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커뮤니티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BBC 선정 100대 21세기 TV 시리즈)]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100대 시트콤)] ---- [include(틀:엠파이어 매거진 선정 100대 TV쇼)] ---- }}}|| ---- ||<-3>
'''{{{+1 {{{#fff 커뮤니티 }}} }}}[br] {{{#fff '' Community ''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미드 커뮤니티 포스터.jpg|width=100%]]}}} || ||<-2> '''장르''' ||[[시트콤]]|| ||<-2> '''방송 시간''' ||[[월요일]], [[화요일]] 오후 10시 00분 ~ 오후 11시 05분|| ||<-2> '''방송 기간''' ||[[2009년]] [[9월 17일]] ~ [[2015년]] [[6월 2일]] || ||<-2> '''방송 횟수''' ||6시즌 110부작 || ||<-2> '''채널''' ||[[NBC(미국)|[[파일:NBC 로고.svg|width=30]]]][*시즌1~5] | 야후! 스크린[*시즌6] || ||<|4> '''제[br]작[br]진''' || '''원작''' ||[[댄 하몬]][* 이 작품의 쇼러너(대본 집필뿐만 아니라 예산 배정, 인력 채용 등 드라마 제작의 전 과정을 총괄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시즌 4에서 쇼러너에서 하차했지만, 시즌 5부터 다시 쇼러너로 복귀했다.] || || '''연출''' ||[[루소 형제]][* 가장 많은 에피소드를 연출했다.], 트리스트람 샤피로, 롭 슈랍 ,,외,, || || '''극본''' ||[[댄 하몬]], 크리스 맥케나[* [[마블 스튜디오 스파이더맨 시리즈]]의 각본가로 활동하고 있다.], 힐러리 윈스턴 ,,외,,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작''' ||댄 하몬, [[루소 형제]], 크리스 맥케나, 롭 슈랍, 닐 고드만 & 가렛 도노반 ,,외,, || || '''촬영''' ||게리 햇필드, 제임스 호킨슨 ,,외,, || || '''미술''' ||존 B. 버트리스, 엘렌 킹 ,,외,, || || '''음악''' ||[[루드비히 고란손]] ||}}} }}} }}} || ||<-2> '''출연''' ||조엘 멕헤일, [[길리언 제이콥스]], [[대니 푸디]], 이벳 니콜 브라운, [[앨리슨 브리]], [[도널드 글로버]], [[켄 정]], [[체비 체이스]], 짐 래시 ,,외,, || ||<-2> '''스트리밍'''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2]]]] [[https://www.netflix.com/kr/title/70155589|▶]] | [[왓챠|[[파일:왓챠 로고.svg|height=12]]]] [[https://watcha.com/contents/tPVnxxP|▶]] || ||<-2>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FBFCFC '''시청 등급'''}}}]] ||[[15세 이용가|[[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2> '''링크''' ||[[https://www.instagram.com/communitytv/|[[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ommunitytv, 크기=20)] | [[https://www.youtube.com/c/CommunityOfficialChanne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communitytv/|[[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www.greendalecommunitycollege.com/|[[파일:텀블러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6Hj5zLlYdo)]}}} || ||<-2> {{{#fff ''' 오프닝 - 'At Least It Was Here'[* 커뮤니티의 오프닝 시퀀스. 노래는 The 88의 'At Least It Was Here'. 시즌마다 출연 배역에 따라 미묘하게 바뀐다. 할로윈이나 D&D 에피소드처럼 특정 에피소드에는 시퀀스가 아예 새로워진다. 짧은 버젼에서는 마지막 2줄만 나온다.[[https://www.youtube.com/watch?v=Nl_VubdfDTI/|각종 버전]]] ''' }}}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Give me some rope tie me to dream 꿈에 묶일 수 있게 밧줄을 줘 Give me the hope to run out of steam 진이 빠질 거라는 희망을 줘 Somebody said we could be here 누군가는 말했지, 우린 여기에 있을 수도 있고, We could be roped up, tied up, dead in a year 줄에 매일 수도, 묶일 수도, 1년 후에 죽을 수도 있어. And I can't count the reasons I should stay 내가 여기 있을 이유들을 셀 수가 없어 One by one they all just fade away 하나씩 하나씩 그냥 다 사라져버려 }}}}}}}}} || [[2009년]]부터 [[2015년]]까지 [[NBC(미국)|NBC]]와 야후 스크린에서 방영한 [[미국]] [[시트콤]] 시리즈다. 미국의 성인 애니메이션 [[릭 앤 모티]]를 공동 제작하기도 한 [[댄 하몬]]의 대표작. == 마케팅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4W4L9TLJa8)]}}}||{{{#!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5P0qYRGH7w)]}}}|| || '''시즌 1 예고편''' || '''전 시즌 예고편''' ||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1amVt40H1L._SL1500_.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1Sh1743JeL._SL1500_.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1qy61b55BL._SL1500_.jpg|width=100%]]}}} || || '''시즌 1 포스터''' || '''시즌 2 포스터''' || '''시즌 3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1k7LfO1MPL._SL1500_.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sIuHhFf2bREPrHHESiZj7GPyBw.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894600_so.jpg|width=100%]]}}} || || '''시즌 4 포스터''' || '''시즌 5 포스터''' || '''시즌 6 포스터''' || == 특징 == [[파일:attachment/커뮤니티(미국 드라마)/kc.png]] ~~사진 한 장으로 나타내자면 이 정도..?~~ [[콜로라도 주]]에 있는 그린데일 [[커뮤니티 칼리지]]를 무대로 하고 있다. 잘 나가던 변호사 [[제프 윙거]]가 학력위조 혐의로 변호사 자격을 박탈당한 후 고등 교육을 처음부터 다시 밟아야 하는 상황에서 그린데일에 입학하고 스페인어 스터디 그룹을 만들면서 겪게 되는 에피소드들을 그리고 있다. 뭔가 열심히 노력은 하는데 학장부터 학생까지 멀쩡한 인간은 한 명도 없는 그린데일에 미친 속도로 융화되어 가는 제프 윙거가 관전 포인트. 사회적인 기준에 약간 모자른 듯한 인간 군상들[* 학력 위조로 면허가 정지된 전 변호사 [[제프 윙거]], 고등학교 자퇴생이자 입으로만 정의를 외치는 운동가 [[브리타 페리]], 정상적인 인간관계 형성에 애먹는 팝컬처 매니아 [[아벳 나디르]], 각성제에 중독될 정도로 모든 것에 열성적인 모범생 [[애니 에디슨]], 미식축구 특기생이었으나 부상으로 낙오된 [[트로이 반스]], 바람나 도망친 남편을 잊지 못하는 [[셜리 베넷]], 백만장자이나 답없는 인종차별자 [[피어스 호소른]] 등...]이 한 데 모여 지지고 볶는 이야기들이 재밌지만 그저 웃을 수만은 없는 짠한 에피소드들도 여럿있다. 다양한 장르의 영상물에 쓰이는 이런저런 기법을 적절한 방식으로 많이 사용하며, 유명한 명작 영화나 그 장르들을 자주 패러디하는게 절묘하기 그지 없다. (찰리와 초콜릿 공장, 다크나이트, 굿 펠러즈, 애니멀 하우스, 굿 윌 헌팅,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 B급 좀비영화들 등등...) 무심한 듯 [[시크]]하게 [[제4의 벽]]을 깨버리는 내용 전개 자체를 메타화 하는 에피소드도 꽤 많다. 시즌 2 에피소드 8 저예산 에피소드가 대표적으로 [[아벳 나디르|아벳]]이 종종 에피소드 내에서 저예산 같다고 말한다. 어쩔 때는 아예 스톱모션, 봉제 인형, 8비트 게임 기법 등으로 에피소드가 구성되기도 한다. 대중적인 코드와는 살짝 맞지 않아 시청률은 낮은 편이었지만 그 반대 급부인지 특유의 실험적이고 독특한 연출이나 캐릭터 구축, 정신없이 막 나가면서도 흐름은 잃지 않는 특유의 내용 전개에 호의적인 평론가들도 많고 골수 [[양덕후|팬덤]]이 상당히 강력한 편이다. 메타크리틱에서는 78점, IMDB에서는 8.5점의 별점을 받았다. 20분 분량의 시트콤으로는 굉장한 성적이다. 낮은 시청률에도 불구하고, 시즌 6까지 올 수 있었던 이유는 커뮤니티를 계속해서 지지해준 골수 팬덤 덕분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이런 커덕력의 끝판왕은 양덕들이 만들고 있는 시즌 3 에피소드 20의 게임이다. 계속 컨텐츠가 추가되며 만들어졌고 배우들도 이 게임을 주목하며 트위터에 응원글을 올렸다. == 시즌 정보 == [[파일:attachment/커뮤니티(미국 드라마)/c01.jpg]] ||
{{{#ffffff '''시즌''' }}} || {{{#ffffff '''에피소드''' }}} || {{{#ffffff '''시즌 프리미어 (시청자 수)''' }}} || {{{#ffffff '''시즌 피날레 (시청자 수)''' }}} || {{{#ffffff '''방영시간''' }}} || || {{{#ffffff '''1''' }}} || 25 || 2009년 9월 17일 (789만명) || 2010년 5월 20일 (441만명) || 목요일 9시 30분 [br] 목요일 8시 || || {{{#ffffff '''2''' }}} || 24 || 2010년 9월 23일 (501만명) || 2011년 5월 12일 (332만명) ||<|4> 목요일 8시 || || {{{#ffffff '''3''' }}} || 22 || 2011년 9월 22일 (393만명) || 2012년 5월 17일 (248만명) || || {{{#ffffff '''4''' }}} || 13 || 2013년 2월 7일 (388만명) || 2013년 5월 9일 (308만명) || || {{{#ffffff '''5''' }}} || 13 || 2014년 1월 2일 (349만명) || 2014년 4월 17일 (287만명) || || {{{#ffffff '''6''' }}} || 13 || 2015년 3월 17일 (미공개) || 2015년 6월 2일 (미공개) || 화요일 || === #SixSeasonsAndAMovie === "시즌 6개와 영화 한 편"이 처음으로 언급된 것은 시즌 2 에피소드 22로, 아베드 나디르가 자신이 좋아하는 TV쇼 The Cape에 대해 언급한 것이 시초이다. [[메타픽션]] 성향이 강한 아베드의 캐릭터와, 댄 하몬의 스타일[* 댄 하몬의 다른 작품 [[릭 앤 모티]]에서도 릭이 모티에게 9 more seasons! 라고 [[메타픽션]]스럽게 소리지르는 장면이 등장한다.]을 고려하면 본 작품에 대한 말임을 유추할 수 있다. 이후 시즌에 구석에 적힌 낙서나 엔딩 크레딧 등지에 반복적으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좋은 평가에 비해 시청률이 좋지 못했는데[* 같은 시간에 [[빅뱅이론]]이 방영되었다.], 때문에 6시즌을 채우기까지 종영 위기를 여러번 겪었다. 시즌 3이 시작되고 이 시즌이 마지막이 되거나 혹은 중간에 캔슬될지 모른다는 위기감이 팬덤에서 형성되었고, 급기야는 10화 이후 3~4개월 동안 장기간 휴방 소식이 전해지며 그것이 증폭되었다. 이 때문에 [[트위터]] 등지에서 #savecommunity 혹은 #sixseasonandamovie 같은 해시태그를 다는 운동이 진행되었고, 연말에 TV가이드에서 진행한 'Fan Favorites Cover 2011'(팬이 투표를 통해 표지에 실릴 드라마를 결정하는 행사)에서 쟁쟁한 다른 드라마들을 제치고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Time지 2011년 올해의 TV쇼/TV에피소드 10에서 각각 8위, 5위를 차지하는 등 호평을 받고 있고, 훌루에서도 커뮤니티 전시즌 서비스도 시작하고 갑자기 종영되지는 않을 듯. 하지만 미국 드라마가 워낙에 시청률과 광고수익을 따지는 산업이기 때문에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다. 시즌 4는 결정되었지만, 정작 메인작가 댄 하몬을 NBC가 내보냈다. 이 때문에 커뮤니티 팬들은 아예 시즌 4를 포기하거나 과연 예전과 같은 커뮤니티일지 걱정하기도 했다. 일단 스폰서가 정상적이고 일반적인 쇼를 원하다보니 시즌 반응도 비평도 다른 시즌에 비해 시원찮았다. 시즌 4에 대한 많은 비판에도 불구하고 NBC는 시즌 5를 제작 결정했고 댄 하몬을 다시 불러왔다. 시즌 4의 마지막인 에피소드 13에서 스터디 룸 칠판에 [[세로드립]]으로 "Six season and a movie"라는 낙서에 적혀있다. 시즌 5에서는 100화를 3화 앞둔 상태였지만 시즌 1부터 그리 좋지 않던 시청률이 결국 발목을 잡은 듯 종영을 결정하였다. "Six season and a movie"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깔끔하게 마무리지었으니 아쉽지만 이제 놓아주어야 할 때가 온 듯 하였고 그렇게 시즌 5로 끝나나 했지만... 2014년에 야후TV가 시즌 6를 제작하기로 결정하였으며 두 캐릭터가 추가된다. 그래도 오는 사람이 있으면 가는 사람이 있는 법, 시즌 5에서 피어스, 트로이가 떠났고, 시즌 6부터는 셜리 없는 커뮤니티가 진행된다. 즉 남은 원년 멤버는 제프, 브리타, 아벳, 애니, 총장과 챙뿐. 시즌 6는 그럭저럭 괜찮은 평을 끌어냈지만 수익을 내지 못했고 야후가 스트리밍 서비스를 접으면서 영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 시즌 6까지 온 이상 영화로 끝내주길 원하는 팬들이 많다. 다만 브리타, 애니[* 애니 역의 [[앨리슨 브리]]는 영화가 나온다면 꼭 출연하고 싶지만, 넷플릭스 제작 영화여야 가능할 것 같다는 인터뷰를 한 바 있다. 배우가 [[넷플릭스]]의 [[글로우]]등에 출연하며 넷플릭스와 돈독한 관계를 쌓았기 때문. 결국 2020년에 넷플릭스에 커뮤니티의 전 시즌이 공개되어 희망이 보이게 되었다.]등의 주연을 맡은 배우 중 다수가 드라마, 영화에 캐스팅 되었기 때문에 배우들의 스케쥴 문제가 있다. 시즌 6 자체가 시원하게 망했다보니 투자처를 찾는 것도 문제다. 다만 최근 팬들의 요구와 후원에 의해 과거 종영된 작품이 돌아오는 경우도 많고 댄 하몬도 커뮤니티 영화화에 대한 의지를 버린 것은 아니기 때문에 팬들도 언젠가 영화를 통해 정식으로 마무리 지어 주길 기대하고 있다. 2017년 11월 제작자인 댄 하몬이 커뮤니티 영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중이라는 인터뷰를 했다. 다만 아직까지는 확실한 투자처가 없어서 행운을 빌고 있다고... [[https://www.thewrap.com/dan-harmon-community-movie-justin-lin/|제작자 댄 하몬 인터뷰]] 2019년 말, [[유튜브]] 채널이 생겼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083VJ23T17StE7R7Fm00jQ|유튜브 채널]] 2020년대 제작자 댄 하몬이 애니메이션 '릭 앤 모티'로 어마어마한 성공을 거두며 바쁜 상황이라 영화 제작은 소원할 것으로 보인다. ==== 영화화 ==== 영화화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https://www.empireonline.com/movies/news/community-creator-dan-harmon-teases-conversations-about-movie/|#]] [youtube(V6Q_nlSULio)] [youtube(pv9xMs2pU5g)] 2020년 5월 피어스역을 맡은 체비 체이스를 제외한 주연 배우들이 모두 모여 인터뷰를 나누기도 했다. 2020년 들어 쇼가 [[넷플릭스]]에 공개되었고, [[코로나19]] 사태와 맞물려 순식간에 신규 시청자가 엄청나게 늘어났다. 갑작스레 늘어난 관심에 체비 체이스를 제외한 출연진들과 제작자 댄 하몬이 다시 뭉쳐 유튜브에 영상을 내놓기도 하였다. 영상에 등장한 모든 출연진들은 영화 제작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다만 당장 찍기는 힘들 것 같다고... 2021년 댄 하몬이 대본 작업을 시작하고 있다고 인터뷰에서 말했다. [[https://www.vulture.com/article/dan-harmon-community-movie-good-one-podcast.html|#]] 2022년 댄 하몬이 영화가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말하며 사실상 영화화를 확정했다. [[https://www.newsweek.com/dan-harmon-community-movie-update-existence-release-timeline-1735220?amp=1|#]] 결국 미국 스트리밍 서비스 [[피콕(스트리밍)]]을 통해서 공개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https://variety.com/2022/tv/news/community-movie-peacock-dan-harmon-joel-mchale-1235389233/|#]] 공개 일자와 감독 등 자세한 사항은 미공개. == 등장인물 == === 주요 등장인물 === [[파일:8cbe586e2ae04e70d5d4b96d69cc99a1f6ee4ae71353e4bc3400aaa29662037f._SX1080_.jpg]] * [[제프 윙거]] * [[브리타 페리]] * [[애니 에디슨]] * [[셜리 베넷]] * [[피어스 호소른]] * [[트로이 반스]] * [[아벳 나디르]][* 시즌 1~4까지 이어진 스터디 그룹의 원년 멤버들. '그린데일7'로 불리기도 한다. 시즌 5에서는 트로이와 피어스가 시즌 6에서는 셜리가 하차.] * 총장 [[크레이그 펠튼]] * [[벤 챙]] * 버즈 히키[* 시즌 5에 스터디 그룹의 연장선인 '그린데일 살리기 협회'에 들어온 범죄학 교수. 시즌 5만 출연. 배우는 [[브레이킹 배드]]와 [[베터 콜 사울]]에 [[마이크 어만트라우트]]역으로 출연한 조너선 뱅크스] * 프랭키 다트[* 시즌 6에 '그린데일 살리기 협회'에 들어온 직원으로 배우는 패짓 브루스터(Paget Brewster). 캐릭터는 제프와 함께 그나마 정상인 캐릭터. 사실 프랭키 역의 배우는 시즌 5 에피소드 6에서 IT 부서 직원 데브라 역을 분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시즌 6에서 다른 인물인 설정으로 레귤러로 합류한 후, IT 부서 여직원이 사라져서 찾을 수 없다고 자기 입으로 얘기하는, 설정구멍 자학 개그가 지나가듯이 나온다. 후에 아벳 역의 [[대니 푸디]]와 크레이그 역의 짐 래시와 마찬가지로 [[덕테일즈(2017)]]에 출연하는데 여기선 대니 푸디가 맡은 역할의 엄마 역이다. 더불어 짐 래시가 맡은 역할과는 투닥거리는 관계였다고 암시된다.] * 엘로이 파타슈닉[* 시즌 6에 '그린데일 살리기 협회'에 들어온 직원(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 배우는 키스 데이비드(Keith David). 나중에 커뮤니티의 제작자인 댄 하몬이 만든 릭 앤 모티에서 대통령 역할도 맡는다.] === [[/조연 목록|조연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커뮤니티(미국 드라마)/조연 목록)] == 그린데일 커뮤니티 칼리지 == '''Greendale Community College''' 시리즈의 중심 무대인 미국의 [[커뮤니티 칼리지]]이다. 제작자 댄 하먼이 재학했던 [* 2003년도에 한학기 반 재학했다고 LA Times 가 보도했다 [[https://www.latimes.com/socal/glendale-news-press/news/tn-gnp-screening-20101105-story.html]].] LA 인근 글렌데일 시의 글렌데일 커뮤니티 칼리지가 모델이다. 작품에선 콜로라도의 가상의 도시 '그린데일'의 중심에 있다. 라이벌은 근처에 있는 시티 컬리지이다. 커뮤니티 칼리지의 특성상 연령대도 청소년에서 노인까지 다양하다. 겉보기에는 멀쩡한 것 같지만 위에 학교는 물론이거니와 다니는 학생들도 제정신이 아니다. 총장부터 신입생까지 제대로 된 사람이 없는 안드로메다 학교. 툭하면 폭동에다 시티 칼리지와의 싸움으로, 아니면 스스로 밥 먹듯이 쑥대밭을 만들며 총장이 신입생 모집 광고를 만든답시고 수업을 중단시키고 학생들을 스탭으로 부려먹는 뻘짓을 하는 등 여러모로 괴상한 집단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장은 이 학교가 아이비 리그급이 되길 바라나 될 리가... 거기다 운영을 맡고 있는 이사진들도 제정신이 아닌지라 안그래도 자주 터지는 사고가 절대 끊이지 않는다. 모종의 사건으로 4월 1일 만우절을 3월 32일로 바꿔버렸다. 피어스가 만들어낸 명백히 표절인 교가[* 원곡은 브루스 혼스비의 [[https://www.youtube.com/watch?v=GlRQjzltaMQ]].]가 있으며 학교 출신 유명인물은 [[루이스 구즈만]]이있다. 그리고 그를 기리기 위해 비합법적으로 만들어진 그의 동상도 있다. 광고 제작 에피소드에서는 진짜로 커뮤니티에 출현해서 자기 동상도 보고 광고에도 참여한다. 근데 광고에서 나와서 한 말이 '여기 다니면서 재미도 엄청 봤다고'...~~역시 선배님!~~ 이런 이상한 학교가 그나마 운영이 되는 이유는 부속교인 '에어컨 수리 전문 학교' 덕분이다. 취업률이 본교의 5배 인데다 동문들의 기부금이 학교 총 예산의 80% 이상 차지 한다고 한다. 허나 이 부속교에 다니는 인물 중에서도 정상인은 눈에 띄지 않는다.. === 그린데일 휴먼비잉즈 === 그린데일 커뮤니티 컬리지의 미식축구 팀명이자 그럴싸한 대학교를 만들고 싶어하는 총장과 뭐든지 손대려고 하던 피어스가 기획한 학교 마스코트. 원래 팀명은 그린데일 그리즐리 였으나 '''평생을 동물에 관련된 별명으로 불렸을 학생들을 위해''' '휴먼빙'이란 팀명을 갖게 된 미식축구 팀의 명칭이었다. 인종 차별이나 성차별을 느끼면 안 된다는 조건으로 마스코트로 제작되었는데 정말로 어떤 인종이나 성별이 봐도 차별을 느낄 수 없는(?) 엄청난 걸 만들어 버렸다. 게다가 증식하기까지 한다. 학생들도 처음엔 마주칠때 마다 기겁을 하나 점점 익숙해진듯. ||[[파일:external/s18.postimg.org/Community_S01_E06_Football_Feminism_and_You_HDTV.jpg|width=100%]]|| || 그 위대한 첫 등장 || ||[[파일:external/s17.postimg.org/Community_S01_E12_HDTV_Xvi_D_2_HD_avi_20161117_1729.jpg|width=100%]]|| || 크리스마스 에디션 || ||[[파일:external/s15.postimg.org/Community_S01_E16_HDTV_Xvi_D_LOL_avi_20161117_1730.jpg|width=100%]]|| || 발렌타인 데이에는 큐피드 추가 분장까지 하며 초콜릿과 선물 배달을 도맡았다. || || [[파일:external/25.media.tumblr.com/tumblr_lcqwhecJpE1qfnp2go1_400.jpg|width=100%]] || || ~~이래서야 누구도 차별을 느낄래야 느낄 수 없지. 전 인류를 엿맥이는 디자인만 제외하면...~~ || === [[교기(동음이의어)#s-2|교기]] === [[파일:external/3.bp.blogspot.com/nbc_community_greendale_anus.png]] 쓰여 있는 E pluribus anus는 미국 국장에 쓰여있는 라틴어 문구인 E pluribus unum의 패러디다. 의미는 '다수에서 항문으로'. 본래 의미는 다수에서 하나로. 학생들에겐 엉덩기로 불리며 시즌 2 에피소드 4에서 스터디 그룹의 공모로 교기로 선정되었다. 그리고 스터디 그룹 내의 누군가가 총장에게 그 사실을 일러바쳐 또 다른 사단이 벌어지게 된다... === 학생회장 === 치열한 다섯명의 후보들의 경합 끝에 총 11표 중 7표의 득표로 후보에도 없던 [[사우스 파크]]가 학생회장이 됐다.--사람이름 아니고 애니 이름인데 팝팝이랑 프르르르 중에 뽑을게 없어서 나온 결론-- === 시티 칼리지 === 같은 지역에 위치하는 또 다른 커뮤니티 컬리지인데 그린데일과 라이벌 관계에 있다. 적어도 그린데일보다는 정상적인 학교로 보이나 총장인 스티븐 스프렉이 맹목적으로 그린데일을 엿먹이려고 하는 일에 학생들까지 동원하므로 확실치는 않다. 재정상황은 훨씬 좋다는 건 확실하나 스티븐이 거하게 삽질을 하므로 다 말아먹지 않을까 싶다. 학교의 운명을 가르는 중요한 음모에는 항상 시티 컬리지가 그 뒤에 자리하고 있다고 보면 편하다. 아니면 [[서브웨이]]. == [[/에피소드 목록|에피소드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커뮤니티(미국 드라마)/에피소드 목록)] === 미니 에피소드 === 이 유튜브 재생목록에서 볼 수 있다[[https://youtube.com/playlist?list=PLFUnOn3wgNHmAyWgphI5ucHlECu5cogGQ| #]]. == 평가 == ||<-3>
'''[[로튼 토마토|[[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width=100]]]]''' [br] || || {{{#ffffff '''시즌 1'''}}} || '''[[https://www.rottentomatoes.com/tv/community/s01| 신선도 90%]]''' || '''[[https://www.rottentomatoes.com/tv/community/s01| 관객 점수 96%]]''' || || {{{#ffffff '''시즌 2'''}}} || '''[[https://www.rottentomatoes.com/tv/community/s02| 신선도 100%]]''' || '''[[https://www.rottentomatoes.com/tv/stranger_things/s02| 관객 점수 98%]]''' || || {{{#ffffff '''시즌 3'''}}} || '''[[https://www.rottentomatoes.com/tv/community/s03| 신선도 92%]]''' || '''[[https://www.rottentomatoes.com/tv/stranger_things/s03| 관객 점수 97%]]''' || || {{{#ffffff '''시즌 4'''}}} || '''[[https://www.rottentomatoes.com/tv/community/s04| 신선도 65%]]''' || '''[[https://www.rottentomatoes.com/tv/stranger_things/s04| 관객 점수 58%]]''' || || {{{#ffffff '''시즌 5'''}}} || '''[[https://www.rottentomatoes.com/tv/community/s05| 신선도 93%]]''' || '''[[https://www.rottentomatoes.com/tv/stranger_things/s04| 관객 점수 94%]]''' || || {{{#ffffff '''시즌 6'''}}} || '''[[https://www.rottentomatoes.com/tv/community/s06| 신선도 89%]]''' || '''[[https://www.rottentomatoes.com/tv/stranger_things/s04| 관객 점수 85%]]'''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드라마), code=community, critic=74, user=9.1)] [include(틀:평가/IMDb, code=tt1439629, user=8.5, list=IMDb Top 250 TV, rank=219)] >'''커뮤니티는 TV 역사상 가장 독창적인 쇼 중 하나다.''' >---- >[[Vox Media|VOX]] [[https://www.vox.com/culture/2019/9/20/20873299/community-comedy-netflix-hulu-nbc-yahoo-jeff-winger-annie-troy-abed-britta-shirley-pierce|#]] 미국 드라마의 웰메이드 시트콤 중 하나다. 마이너하고 독특한 특징때문에 방영 당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드라마는 아니지만, 이러한 특징덕분에 [[컬트]]적인 인기를 끌게 됐으며 많은 평론가들에게 극찬을 받았다. 시즌 4를 제외하면 모든 시즌이 호평을 받았다. 평론가들에게 가장 큰 호평을 받은 시즌은 시즌 1부터 시즌 3까지이다. 이 세 시즌은 커뮤니티의 황금기라고 불린다. 댄 하몬이 하차한 시즌 4는 최악의 시즌이라고 불리며 좋은 평을 받지 못한다.[* 그런데 이 시즌도 볼만하다고 말하는 팬들도 있다.] 그러나 다시 댄 하몬이 복귀한 시즌 5부터 긍정적인 평을 받았다. 마지막 결말까지도 커뮤니티답게 잘 끝냈다는 평이 많다. 종영 이후에도 팬덤의 지지도가 높고 신규 팬들이 생기고 있으며, [[IGN]] 선정 [[https://www.ign.com/lists/top-100-tv-shows/51|최고의 TV 쇼 순위]], [[롤링 스톤]] 선정 [[https://www.rollingstone.com/tv-movies/tv-movie-lists/best-tv-sitcoms-1162237/|최고의 시트콤 순위]], 페이스트 매거진 선정 [[https://www.pastemagazine.com/tv/the-100-best-tv-sitcoms-of-all-time/#14-community|최고의 시트콤 순위]], [[BBC]] 선정 [[https://www.bbc.com/culture/article/20211015-the-100-greatest-tv-series-of-the-21st-century|21세기 최고의 쇼 순위]]에 선정되는 등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 기타 == === [[Journey to Center of Hawkthorne]] === 시즌 3 에피소드 20 디지털 재산 계획에서 나왔던 게임을 만들어 보자!라는 취지로 커뮤니티 팬들이 만들고있는 게임이다. 에피소드가 방영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홈페이지가 생겨서 현재진행형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운영자 몇 명이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위키피디아 형식으로 회원들이 픽셀로 캐릭터들의 모션을 만들면 그걸 게임에 집어 넣어서 버전을 업데이트하는 형식. 처음에는 스터디 룸과 첫 번째 마을밖에 구현이 안 됐지만 0.0.68버젼에서는 에피소드에서 나왔던 거의 모든 스테이지와 시즌 2 에피소드 11 아벳의 통제불능 크리스마스에서 나왔던 '얼어 붙은 기억의 동굴'스테이지까지 추가되었다. 에피소드에 등장했던 스테이지 외에도 GCC맵을 따로 구현해냈는데 팬들이 만들어서 그런지 지금까지 나왔던 여러 요소들을 다 집어 넣어서 만들었기에 플레이해 보면 잔재미들이 상당히 많다. === 여담 === * 마블 시리즈의 연출로 유명한 [[루소 형제]]가 감독했던 드라마라 그런지 출연진이 마블 영화에 등장하는 모습을 가끔 볼 수 있다. * [[아벳 나디르|아벳]] 역의 대니 푸디는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의 쉴드의 직원으로 나와 [[캡틴 아메리카(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캡틴 아메리카]]와 대면한다[* 쉴드에 침입하는 상황이라 총에 겨눠지기는 했지만.]. [[크레이그 펠튼|펠튼 총장]] 역의 짐 래쉬는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에서 MIT 직원으로 출연했다[* MIT 강연 후 돌아가려는 [[아이언맨(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토니 스타크]]에게 자신의 셀프 핫도그 요리 기계 아이디어에도 재단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딘"스럽게 묻는다.]. [[트로이 반스|트로이]] 역의 [[도널드 글로버]]는 [[스파이더맨: 홈커밍]]에서 [[애런 데이비스]] 역할로 나왔는데, 이 캐릭터가 [[마일스 모랄레스]]의 삼촌이기 때문에 차후 시리즈에 또 출연할 가능성도 있다. * [[벤 챙]] 역의 [[켄 정]][* [[스콧 랭(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앤트맨]]이 양자 영역에서 탈출할 때 발견하는 경비원으로 분함.]과 [[셜리 베넷|셜리]] 역의 이벳 니콜 브라운[* [[캡틴 아메리카(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캡틴 아메리카]]와 [[아이언맨(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아이언맨]]이 1970년 과거의 쉴드 본부로 시간여행을 했을 때 엘리베이터에 함께 타서 이들을 수상하게 쳐다보다 경비원에게 알리는 여성을 연기했다.]도 [[어벤져스: 엔드게임]]의 단역으로 나와 드라마 팬에게 깨알같은 재미를 주었다. [[캡틴 마블(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캡틴 마블]] 역의 [[브리 라슨]]은 드라마에서 레이첼 역으로 분해 [[아벳 나디르|아벳]]과의 러브라인을 그리기도 했다. 시즌 5에서 피어스의 유언을 집행하러 온 변호사 배역을 맡은 [[월튼 고긴스]]는 [[앤트맨과 와스프]]에서 악당인 [[소니 버치]]로 등장하기도 하였다.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와는 무관하겠지만 [[애니 에디슨|애니]] 역의 [[앨리슨 브리]]는 모바일 게임 마블 어벤져스 아카데미에서 [[블랙 위도우]]의 성우를 맡기도 했다. [[제프 윙거|제프]] 역의 조엘 맥헤일은 [[스파이더맨 2]]에서 메이 숙모의 대출 신청을 거절하는 은행원 역을 맡았다. * [[프렌즈]] 등 미국 티비 프로그램이 자주 언급된다. * 잊어버릴 만하면 [[글리]]를 디스한다. 굉장히 자주. 시즌 1에서는 페인트볼 에피소드에서 제프가 자작곡 좀 써보라며 조롱하고, 시즌 2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데 버스 사고로 모두 죽었다고 한다. 시즌 3에서는 제프가 글리 클럽이 저작권을 위반한다며 신고해 클럽원들이 미쳐버려 자해하다 정신병원으로 실려가고 글리 클럽의 담당 강사는 노래를 못부르는 사람은 노래를 부를 자격도 없다고 생각하고 이전 글리 클럽을 사고를 위장해 죽인 사이코였다. 거기다 댄 하몬은 시즌 2에서 글리 클럽을 버스사고로 죽인 게 글리가 망하기를 바래서 그런 거냐고 레딧에서 묻자, "[[https://www.reddit.com/r/community/comments/gvcaj/iama_creator_of_the_tv_show_community_ama/c1qnvcv|비록 그린데일의 글리 클럽이 탄 버스가 늘어뜨려진 전선에 걸려 버스채로 잘려나가 뒷좌석의 학생들은 앞의 친구들이 차례차례 목이 잘리는 것을 봤고 버스째 용암에 떨어졌으며 감전으로 인해 신경이 죽지 않아 목이 잘린 채로 아무것도 못하고 용암 속에서 고통을 느끼며 죽어갔지만, 내가 다른 TV쇼가 잘나가는 걸 질투하는 건 아닙니다.]]"라고 답글을 달았다.(...) 우연찮게도 글리에서 커뮤니티 시즌 1에서 그린데일 글리 클럽이 불렀던 노래를 불렀다. * 매 시즌마다 있는 페인트볼 에피가 각 시즌의 하이라이트이자 피날레.[* 시즌 1은 한 회, 시즌 2은 전~후편으로 구성.] 예외적으로 시즌 3에서는 페인트볼 에피소드가 없었으나, 2회에 걸쳐 아벳과 트로이의 편으로 나뉘어 그린데일 학생들끼리 베개 전쟁을 벌였다. 시즌 4에서는 다시 피날레 에피에 페인트볼이 등장했고, 시즌 5에서는 에피소드 5에서 용암세계 게임으로 바뀌었고, 시즌 6 11화에서 부활했다. 이 페인트볼 에피소드들의 액션신과 플롯이 상당히 고퀄리티인데, 보고 나면 왜 [[마블 스튜디오]]가 [[루소 형제]]를 어벤져스 시리즈의 감독으로 낙점했는지 알 수 있다. * [[파일:c0017601_59adeb72bd0ed.gif]] 웹 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도널드 글로버|한 남자]]가 싱글벙글하면서 피자 세 판을 들고왔더니 '''집에 불이 나서 방 안이 불타고 있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의 위 움짤이 이 드라마의 한 장면이다. 정확히는 시즌3 4화 혼돈이론편에 나온다. 대충 안본 사이에 커뮤니티가 개판이 된 상황에 도중에 들어왔을때 쓰는 짤이다.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744/read/36334957|내용 요약 (삭제됨)]]~~~~[[https://theqoo.net/square/666484963|내용 요약 2]] == 외부 링크 == * [[https://en.wikipedia.org/wiki/Community_(TV_series)|영어 위키백과]] * [[https://www.imdb.com/title/tt1439629/|IMDB]] * [[https://www.reddit.com/r/community/|레딧 팬 서브레딧]] * [[https://community-sitcom.fandom.com/wiki/Community_Wiki|커뮤니티 팬덤]] [각주] [[분류:커뮤니티(미국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