SV3Lc)] ==== [[Wide Awake]] (2012.5.22) ==== ||<-2> Wide Awake || ||<-2> [youtube(k0BWlvnBmIE)] || || 공개일 || 2012년 6월 19일 || || 조회수 || 약 9억 9천만 || * 아무 의미를 모르고 그냥 보게 되면 멘붕될 스토리지만, 사실 이 뮤비에는 케이티 페리가 정규 2집에서 싱글 커트한 곡들과 그간의 스토리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장면들이 있다. 위키백과에 의하면 딸기를 먹는 장면은 정규 1집 One of the Boys의 시디 커버를 상징. 딸기를 먹은 뒤 하늘에 불꽃이 올라가는 장면은 'Firework', 그 후 눈이 외계인처럼 보이는 장면은 'E.T.', 벽에서 나온 소녀(어린 케이티 페리)와 손을 맞대는 장면은 'The One That Got Away', 자신을 사랑하는척하는 왕자에게 주먹을 날리는 장면은 'Part of Me', 소녀와 헤어질 때 소녀가 자전거를 타고 간 동네는 'Last Friday Night (T.G.I.F)'의 뮤비가 촬영된 동네이고 앞부분과 마지막 부분은 'California Gurls'와 'Teenage Dream'.이렇게 모든 싱글컷된 노래의 상징을 넣은 이유는 이 노래를 작곡한 이유가 자신이 성공을 자축하기 위함이였다고 한다. * 2012 MTV VMA 올해의 비디오상, 최우수 미술 감독상, 최우수 시각효과상 부문 후보 '''공식 가사비디오''' [youtube(-3D5FwwtNVM)] == [[PRISM(케이티 페리)|PRISM]] Era (2013~2014) == === [[Roar]] (2013.8.10) === ||<-2> Roar || ||<-2> [youtube(CevxZvSJLk8)] || || 공개일 || 2013년 9월 6일 || || 조회수 || 약 37억 3천만 || * 케이티 페리 본인의말로는 저 의상은 실제로 생산하는의상이라 구매할 수 있다고 한다(...) 계속 보다보면 '저 의상'을 입고 나온다.. * 케이티페리 뮤직비디오 내 유튜브 조회수 2위였으나 2016년 8월 7일 1위였던 [[Dark Horse(케이티 페리)|다크호스]]를 따라잡고 100만뷰 이상 앞서 1위를 달성하였다! 2017년엔 20억뷰를 넘어섰다. '''공식 가사비디오''' [youtube(e9SeJIgWRPk)] === [[Unconditionally]] (2013.10.16) === ||<-2> Unconditionally || ||<-2> [youtube(XjwZAa2EjKA)] || || 공개일 || 2013년 11월 20일 || || 조회수 || 약 6억 4천만 || --미모 폭발-- '''공식 가사비디오''' [youtube(hHimjVYsd6I)] === [[Dark Horse (Feat. Juicy J)]] (2013.12.17) === ||<-2> Dark Horse || ||<-2> [youtube(0KSOMA3QBU0)] || || 공개일 || 2014년 2월 21일 || || 조회수 || 약 34억 5천만 || >'''2014년 유튜브에서 가장 많이 본 뮤직비디오 1위''' >'''2015 유튜브 뮤직 어워드 수상작''' * 케이티페리 뮤직비디오중 유튜브 조회수 1위였으나 2016년 8월 7일. Roar이 100만뷰 이상 앞서 2위가 되었다. === [[Birthday]] (2014.4.21) === ||<-2> Birthday || ||<-2> [youtube(CEUg7OplvIQ)] || || 공개일 || 2014년 4월 25일 || || 조회수 || 약 7천 6백만 || '''공식 가사비디오''' --본 뮤비보다 조회수가 월등히 높다(...)-- [youtube(jqYxyd1iSNk)] === [[This Is How We Do]] (2014.8.11) === ||<-2> This Is How We Do || ||<-2> [youtube(7RMQksXpQSk)] || || 공개일 || 2014년 8월 1일 || || 조회수 || 약 7억 8천만 || * 중간에 뮤직비디오에서 보이는 [[머라이어 캐리]], [[아레사 프랭클린]]과 그녀의 대표곡 Respect가 이스터 에그로 나온다. '''공식 가사비디오''' [youtube(PGi2Zg2DK0Q)] == [[Rise(케이티 페리)|Rise]] (2016.8.4) == ||<-2> Rise || ||<-2> [youtube(hdw1uKiTI5c)] || || 공개일 || 2016년 8월 5일 || || 조회수 || 약 2억 6백만 || == [[Witness]] Era (2017~2018) == === [[Chained to the Rhythm]] (2017.2.21 ) === ||<-2> Chained to the Rhythm || ||<-2> [youtube(Um7pMggPnug)] || || 공개일 || 2017년 2월 21일 || || 조회수 || 약 7억 2천만 || '''공식 가사비디오''' [youtube(8gsGhdZDC-0)] === [[Bon Appétit]] (2017.5.12) === ||<-2> Bon Appétit || ||<-2> [youtube(dPI-mRFEIH0)] || || 공개일 || 2017년 5월 13일 || || 조회수 || 약 12억 6천만 || === [[Swish Swish]] (2017.8.24) === ||<-2> Swish Swish || ||<-2> [youtube(iGk5fR-t5AU)] || || 공개일 || 2017년 8월 24일 || || 조회수 || 약 6억 7천만 || '''공식 가사비디오''' [youtube(X0ZVaFO7cGE)] === [[Hey Hey Hey]] (2017.12.20) === ||<-2> Hey Hey Hey || ||<-2> [youtube(WS7f5xpGYn8)] || || 공개일 || 2017년 12월 21일 || || 조회수 || 약 1억 4천만 || == [[365(노래)|365]] (2019.02.14) == ||<-2> 365 || ||<-2> [youtube(YrbgUtCfnC0)] || || 공개일 || 2019년 2월 14일 || || 조회수 || 약 1억 4천만 || == [[Cozy Little Christmas]] (2019.12.3) == ||<-2> Cozy Little Christmas || ||<-2> [youtube(sg8Gk1iXEIs)] || || 공개일 || 2019년 12월 3일 || || 조회수 || 약 2천 10만 || == [[Smile(케이티 페리의 앨범)|Smile]] Era (2019~) == === [[Never Really Over]] (2019.5.31) === ||<-2> Never Really Over || ||<-2> [youtube(aEb5gNsmGJ8)] || || 공개일 || 2019년 5월 31일 || || 조회수 || 약 1억 5천만 || '''공식 가사비디오''' [youtube(45NXAqw4MHI)] === [[Small Talk]] (2019.8.31) === ||<-2> Small Talk || ||<-2> [youtube(YqunQaPQumk)] || || 공개일 || 2019년 8월 31일 || || 조회수 || 약 3천 4백만 || '''공식 가사비디오''' [youtube(u07cFymU0e0)] === [[Harleys In Hawaii]] (2019.10.16) === ||<-2> Small Talk || ||<-2> [youtube(sQEgklEwhSo)] || || 공개일 || 2019년 10월 16일 || || 조회수 || 약 9천 8백만 || === [[Never Worn White]] (2020.3.5) === ||<-2> Never Worn White || ||<-2> [youtube(UyKgYMQ-AlQ)] || || 공개일 || 2020년 3월 5일 || || 조회수 || 약 3천 7백만 || === [[DAISIES|Daisies]] (2020.5.15) === ||<-2> Daisies || ||<-2> [youtube(NutHKRKBgR0)] || || 공개일 || 2020년 3월 5일 || || 조회수 || 약 2천 9백만 || '''공식 가사비디오''' [youtube(9V11-1uPZaM)] === 스마일 비디오 시리즈 === || Never Really Over || || [youtube(bHfiu46LFmo)] || || Cry About It Later || || [youtube(SjmXERieW9s)] || || Teary Eyes || || [youtube(54nu59EZwF8)] || || Resilient || || [youtube(LNHM5CcvMm0)] || || Not the End of the World || || [youtube(IKKbboquS9s)] || || Champagne Problems || || [youtube(kSK-wfF8QeM)] || || Tucked || || [youtube(8qFBUUN9N34)] || || Harleys In Hawaii || || [youtube(aYjHOf6-SmM)] || || What Makes A Woman || || [youtube(bsGp4A7u_LM)] || == 피처링 참여곡 == === [[3OH!3]] - [[Starstrukk]] (2009. 10. 28) === ||<-2> Starstrukk || ||<-2> [youtube(dvf--10EYXw)] || || 공개일 || 2009년 10월 28일 || || 조회수 || 약 1억 5천만 || === Timbaland - [[If We Ever Meet Again]] (2010. 2. 9) === ||<-2> If We Ever Meet Again || ||<-2> [youtube(KDKva-s_khY)] || || 공개일 || 2010년 2월 9일 || || 조회수 || 약 1억 5천만 || === [[John Mayer]] - [[Who You Love]] (2013.12.17) === ||<-2> Who You Love || ||<-2> [youtube(nSRCpertZn8)] || || 공개일 || 2013년 12월 17일 || || 조회수 || 약 4천 6백만 || === [[Calvin Harris]] - [[Feels]] (2017.6.26) === ||<-2> Feels || ||<-2> [youtube(ozv4q2ov3Mk)] || || 공개일 || 2017년 6월 26일 || || 조회수 || 약 6억 6천만 || ||<-2> Feels #2|| ||<-2> [youtube(iWPHy-NfAW0)] || || 공개일 || 2017년 8월 27일 || || 조회수 || 약 4천 20만 || === Daddy Yankee - [[Con Calma (Remix)]] (2019.4.19) === ||<-2> Con Calma(Remix) || ||<-2> [youtube(lmCEZhb-z-Q)] || || 공개일 || 2019년 4월 19일 || || 조회수 || 약 1억 || * 뮤직비디오는 없고 리릭비디오 밖에 없다. [[분류:뮤직비디오]][[분류:케이티 페리/디스코그래피]][[분류:케이티 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