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캠퍼스물]][[분류:나무위키 웹소설 프로젝트]] [목차] == 개요 == 캠퍼스물은 [[대학]]을 배경으로 [[대학 생활]]을 다루는 [[학원물]]이다. == 특징 == 캠퍼스물은 대학교의 부지를 뜻하는 [[캠퍼스]]에서 파생된 단어로, [[중학교]], [[고등학교]]를 다루는 기존의 학원물과는 달리 [[대학]]을 배경으로 한 학원물 장르이다. [[대학 생활]]을 다루는 장르 특성 때문에 [[조별과제]], [[대동제]], [[캠퍼스 커플]], [[동아리]], [[총학생회]] 등 각종 대학 생활 관련 소재들이 스토리에서 활용되며, 같은 학원물이라는 카테고리로 분류되기는 하지만 중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하는 다른 학원물과는 분위기나 클리셰가 다르다. 일본, 미국보다는 [[한국]]에서 특히 활성화된 학원물 장르이다. 일본과 미국에서는 [[고등학교]] 배경 학원물이 훨씬 인기가 많기 때문에 대학교 배경인 캠퍼스물은 고등학교 배경 학원물보다 수가 적고 인기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한국에서는 고등학교 배경 학원물과 대학교 배경 캠퍼스물의 인기가 비등비등한 경우가 많다. 이는 [[입시 위주 교육]], [[주입식 교육]]으로 대표되는 한국의 교육환경 특성상 중고등학교보다는 대학교가 좀 더 자유로우며, [[동아리]], [[총학생회]] 등 [[학원물]]에서 주로 등장하는 클리셰와 설정을 국내에서는 중고등학교보다는 대학교에서 경험하기 쉽기 때문이다.[* 학교생활의 중요한 한 축이 되는 일본의 [[부활동]], 미국의 클럽 활동과 달리 한국 고교의 동아리는 입시에 매몰된 현실 속에서 요식행위 정도로 취급받는다.] 또한 80%에 달하는 한국의 높은 대학 진학율 때문에 대부분의 한국인이 [[대학 생활]]의 경험을 가지고 있어 공감가기 쉬운 소재라는 점도 있다. 일본의 캠퍼스물은 [[소년만화]], [[라이트 노벨]]보다는 주로 [[청년만화]]에서 다룬다. 물론 [[여친, 빌리겠습니다]], [[골든 타임(라이트 노벨)|골든 타임]], [[우리들의 리메이크]]처럼 예외도 있다. 또한 [[아청법]] 이슈로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처벌 대상#s-3.1|법 적용 대상이 아닌]] [[성인 웹소설]]에서까지 [[미성년자]] 캐릭터의 성관계 묘사를 지양하는 한국 [[성인물]] 환경 때문에 중고등학교 배경이 아닌 [[대학]] 배경이며, 등장인물이 전부 [[성인]]인 캠퍼스물 [[성인물]]이 많이 생산되는 경향도 있다. == 작품 목록 == * [[고시생툰]] - 연재 당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재학생인 작가의 임용고시 준비 시절 이야기. 이쪽은 대학생활은 대학생활인데 고시생의 대학생활이라 좀 피폐하다. 그래 놓고 작가는 한번에 붙은 건 함정. * [[공대생 너무만화]] - [[카이스트]]가 배경이며 [[최삡뺩]]의 기괴한 센스가 돋보인다. * [[나의 일러레님!]] * [[낢에게 와요]] - [[연세대학교]] 배경 자전적 스토리. * [[노다메 칸타빌레]] - 음대생 소재의 만화중에선 가장 유명하다. * [[논스톱 시리즈]] - '''거의 허위매물 [[사기]] 수준이다. 당시 대단한 인기를 끌었던 시트콤으로 대학 생활에 대한 환상을 부풀리는 데에 크게 기여했다.''' *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 3학년까지 나태한 대학생활을 보내던 주인공이 각자 4가지 동아리에 들어가며 달라지는 경우의 수를 네 개의 에피소드로 보여준다. [[평행세계]]적인 요소가 있다. * [[닥터 에그]] - 별다른 흥미 없이 지방대 의대에 가게 된 주인공의 의대생활 * [[닥터 프로스트]] - 주인공은 [[연세대학교]] 심리학과가 모티브인 용강대 심리학과의 교수이며 투탑 주인공은 교수의 학부생 조교로 심리학과 대학생활에 대한 이야기도 꽤나 나온다. * [[대학내일]], 캠퍼스라이프 - 대학 생활 관련 잡지이다. 무가지로 [[남성지]]나 [[여성지]]의 부분을 취합해 만든 듯한 느낌을 준다. 대학내일 표지모델은 당대의 트렌디한 미녀 여대생들이 많이 나왔다. * [[대학일기]] - [[수의대]]생의 대학 생활을 그린 [[네이버 웹툰]]. * [[도쿄 80's]] - 40대가 된 주인공이 회상하는 [[버블 경제|버블시대]]의 화려한 대학 생활. [[와세다대학]]이 배경이다. * [[동경대학 이야기]] - [[도쿄대학]]에 들어간 주인공의 방탕한 대학생활. 마지막에 크나큰 반전이 있다. * [[미쳐 날뛰는 생활툰]]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 다니는 아싸 웹툰 작가의 이야기. 스스로 대학생활을 꼰 끝에 점점 미쳐가는 묘사가 일품이다. * [[복학왕]] - [[지잡대]] [[기안대학교]]를 배경으로 [[똥군기]], 지잡대 비판하는 만화로 시작했으나 주인공도 졸업하고 기안대도 폐교 대상이 되면서 현실 비판으로 노선을 변경했--고 판타지스러운 설정이 판을 치면서 스토리가 점점 산으로 갔--다. *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 음악이 좋아서 대학 졸업 후 다시 대학에 들어온 늦깎이 음대생의 이야기. * [[블루 피리어드]] - 1~6권에서 미술대학 입시를 거친 끝에 7권부로 일본 최고봉인 [[도쿄예술대학]] 회화과에 들어간 주인공의 대학생활이 이어진다. * [[삶이 우리를 속일지라도]] - 늦깎이 미대생과 재벌 2세의 연애물. * [[성경의 역사]] - 음습한 대학생활. * [[소셜 네트워크]] - [[미국]] 최고의 [[하버드 대학교]]도 별반 다를 건 없다는 걸 보여준다. * [[소심한 팔레트]] - 미대생 이야기. * [[손의 흔적]] - 남의 메신저 내역을 훔쳐볼 수 있는 폰을 얻어버린 사악한 대학생의 이야기. * [[수학 잘하는 법]] - [[빅뱅이론]]보다도 수학 과학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 청춘 로맨스. * [[쓰레기 머학생]] - 작가가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출신이다. * [[어떤 게 사랑인지 모르겠어]] - 대학에 들어오자마자 동기, 선배들, 교수까지 홀린 마성의 신입생이 주인공인 [[백합(장르)|백합]] 만화. * [[어서오세요, 305호에!]] - 대학생들이 나오는 [[성소수자]]에 관한 만화. 원래는 대학생의 [[자취]] 스토리로 시작했다. * [[여친, 빌리겠습니다]] - 렌탈 여자친구를 소재로 한 만화로 주인공 [[키노시타 카즈야]]의 암걸리는 행적으로 유명하다. * [[연애의 정령]] - 인기라곤 없는 공대생들의 이야기. 모솔에게만 나타난다는 연애의 정령이 눈 앞에 보이면 그 해 안으로 연애를 못할 시 밤하늘의 별이 된다. 배경은 [[울산대학교]]를 차용한 듯. * [[오늘은 자체 휴강]] - [[계란계란]]의 살짝 판타지가 곁들여진 일상물. 작가가 다닌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가 주된 배경으로 나온다. * [[우리들의 리메이크]] * [[잉잉잉]] - 발표중 바지에 똥을 싸버린[* 후배의 농간으로 설사약을 먹었다.] 아싸 대학생 황준호의 앞에 인간성의 신이 나타나서 그의 대학생활을 구제해주는 이야기. * [[정글쥬스(웹툰)|정글쥬스]] - 정글쥬스라는 약에 노출되어 잠자리 인간이 되어버린 [[장수찬]]이 인간으로 돌아가기 위해 특수대학 '네스트'에서 과 수석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야기. 캠퍼스물에 학원배틀물과 바이오펑크의 요소가 적절히 혼합돼 있다. * [[찌질의 역사]] - 40대가 된 주인공이 20대를 회상하는 이야기로 [[홍익대학교]] 국문과가 배경이며 주인공이 실제로 매우 찌질하다. * [[찬란하지 않아도 괜찮아]] - 삶이 피폐한 가난한 철학과 학생이 연극부에 들어가 겪는 일. * [[청춘시대]] - [[연세대학교]] 등 [[신촌]]의 대학들을 배경으로 한 여대생 5명의 [[쉐어하우스]] 이야기. * [[치얼업]] - [[연세대학교]] 응원단 아카라카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 * [[카이스트(드라마)]] - [[카이스트]] 학생들의 학교 생활과 우정, 사랑을 그린 90년대 고전 드라마. 실제로 카이스트생들 중에는 어린 시절 해당 드라마를 보고 카이스트를 목표로 잡았던 학생들이 의외로 많다. 물론 이쪽도 실제와는 다소 차이가 있긴 했다. * [[커뮤니티(미국 드라마)|커뮤니티]] - 시트콤. 일반적인 캠퍼스물은 아니다. * [[핑크레이디]] - 미대생 연애만화. * [[허니와 클로버]] - 역시 미대생 연애만화다. * [[현시연]] - 대학 오덕 동아리 이야기로, 이 만화 역시 오타쿠 동아리에 대한 환상을 심어주는 작품으로 유명하지만 [[현실은 시궁창]]이다. * [[GO! 히로미 GO!]] - [[도쿄대학]]이 배경. 가고시마 깡촌에서 상경한 여대생 히로미의 이야기. * [[별이 빛나는 우리]] - 농촌 캠퍼스를 배경으로 청춘들의 성장과 로맨스, 미스터리를 그리는 드라마 === 로맨스 === * [[건축학개론(영화)|건축학개론]] - [[연세대학교]] 배경. 이뤄지지 못한 첫사랑의 아련한 추억을 다뤄 이후로는 그런 첫사랑의 대명사가 된 영화다. * [[고마워 다행이야]] - 캠퍼스 막장 라이프를 보여주는 만화. [[나도 만질거야]]로 유명한 그 만화이다. * [[골든 타임(라이트 노벨)|골든 타임]] - 시골에서 도쿄로 상경한 재수생이 대학에 들어와 부잣집 아가씨를 만나는 이야기다. * [[교환학생(웹툰)|교환학생]] - 대학에 못 간 주인공 곽용철[* 이름은 남자 같지만 여자이다.]이 대학생의 신분증을 줍고서 어쩌다 '가짜 대학생' 생활을 하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 * [[내 ID는 강남미인]] - 못생긴 얼굴 때문에 힘든 삶을 살던 [[강미래]]가 얼굴을 전부 뜯어고치고서 시작하는 대학생활. * [[러브스토리 인 하버드]] - 국내 드라마인데 놀랍게도 배경이 [[하버드 대학교]]다.[* 그런데 촬영은 [[UCLA]], [[USC]]에서 했다고 한다.] 하버드 로스쿨에 다니는 남주와 하버드 의대에 다니는 여주의 이야기. * [[엽기적인 그녀]] - 지하철에서 왈가닥인 '그녀'를 만난 대학생 '견우'의 이야기로 상큼한 로맨틱 코미디 영화이다. 로케이션으로 [[연세대학교]]가 나온다. 한국과 특히 중화권에서 선풍적 인기를 얻었다. * [[우리가 사귀어도 괜찮을까]] - 대학 밴드부 및 [[백합(장르)|백합]] 연애만화. 극현실주의 동성연애만화로 유명하다. * [[우리사이느은]] * [[응답하라 1994]] - [[연세대학교]]와 [[신촌]]을 주된 배경으로 한다. 주연들이 전부 연대생이며 주인공 집안은 신촌에서 하숙집을 운영. * [[이두나!]] - 전직 아이돌 [[이두나(이두나!)|이두나]]와 엮이는 대학생 김원준의 행복한 학교생활. * [[치즈인더트랩]] - 복학왕과는 달리 명문대[* 원작에선 양대 사립 명문 중 하나인 A대학 경영학과, 드라마에선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으로 설정.]가 배경이며 대학에 대한 환상--[[유정(치즈인더트랩)|유정 선배]]--과 불안감--[[오영곤]], [[김상철(치즈인더트랩)|김상철]]--을 동시에 심어주는 기묘한 만화. == 관련 문서 == * [[캠퍼스]] * [[대학]] * [[대학 생활]] * [[학원물]]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대학 생활, version=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