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박물관]][[분류:컨트리 음악 단체]][[분류:컨트리 뮤직]][[분류:명예의 전당]][[분류:내슈빌]][[분류:공연장]] ||<-4> '''{{{-1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ffffff 컨트리 뮤지엄}}}]]}}}''' || || [[컨트리 음악 협회|[[파일:Country_Music_Association_logo.png|width=60%]]]] ||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파일:cmhof-logo.svg|width=60%]]]] || [[내슈빌|[[파일:내슈빌 문장.png|width=60%]]]] || ||<-3> {{{+1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박물관'''}}}[br]'''Country Music Hall of Fame and Museum''' || || '''외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파일:cmhof.jpg|width=100%]]]]}}} || || '''소재'''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px]]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 || || '''개관''' || 1967년 4월 1일 || || '''특징''' || 역사 박물관 [br] {{{-1 주 정부 인가 비영리 교육기관}}} || || '''주요코스''' || RCA 스튜디오 B, Hatch Show 인쇄소[br] CMA 씨어터, Taylor Siwft 교육센터 || || '''운영''' || 컨트리 음악 재단 (1964년 설립) [br] {{{-1 Country Music Foundation}}} || || '''영업시간''' || 매일 오전 9시 ~ 오후 5시 [br] {{{-1 (추수감사절, 크리스마스 연휴 휴관)}}} || || '''비고''' ||<#29282B> [[박물관 실내 배치|[[파일:cmhof_map.png|width=100%]]]] || [목차] [clearfix] == 기본 소개 ==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박물관(Country Music Hall of Fame and Museum)은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 소재 컨트리 음악의 역사,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명예의 전당]]이자 박물관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EjkGLyTLFI)]}}} || - {{{-2 Courtesy of the Country Music Hall of Fame and Museum}}}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박물관은 광범위한 문화적 영향, 컨트리 음악과 관련된 역사적으로 중요한 유물의 독보적인 컬렉션 등으로 "컨트리 음악의 스미소니언"으로 불린다. === [[명예의 전당]] === 명예의 전당 원형 홀(Hall of Fame Rotunda)은 명예의 전당 역대 헌액자들을 기리는 특별한 장소이다.[* 명예의 전당 원형 홀(Hall of Fame Rotunda)에는 토마스 하트 벤튼의 벽화 [[The Sources of Country Music]] (1975)이 그려져 있다.] ==== 최초 수상자 ==== ||<-3> [[파일:country hero.jpg|width=100%]] || 컨트리 음악 최고의 영예로 [[컨트리 음악 협회]](CMA)에서 이 상을 제정했다. [[지미 로저스]], 프레드 로즈, [[행크 윌리엄스]]가 1961년에 최초로 헌액되었다.[* 프레드 로즈(1898~1953)는 미국의 작곡가, 음반 프로듀서, 음악 출판 경영자로 1942년 [[그랜드 올 오프리]]의 스타 Roy Acuff와 [[내슈빌]]에 기반을 둔 최초의 음악 출판 회사를 설립했다. 그들의 Acuff-Rose Music은 특히 [[행크 윌리엄스]]의 엄청난 히트곡으로 곧바로 성공했다.1947년부터 1953년까지 행크 윌리엄스의 음반 프로듀서로도 활동했다. 사업을 운영하는 동안에도 로즈는 계속해서 수많은 컨트리 곡을 썼고 결국 업계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가 되었다. 그는 또한 Floyd Jenkins라는 이름으로 노래를 썼다.] ====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헌액자|역대 헌액자]] ==== ||<#826528,#191919>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파일:cmhof-logo.svg|width=80]]]] ||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000,#fff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br] {{{#EFAC47 Country Music Hall of Fame}}}''' ---- '''컨트리 음악 분야 최고의 영예''' || ||<#826528> '''{{{#EFAC47 웹사이트}}}''' || 명예의 전당 역대 헌액자 조회 | [[https://www.countrymusichalloffame.org/hall-of-fam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16]]]] || - 2023년 10월 현재 기준 명예의 전당 회원은 152명이다. ==== 헌액자 선정 ==== 컨트리 음악 협회가 선정한 패널들이 선출하며, 투표에서 동률이 나오지 않는 한 매년 3명의 신규 회원이 선정된다. 만약 동점이 나오는 경우에는 두 사람 모두 함께 인정된다.[* 2023년 신규 회원(Hall of Fame Class of 2023)의 경우 싱어송라이터 패티 러블리스, 작곡가 밥 맥딜 및 가수 태니아 터커가 선정되었다.] ==== 메달 수여식 ==== 명예의 전당 신규 회원을 축하하기 위한 메달 수여식은 매년 10월 셋째 주 일요일에 초대자 한정 행사로 진행되며, 당일 박물관 내 CMA 씨어터에서 비공개 개최된다.[* 수여식 행사 시 직원 참여 및 당일 행사장 이용 등으로 박물관은 휴관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mhof_medallion.jpg|width=100%]]}}} || 초상이 담긴 청동 명판은 메달 수여식에서 최초로 공개된 후 박물관의 원형 홀에 영구적으로 전시된다. === [[박물관]] === 컨트리 음악의 역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개관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명예의 전당 원형 홀(Hall of Fame Rotunda)|[[파일:Country Music Hall of Fam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untry Music Hall of Fame (2).jpg|width=100%]]}}} || -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 5번가 남쪽에 위치([[1967년]] 개관) 박물관은 현재 350,000 평방피트 규모의 전시 갤러리, 기록 보관소 및 이벤트 공간을 갖추고 있다. 또한 학생과 교사, 가족들을 위한 Taylor Swift 교육센터와 라이브 음악 및 문화 행사를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전용 공연 공간을 제공한다. == 박물관 체험 == === [[갤러리]] 전시 === 박물관의 주요 전시인 Sing Me Back Home: 컨트리 음악을 통한 여정에서 방문객들은 컨트리 음악의 역사와 소리에 푹 빠져들게 된다. 이야기는 유물, 사진, 텍스트 패널, 녹음된 사운드, 빈티지 비디오, 인터랙티브 터치스크린을 통해 공개된다. ACM 갤러리에는 컨트리 음악의 가장 최근 과거를 연대순으로 기록한 American Currents: State of Music이라는 연례 전시회가 있다. === 보관중인 컬렉션 === 박물관 컬렉션에는 컨트리 음악의 역사와 문화를 기록하는 약 500개의 악기, 1,900벌 이상의 무대 의상, 개인 의류 및 액세서리, 기타 수천 개의 오브젝트(마이크부터 자동차까지)가 포함되어 있다. 컨트리 음악의 뿌리부터 오늘날까지의 컨트리 음악이 기록되어 있다. 전시되지 않은 유물과 보관 자료는 컬렉션 보관실과 박물관 3층에 위치한 프리스트 도서관 및 기록 보관소에 보관되어 있다.[* 해당 원문 출처: [[컨트리 음악 재단]](명예의 전당 박물관) 공식 웹사이트 [[https://www.countrymusichalloffame.org/about/collection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mhof_museum(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mhof_museum(2).jpg|width=100%]]}}} || * 밥 핀슨(Bob Pinson) 녹음 사운드 컬렉션[* 음반 수집가이자 역사가인 Bob Pinson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2003년 69세 나이로 세상을 떠난 그는 컬렉션 업무의 핵심인 녹음물 수집을 담당했다.][* 핀슨은 1940년대에 음반 수집을 시작하여 역사적인 기록에 없을 수도 있는 희귀 디스크를 포함해 15,000개의 초기 컨트리 음악 컬렉션을 모았다.] 250,000개 이상의 녹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상업적으로 발표된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컨트리 음악 녹음의 약 98%가 포함 * 약 500,000장의 사진 인쇄물, 네거티브(사진), 필름 및 디지털 이미지 * 영화, 비디오, 디지털 형식의 30,000개 이상의 동영상 이미지 * 메이벨 카터[* 미국 컨트리 음악가로 "최초로" Carter 스크래치(일명 Carter Picking으로 불리는 이 연주법은 기본적인 기타의 음보다 낮게 튜닝을 한 다음, 베이스로 멜로디를 표현하고, 고음으로 리듬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1920~30년대는 누구도 생각지도 못한 파격적인 연주법)를 사용하였다.]의 Gibson L-5 기타, 밥 윌스[* 어니스트 터브와 함께 1920년대 후반 웨스턴 현악기 밴드 사이에서 시작된 컨트리 음악의 하위 장르인 '[[웨스턴 스윙]]'의 '홍키 통크' 양식을 발전시킨 인물]의 바이올린, [[쳇 앳킨스]]의 1950년 단젤리코 아치탑 기타 및 빌 먼로[* 미국의 만돌리니스트, 가수, 작곡가로 "[[블루그래스]]의 아버지"로 불린다.]의 [[만돌린]]을 포함한 900개 이상의 악기 * 라인스톤이 박힌 "누디 슈트"부터 홈메이드 면 드레스, 정장 가운, 카우보이 부츠, 모자, 청바지에 이르기까지 수천 개의 무대 의상과 액세서리 * 노래 원고, 스크랩북, 서신, 팬클럽 뉴스레터, 악보, 비즈니스 문서, 정기 간행물, 도서 * 아이코닉 차량: [[엘비스 프레슬리]]의 1960년형 "Solid Gold" 캐딜락 리무진, 웹 피어스[* 1950년대 미국의 홍키 통크 보컬, 작곡가, 기타리스트로 이 장르에서 가장 많은 1위 히트를 기록했다.]의 1962년형 폰티악 보네빌 컨버터블, 스모키 밴디트 II[* 할 니드햄이 감독하고 [[버트 레이놀즈]], [[샐리 필드]], 제리 리드, 재키 글리슨 및 돔 더루이즈가 주연을 맡은 1980년 미국 액션 코미디 영화]의 주연 제리 리드의 1980년형 폰티악 Trans Am === 다양한 볼거리 === ||<-3> [[RCA Studio B|[[파일:rca studio b logo.jpg|width=60%]]]] || [[Hatch Show Print|[[파일:hatch show print logo.jpg|width=60%]]]] || [[CMA Theater|[[파일:cma theater logo.jpg|width=60%]]]] || ---- 박물관은 라이브 음악과 박물관 행사 체험부터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회원인 엘비스 프레슬리, [[돌리 파튼]], 웨일런 제닝스 등이 녹음한 곳인 역사적인 [[RCA Studio B]] (뮤직 로우 위치),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활판 인쇄소 중 하나로 1879년부터 운영되고 있는 [[Hatch Show Print]] (박물관 내부 위치) 투어까지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RCA 스튜디오는 1960년대에 내슈빌 사운드의 한 축으로서 유명해졌으며, 2012년 국립사적지에 등록되었다.][* 뮤직 로우는 음반 회사, 라디오 방송국, 녹음 스튜디오가 모여 있는 내슈빌 컨트리 음악 산업의 중심지이다.] ==== [[RCA Studio B]] ==== [[1957년]] 건립된 RCA 스튜디오는 [[내슈빌]]의 뮤직 로우에 위치한 국제 녹음 센터로 컨트리 음악에서 차지하는 내슈빌의 위상을 확립하는 계기가 된 배경 보컬과 현악기가 특징인 "내슈빌 사운드"의 발상지로 알려지게 되었다.[* 내슈빌 사운드는 미국 컨트리 음악의 세부 장르로 부드러운 현악과 코러스, 세련된 배경 보컬 등으로 대표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ca studio(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ca studio(2).jpg|width=100%]]}}} || - {{{-2 Photos Courtesy of the Nashville Convention & Visitors Corp.}}} [[엘비스 프레슬리]]의 〈Are You Lonesome Tonight〉, [[돌리 파튼]]의 〈Jolene〉, 짐 리브스의 〈Blue Canadian Rockies〉, 찰리 프라이드의 〈Kiss an Angel Good Mornin'〉 등 수많은 노래가 녹음된 RCA Studio B는 "1,000개의 히트곡의 집"이라고 불린다.[* RCA Studio B는 엘비스 프레슬리 인기가 한창이던 1957년에 지어졌다. 그는 1958년부터 1971년까지 이곳에서 〈Kiss Me Quick〉, 〈Ain't That Loving You Baby〉 등 200개가 넘는 히트곡을 제작했다.] ==== [[Hatch Show Print]] ==== [[1879년]] 설립된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활판 인쇄소' 중 하나인 Hatch Show Print는 콘서트 포스터 인쇄로 뮤직 시티의 시각적 언어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빈티지 활자와 손으로 조각한 이미지의 방대한 컬렉션을 사용하여 미국의 진화하는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하고 시대를 초월한 디자인을 만드는 것으로 유명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Hatch Show Print 인쇄 작업|[[파일:prin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Hatch Show Print 제작 포스터|[[파일:print(2).jpg|width=100%]]]]}}} || 20세기 대부분 Hatch Show Print 포스터는 빌 먼로, 미니 펄, 어니스트 터브 같은 [[그랜드 올 오프리]] 멤버의 포스터와 함께 음악의 광고 매체 역할을 선도했다.[* 그랜드 올 오프리(Grand Ole Opry)는 테네시주 내슈빌의 라디오 방송국 WSM에서 매주 토요일 밤에 진행하는 컨트리 음악 공개 방송 프로그램이다.] 오늘날 이 프린트 샵은 매년 수백 명의 예술가, 공연자, 기업 포스터를 디자인 및 인쇄하고 선물 가게에서 구입할 수 있는 독특한 포스터, 인쇄물, 티셔츠 등을 제작하며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1992년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박물관에 기증되었으며, 2013년 박물관 구내로 이전되었다.] === {{{-1 사운드 스테이션/오디오 투어}}} === 방문자가 다양한 스타일의 컨트리 음악을 경험하고, 녹음된 아티스트 인터뷰를 듣거나, 그랜드 올 오프리와 같은 관련 방송 프로그램을 들을 수 있는 사운드 스테이션이 있다. 박물관 셀프 투어 시 오디오 가이드를 원하는 경우 장비를 대여하고 투어가 끝나면 반납하면 된다. === {{{-1 사진 촬영 및 비디오 녹화}}} === 개인적이고 비상업적인 용도에 한해 대부분의 박물관 프로그램 중에 플래시를 사용하지 않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단, 플래시 촬영, 셀카봉, 삼각대는 금지된다. RCA 스튜디오 B, 해치 쇼 프린트 투어 및 박물관 프로그램 중에는 비디오 녹화가 허용되지 않는다. == 씨어터 공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CMA 씨어터 좌석 배치|[[파일:cma theat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CMA 씨어터 공연 장면|[[파일:cma theater(2).jpg|width=100%]]]]}}} || 뮤직 시티 센터에 있는 776석 규모의 최첨단 CMA([[컨트리 음악 협회]]) 씨어터는 라이브 공연을 위한 인기 있는 장소로 컨트리, 블루그래스, 포크부터 최신 인기 음악까지 다양한 공연이 열린다.[* 블루그래스는 1940년대 중반에 빌 먼로가 선보인 새로운 방식의 현악 밴드 음악으로 컨트리 음악을 근간으로 웨스턴 음악이 가미된 컨트리 & 웨스턴 음악 양식이다. (출처: '블루그래스 음악의 기원'에 대한 블로그 자료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manjoy&logNo=221564352983| ]])] == [[Taylor Swift 교육센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Taylor Swift 교육센터|[[파일:Taylor Swift Education Center(4).jpg|width=100%]]]]}}} || 박물관 운영시간 동안 문을 여는 교육센터에는 청소년 미술 설치물과 특별 유물 케이스도 전시되어 있다. 학교 단체를 위한 교육과정의 연계 활동, 유아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청소년을 위한 방과 후 워크샵과 호기심이 많은 성인을 위한 북토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갖춘 교육 전용 공간이다.[* 테일러 스위프트가 지속적으로 하고 있는 컨트리 음악교육 후원 일환으로 2012년에 400만불을 기부했으며, 2013년 10월 12일에 개관하였다.] 교육센터의 크기는 7,500 제곱피트(약 211평) 규모로 강의실 3개와 전시공간 등을 갖추고 있다. === 청소년·가족 프로그램 === 밴조 수업부터 가죽 공예품 만들기까지,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재미있는 대화형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워크샵]] ==== * 악기 워크샵: 어쿠스틱 기타, 일렉트릭 기타, 바이올린, 밴조, 만돌린, 우쿨렐레 및 성악 교육 * 예술: 봉제, 의상 및 악기 디자인, 회화, 가죽 공예 등 * 작곡 101: 전문 작곡가들이 이끄는 그룹 작곡 체험 * 댄스 레슨: 스퀘어 댄스, 클로깅, 라인 댄스 워크샵 포함 ==== 작곡 캠프 ==== 작곡 캠프는 신예 작곡가(11~18세)들이 자신의 실력을 연마하고, 전문가로부터 배우며, 새로운 친구를 사귈 수 있는 재미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 크리에이티브 존 ==== 박물관의 예술품 제작 프로그램으로, 방문객이 전시회 관련 예술 및 공예의 즐거움을 함께 즐길 수 있다. ==== 취학전 프로그램 ==== 2~5세 아동을 위해 설계된 노래와 이야기 시간은 책, 노래, 미술 실습을 통해 매달 다른 주제를 탐구한다. ==== 스트링 시티 ==== 내슈빌의 음악과 인형극 전통: 마리오네트, 막대 인형극, 그림자/애니메이션 인형극 등을 통해 내슈빌이 음악 도시로 부상한 과정을 조명한다. 현악 밴드와 가스펠 음악 초기부터 그랜드 올 오프리의 탄생까지 노래와 인형극을 통해 컨트리 음악의 유산을 묘사한다. === 학교 및 교사 프로그램 === 모든 학년 수준의 참여형 실습 학습 커리큘럼을 통해 학생과 교사간 매력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 ==== 학교 프로그램 및 견학 ==== 영어, 음악, 과학, 사회 및 시각 예술 분야 커리큘럼을 다루는 다양한 학교 및 교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홈스쿨링|홈스쿨]] 프로그램 ==== 홈스쿨 학생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프로그램 및 리소스이다. ==== 교사 리소스 포털 ==== 컨트리 음악과 문화의 풍부한 유산을 표준 기반 수업 자료, 주요 소스 및 매력적인 비디오 콘텐츠를 통해 교실에 쉽고 재미있게 통합할 수 있다. == [[컨트리 음악 재단]] ==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박물관은 세계에서 가장 방대한 음악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으며, [[1964년]] 설립된 비영리 단체 '컨트리 음악 재단(Country Music Foundation, CMF)'이 운영하고 있다.[* 컨트리 음악 재단 업무 소개 자료 출처: 2021년 12월 29일자 뉴스 기사 [[https://philanthropynewsdigest.org/features/nonprofit-spotlight/country-music-foundation| ]]] 컨트리 음악 재단은 현재 70명 이상 정규직 전문가를 고용하고 있으며 "단일 형태의 대중음악에 전념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연구센터"이다. === 재단 주요업무 === 컨트리 음악의 초기 전통적 뿌리부터 커뮤니티 기반 음악과 번창하는 대중 문화 형태로서의 현대적 표현에 이르기까지 컨트리 음악의 진화하는 역사를 보존하고 교육 및 홍보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 전시회, 책자,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청중에게 컨트리 음악 홍보 *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박물관 운영 * 컨트리 음악의 역사와 전통을 수집, 보존 및 해석 * 학생들에게 노래 가사 쓰는 법과 작곡가 및 음악가와의 세션 참여 지원 * 청소년 및 가족 참가 워크샵 및 작곡 캠프 개최 * 웹사이트를 이용해 디지털 아카이브 검색, 비디오 시청 및 팟캐스트 청취 기회 제공 === 운영 프로그램 === ==== 컨트리 음악 이야기 ==== Sing Me Back Home: 컨트리 음악을 통한 여행은 박물관의 주요 상설 전시회로 유물, 사진, 녹음 사운드, 아카이브 비디오 및 대화형 터치스크린을 통해 방문객을 컨트리 음악의 역사와 사운드, 즉 컨트리 음악의 기원, 전통, 컨트리 음악에 기여한 많은 사람들의 삶과 목소리에 몰입하게 한다. ==== 교육 커뮤니티 ====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워크샵 및 창의적인 수업을 통해서 매년 10만명 이상의 참가자가 악기 시연부터 작곡 프로그램인 Words & Music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음악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초보자부터 현직 창작자까지 모든 수준의 작가에게 단계별 가이드를 위한 작곡가 대화를 통해 전문가의 창작 과정에 대한 리소스와 영감을 제공한다.] ==== 온 디맨드 콘텐츠 ====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과 프로그램을 통해 박물관 웹사이트 방문자는 온라인 전시회, 라이브 앳 더 홀(Live at the Hall) 녹화 인터뷰 및 공연, 디지털 아카이브 등 다양한 콘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다.[* 라이브 앳 더 홀(Live at the Hall)은 음악·문화적으로 다양한 컨트리 음악 제작자들의 인터뷰와 공연을 선보이는 주간 온라인 프로그램 시리즈이다.] === {{{-1 컨트리 음악 재단 도서관}}} === 컨트리 음악 재단 도서관 소장 자료에는 175,000장 이상의 음반, 8,000권의 서적, 450권의 정기 간행물, 150,000장의 사진, 수천 권의 노래책, 영화, 비즈니스 문서 및 기타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