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22년 시즌, rd1=캔자스시티 로열스/2022년)] [include(틀:MLB)] ||<-2> [[파일:캔자스시티 로열스 화이트 로고.svg|width=50%]] || [[파일:캔자스시티 로열스 엠블럼.svg|width=50%]] || ||<-2> 모자 로고 || 구단 로고 || ||<-3> '''{{{+1 캔자스시티 로열스}}}''' || ||<-3> '''{{{#000000 {{{+1 Kansas City Royals}}}}}}''' || || '''창단''' ||<-2>[[1969년]]^^([age(1969-01-01)]주년)^^|| || '''연고지''' ||<-2>[[미주리]] [[캔자스시티 #s-2.1|캔자스시티]]|| || '''연고지 변천''' ||<-2>'''[[캔자스시티 #s-2.1|{{{#004687 캔자스시티}}}]] (1969~)'''|| || '''구단명 변천''' ||<-2>'''{{{#004687 캔자스시티 로열스}}} (1969~)'''|| || '''소속 변천''' ||<-2>'''{{{#004687 아메리칸 리그}}} (1969~)''' [br] - [[아메리칸 리그/서부 지구|서부 지구]] (1969~1993) [br] '''- [[아메리칸 리그/중부 지구|중부 지구]] (1994~)'''|| || '''홈 구장''' ||<-2>[[캔자스시티 뮤니시펄 스타디움|뮤니시펄 스타디움]] (Municipal Stadium, 1969~1972)[* 71년까지 [[NFL]] [[캔자스시티 치프스]]와 공용] [br] '''[[카우프만 스타디움|{{{#004687 카우프만 스타디움}}}]] (Kauffman Stadium, 1973~)'''|| || '''구단주''' ||<-2>존 셔먼 (John Sherman)|| || '''사장'''[* 공식 직함은 'President of Baseball Operations'.] ||<-2>공석|| || '''단장''' ||<-2>J.J 피콜로 (J.J. Picollo)|| || '''감독''' ||<-2>[[맷 콰트라로]] (Matt Quatraro)|| || '''역대 한국인 마이너 선수''' ||<-2>[[송승준]] (2006) [br] [[신진호(야구선수)|신진호]] (2010~2015) [br] [[진우영]] (2019~2021) [br] [[엄형찬]] (2023~) || || '''로컬 경기 중계''' ||<-2>[[Bally Sports|Bally Sports Kansas City]]|| || '''약칭''' ||<-2>'''{{{#ffffff {{{+1 KC}}}}}}'''|| ||<-3> [[https://www.mlb.com/royals|[[파일:캔자스시티 로열스 로고.svg|width=25]]]] | [[https://www.facebook.com/Royal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Royals, 크기=25)] | [[https://instagram.com/kcroyal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com/c/royal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3> '''{{{#000000 우승 기록}}}''' || || '''[[월드 시리즈|{{{#ffffff 월드 시리즈}}}]]'''[br](2회) ||<-2>'''[[1985년 월드 시리즈|1985]]''', '''[[2015년 월드 시리즈|2015]]'''|| || '''[[아메리칸 리그|{{{#ffffff 아메리칸 리그}}}]]'''[br](4회) ||<-2>[[1980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1980]], [[1985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1985]], [[2014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2014]], [[2015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2015]]|| || '''지구'''[br](8회) ||<-2>1976, 1977, 1978, 1980, 1981[* AL 서부지구 후기리그 우승], 1984, 1985, 2015|| || '''와일드카드'''[br](1회) ||<-2>2014|| ||<-3> '''{{{#000000 포스트시즌 진출}}}'''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월드 시리즈|{{{#ffffff 월드 시리즈}}}]]''' ||<-2>[[1980년 월드 시리즈|1980년]], '''[[1985년 월드 시리즈|1985년]]''', [[2014년 월드 시리즈|2014년]], '''[[2015년 월드 시리즈|2015년]]''' || || '''[[챔피언십 시리즈|{{{#ffffff 챔피언십 시리즈}}}]]''' ||<-2>[[1976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1976년]], [[1977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1977년]], [[1978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1978년]], '''[[1980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1980년]]''', [[1984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1984년]], '''[[1985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1985년]]''', '''[[2014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2014년]]''', '''[[2015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2015년]]''' || || '''[[디비전 시리즈|{{{#ffffff 디비전 시리즈}}}]]''' ||<-2>[[1981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1981년]], '''[[2014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2014년]]''', '''[[2015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2015년]]''' || || '''[[와일드카드 시리즈|{{{#ffffff 와일드카드 시리즈(게임)}}}]]''' ||<-2>'''[[2014 아메리칸 리그 와일드카드 게임|2014년]]''' || }}}}}}}}}}}} || ||<-3> '''{{{#000000 팀 컬러 / 유니폼}}}'''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ffffff 팀 컬러}}}''' || ||<-3> 로열블루{{{+5 {{{#004687 ■}}}}}} 금색{{{+5 {{{#C09A5B ■}}}}}} 라이트블루{{{+5 {{{#7AB2DD ■}}}}}} 흰색{{{+5 □}}} || ||<-3> '''{{{#ffffff 유니폼}}}''' || || [[파일:Royals_Cap_2002.png|width=100%]] || [[파일:Royals_Home_Jersey_2022.jpg|width=100%]] || [[파일:Royals_Away_Jersey_2022.jpg|width=100%]] || || '''Cap''' || '''Home''' || '''Away''' || || [[파일:Royals_Alternate1_Jersey_2022.jpg|width=100%]] || [[파일:Royals_Alternate2_Jersey_2022.jpg|width=100%]] ||<|2> [[|[[파일:캔자스시티 로열스 로고.svg|width=60%]]]] || || '''Alt1''' || '''Alt2''' || }}}}}}}}}}}} || ||<-3> '''[[월드 시리즈|{{{#000000 월드 시리즈 우승 연혁}}}]]'''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1985년 월드 시리즈|{{{#ffffff 1985년 월드 시리즈 우승팀}}}]]''' || || 1984[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 '''캔자스시티 로열스''' || → || 1986[br][[뉴욕 메츠]] || ||<-5> '''[[2015년 월드 시리즈|{{{#ffffff 2015년 월드 시리즈 우승팀}}}]]''' || || 2014[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 '''캔자스시티 로열스''' || → || 2016[br][[시카고 컵스]] || }}}}}}}}}}}} || ||<-3> '''{{{#000000 프랜차이즈 팀 기록}}}''' || || '''최고 승률''' ||<-2>'''.630''' - (1977년 162경기 102승 60패)|| || '''최다 승''' ||<-2>'''102승''' - (1977년 162경기 102승 60패)|| || '''최다 패''' ||<-2>'''106패''' - (2005년 162경기 56승 106패)|| || '''최다 관중''' ||<-2>'''2,708,549명''' - 2015년|| || '''최고 계약''' ||<-2>'''$82,000,000''' - 2021년 [[살바도르 페레즈]]|| [목차] == 개요 == [[MLB]]의 [[아메리칸 리그/중부 지구]] 소속 프로[[야구]]단. 연고지는 [[캔자스시티 #s-2.1|캔자스시티]]. 팀 이름이 [[캔자스시티]]라서 [[캔자스]] 주에 있는 줄 아는 사람이 많은데, 캔자스시티는 [[미주리]] 주에 있다.[* [[캔자스시티]]는 [[캔자스]]-[[미주리]] 주 경계에 걸쳐서 같은 이름의 별개의 2개 도시가 있다. 다만 [[분단 도시]]는 아니고 원래 서로 다른 주에 속했던 별개의 도시로, 도시 규모는 미주리 주 캔자스 시티(KCMO)가 캔자스주 캔자스시티(KCK)보다 크다. 즉, 로얄스는 미주리 주 캔자스 시티의 구단. 단, 로열스는 두 주에서 모두 마케팅을 펼친다. 인터리그에서는 [[미주리]] 주 라이벌인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 매년 만나는데 두 팀의 대결은 양 도시를 잇는 국도 이름인 I-70 시리즈라는 별명이 붙어있다. [[1985년 월드 시리즈]]는 이 두 팀의 인터리그 맞대결 중 가장 치열했고 커다란 대결이었다.] 그래도 실질적인 연고지는 캔자스 주라고 봐도 문제없다. 미주리는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가 꽉 잡고 있어서 로열스는 실질적으로 캔자스 주를 팬 베이스로 거느리고 있다.[* 그래서인지 '슈퍼맨' [[클라크 켄트]]가 이 구단의 팬으로 설정되어 있다. 영화 [[맨 오브 스틸]]에서 그가 입고 다니는 옷도 로열스 티셔츠이다. 영화 내에서도 자기는 캔자스에서 자라난 미국인이라고 말한다.]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초중반까지는 [[뉴욕 양키스]]와 라이벌 구도를 이룰 정도로 잘 나가던 구단이었고 1985년에는 우승도 해봤지만, 이후 '''28년 연속 [[포스트 시즌]] 진출 실패'''라는 처참한 성적, 스타 선수의 부재, 스몰마켓 팀으로 미디어 노출이 적은 점 등으로 국내에서는 팬이 거의 없는 비인기 구단이었다.[* 의외로 2000년대 초반에 한국어 팬 페이지가 존재했다.] 오죽하면 한국 팬들에게 불리는 멸칭도 폐족(廢族). 하지만 2010년대 중반, 특유의 유일무이한 팀 컬러[* 철벽 불펜, 수비력, 주력, 똑딱이 타선.]로 2014년 29년 만의 포스트시즌 진출과 동시에 [[월드시리즈]] 준우승, 2015년 월드 시리즈 우승을[* 이게 아주 극적인 우승인게 우승 적기였던 2014년에는 [[매디슨 범가너]] 1명 때문에 준우승에 그쳤었는데 다음 해인 2015년에는 주요 전력이 대거 FA로 빠지기 전에 우승했다.] 차지한 뒤로는 별칭 귀족네라는 호칭이 증가했다. 무엇보다 이 팀의 열혈팬인 한국인 [[이성우(야구팬)|이성우]] 씨[* 신세계그룹 MD. 평범한 직장인이었으나 국내 비인기구단이자 약팀의 대명사였던 이 팀을 지속적으로 응원해 오신 한 사실이 2014년 월드시리즈에서 부각되며 유명해지신 분이다.]가 현지에서도 부각되면서 캔자스시티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다만 스몰마켓 구단의 한계로 인해 팀의 주축 선수들을 잡는 데 실패하였고, 따라서 현재는 다시 폐족 모드로 돌아온 상태다. 메이저리그에서는 드물게 전통적으로 [[스몰볼]]을 추구하는 팀이다. 홈구장인 [[카우프만 스타디움]]의 외야가 많고 많은 메이저리그 구장 중에서도 가장 넓은 축에 속하고, 팀 사상 최고의 시즌인 2014~15년에도 장타력은 형편없지만 기동력과 수비력을 중시하는 팀 컬러로 성공을 거두기도 했다.[* 2015시즌 팀 전체 홈런 수가 고작 아메리칸리그 14위, 즉 뒤에서 2등이었다.] 그런고로 2019년이 돼서야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40홈런 타자를 배출했다.[* [[호르헤 솔레어]], 48개, 홈런왕.][* 2010년 중반에는 타격 툴이 사실상 없는 전문 대주자 [[테렌스 고어]]를 1군에 콜업하기도 했다. 현재도 [[위트 메리필드]], [[아달베르토 몬데시]] 등 발 빠른 타자들을 키워내고 있으며, [[빌리 해밀턴(1990)|빌리 해밀턴]]을 영입하기도 했다. ~~발로 일낸다~~] == [[캔자스시티 로열스/역사|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캔자스시티 로열스/역사)] == 이모저모 == === 라이벌 === 같은 지구 터줏대감으로 군림한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는 요근래 라이벌 구도. 2014년에는 두 팀이 1위 쟁탈전을 치열하게 펼치는지라 최근 라이벌 구도가 더 강해졌다. 같은 지구 다른 팀들과도 라이벌 관계. 인터리그 라이벌로는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미주리]] 주에 나란히 있는 이웃도시인데다 국도를 타고 갈 수 있다. 또한 1985년 월드 시리즈로 인해 양쪽은 대립각이 생겨나 이제는 양쪽을 잇는 국도 이름을 딴 I-70 시리즈라는 정기적 인터리그 라이벌 매치를 펼친다. === 홈 구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우프만 스타디움)] === 영구결번 === [include(틀:캔자스시티 로열스 영구결번)] 영구 결번이 굉장히 짠 편이다. 추모의 의미로 영구 결번된 딕 하우저를 빼면 선수들 중 영결이 2명인데, 둘 다 팀을 대표하는 프랜차이즈 스타이자 원 클럽 맨이다. 현역 선수 중에는 [[살바도르 페레즈]](13번)가 원 클럽 맨으로 은퇴하거나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명예의 전당]]에 입성하게 되면 영구결번이 유력하며, [[잭 그레인키]](23번)의 경우, 팀에 얼마 없는 명전급 투수인 것은 맞지만 영구결번이 될 만큼의 성적을 쌓지는 못했고 원클럽맨이 아니라서 영구결번 가능성이 높지 않다. 이외에는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이던 [[알렉스 고든]]의 4번과 [[마이크 스위니]], 댄 퀴즌베리 선수가 사용했던 29번이 현재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젊은 나이에 교통사고로 안타깝게 요절한 [[요다노 벤추라]]의 30번도 2021년 [[대니 더피]]를 마지막으로 아무도 달지 않고 있다. '''5. [[조지 브렛]](George Brett)''': 로열스의 영웅. 서로 다른 3개의 10년대(decade), 즉 3세대에 걸쳐 타격왕에 오른 타격의 달인.[* 1976, 1980, 1990] 21년간 팀을 위해 헌신하며, 3루수로 공격력을 발휘, 팀의 첫 우승과 전성기를 앞장서서 이끌었던 로열스 역사상 최고의 스타. [[필라델피아 필리스]]에서 거포로 활약했던 [[마이크 슈미트]]와 함께 양대리그의 대표 3루수로 군림했다. 로열스 모자를 쓰고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명예의 전당]]에 들어간 역사상 첫 선수이기도 하다. 로열스의 팀내 타격 기록 거의 대부분에서 아직도 1위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 '''10. [[딕 하우저]](Dick Howser)''': 팀의 첫 우승 당시 감독이었는데, 안타깝게도 감독 재직 도중 뇌종양으로 1987년 일찍 타계했다. 그의 업적을 기억하고, 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영구 결번 처리되었다. 대학야구에도 그의 이름을 딴 상이 있다. '''20. [[프랭크 화이트]](Frank White)''': 메이저리그를 대표하는 수비형 2루수로서 18년 동안 로열스에 헌신한 원 클럽 맨. 비록 타격이 부족했던 탓에 명예의 전당 입성은 실패했지만, 8번의 골드글러브에서 알 수 있듯이 수비력만큼은 확실히 검증되었던 선수였다. 42. [[재키 로빈슨]](Jackie Robinson): 전 구단 영구결번. == 계약 중인 [[마이너리그]] 구단 == === 트리플 A === [include(틀:오마하 스톰 체이서스/로스터)] |||| [[파일:오마하 스톰 체이서스 엠블럼.svg|width=230]] || ||||<#003b7b> {{{#ffffff 오마하 스톰 체이서스 }}} || ||||<#c9af74> {{{#000000 Omaha Storm Chasers }}} || || 창단 || 1969년 || || 계약년도 || 1969년 || || 소속리그/지구 || 인터내셔널 리그 서부지구 || || 연고지 || [[네브래스카]] 주 파필리언 || || 홈 구장 || [[워너 파크]] || === 더블 A === |||| [[파일:노스웨스트 아칸소 내추럴스 엠블럼.svg|width=230]] || ||||<#002244> {{{#ffffff 노스웨스트 아칸소 내추럴스 }}} || ||||<#c60c30> {{{#ffffff Northwest Arkansas Naturals }}} || || 창단 || 2008년 || || 계약년도 || 1995년 || || 소속리그/지구 || 텍사스 리그 북부지구 || || 연고지 || [[아칸소]] 주 스프링데일 || || 홈 구장 || 어베스트 볼파크 || === 싱글 A === ==== 하이 싱글 A ==== ||||[[파일:퀘이드시티 리버밴디츠 엠블럼.svg|width=250]] || ||||<#000000> {{{#f2c800 퀘이드시티 리버밴디츠 }}} || ||||<#8c8b8a> {{{#870619 Quad Cities River Bandits }}} || || 창단 || 1901년 || || 계약년도 || 2021년 || || 소속리그/지구 || 미드웨스트 리그 서부지구 || || 연고지 || [[아이오와]] 주 대븐포트 || || 홈 구장 || 모건 우드맨 파크 || ==== 로우 싱글 A ==== |||| [[파일:컬럼비아 파이어플라이스 엠블럼.svg|width=220]] || ||||<#002e5f> {{{#b3b3b3 컬럼비아 파이어플라이스 }}} || ||||<#d9e409> {{{#002e5f Columbia Fireflies}}} || || 창단 || 1984년 / 2016년 || || 계약년도 || 2021년 || || 소속리그/지구 || 사우스 애틀랜틱 리그 남부지구 || || 연고지 ||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컬럼비아 || || 홈 구장 || 스피릿 커뮤니케이션 파크 || === 루키 === |||| [[파일:캔자스시티 로열스 엠블럼.svg|width=200]] || ||||<#004687> {{{#ffffff ACL 로열스 }}} || ||||<#c09a5b> {{{#ffffff ACL Royals }}} || || 창단 || 2003년 || || 계약년도 || 2003년 || || 소속리그/지구 || 애리조나 컴플렉스 리그 [br] Arizona Complex League || || 연고지 || [[애리조나]] 주 [[피닉스(도시)|피닉스]] (2009~) || || 홈 구장 || 서프라이즈 스타디움 || 두개의 스쿼드로 나눠서 리그에 참여하며, 로열스의 색에서 따와 각각 ACL 로열스 블루, ACL 로열스 골드로 부른다. == 40인 로스터 목록 == [include(틀:캔자스시티 로열스/로스터)] == 관련 링크 == * [[http://www.baseball-reference.com/teams/KCR/|역대 팀 성적]] [각주][[분류:캔자스시티 로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