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Caster}}} 사전적 의미: 1. 던지는 사람; 계산자; 배역(配役)계 담당; 주조자, 주물공(鑄物工); 투표하는 사람 1. (피아노·의자 등의) 다리 바퀴 1. 양념병; 양념병대(臺) == 중계 방송에서 진행을 맡는 인물을 지칭하는 단어 == || [youtube(S_A5ncFza5k)] || || 캐스터와 해설자의 역할 차이에 관한 [[정소림]]의 설명[* 게임 중계에 관한 이야기이지만 애초에 게임 중계가 스포츠 중계에서 그 포맷을 가져온 것이기 때문에 전반적인 것들은 게임 중계나 스포츠 중계나 동일하다.] || 특히 스포츠 방송의 진행자를 캐스터라고 하며, 뉴스의 경우는 [[앵커#s-4|앵커]]로 칭한다. 캐스터(キャスター)는 [[재플리시|일본식 영어]]로 실제로는 play-by-play announcer라고 하며[[http://englishsamsam.tistory.com/88|#]], 해설은 color commentator라는 호칭을 쓴다. 영국과 일부 영연방 국가에서는 캐스터를 코멘테이터(Commentator), 해설을 코-코멘테이터(Co-Commentator)로 호칭한다. 해설과는 엄연히 구분되며, 캐스터의 역할은 해설 간의 호흡을 조절하고 전체적인 진행을 매끄럽게 이끌어가는 것이 역할이다. 흔히 캐스터는 게임의 흥미와 진행을 위한 포지션일 뿐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 없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해설과의 호흡, 그리고 게임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전달을 위해서는 해설보다는 아니더라도 당연히 어느 정도 전문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캐스터의 본고장으로 불리우는 영국에서는 전직 선수 혹은 스포츠 기자가 캐스터를 맡는 경우가 흔하다. 특히, BBC같은 경우 라디오 스포츠 캐스터의 대부분이 기자직과 겸업을 한다. 또한 스티브 크램(육상 올림픽 메달리스트)과 같이 전직 유명 선수들이 해설자가 아닌 코멘테이터(캐스터)로 전향해 활동하기도 한다. 대한민국에도 과거에 존재한 경기, 인천 지역 독립민영방송 [[경인방송]]에서 2000년부터 일부 스포츠 캐스터를 기자와 겸임시켜 전문성을 높이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정지원, 이상우가 아나운서에서 기자로 전직하면서도 계속 캐스터를 맡았고 지금은 MBC스포츠플러스에 재직중인 한명재도 과거 한 인터넷 방송에 출연해 ITV로 직장을 옮겼을 때는 기자로 직종을 변경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물론 그도 NBA 중계 등 캐스터를 맡았다. 사실 뉴스 앵커도 보도국 기자들이 전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방송국에 속한 기자가 캐스터를 하는 것이 그렇게 특수한 경우는 아니지만 국내 방송사들은 주로 자사 아나운서를 기용한다. 간혹 캐스터가 해설을 맡은 경우도 있다. === 방송사별 소속 캐스터 === (가나다 순 정리) * [[KBS]] - [[강승화]], [[김종현(아나운서)|김종현]], [[김진웅(아나운서)|김진웅]], [[김현태(아나운서)|김현태]], [[남현종]], [[유지철(아나운서)|유지철]], [[이광용]], [[이영호(아나운서)|이영호]], [[이재후]], [[장웅(아나운서)|장웅]], [[최승돈]] * [[MBC]] - [[김나진]], [[김민호(아나운서)|김민호]], [[박창현(아나운서)|박창현]], [[서인(아나운서)|서인]], [[엄주원]], [[이선영(MBC)|이선영]], [[이성배]], [[이휘준]], [[정영한(아나운서)|정영한]] * [[SBS]] - [[김윤상]], [[이인권]], [[정석문]] * [[KBS N SPORTS]] - [[강성철]], 강준형, [[권성욱]], [[김기웅]], [[신승준]], [[이기호(아나운서)|이기호]], [[이동근(아나운서)|이동근]], [[이호근]] * [[MBC SPORTS+]] - [[김수환(아나운서)|김수환]], [[손우주]], [[신승대]], [[정병문]], [[정유준(아나운서)|정유준]] * [[SBS Sports]] / [[SBS Golf]] - [[김재형(아나운서)|김재형]], [[안현준(아나운서)|안현준]], [[유희종]], [[윤성호(아나운서)|윤성호]], [[이재형(아나운서)|이재형]], [[이준혁(아나운서)|이준혁]], [[장유례]], [[정우영(아나운서)|정우영]], [[조민호]], [[한형구]] * [[SPOTV]] - [[김명정]], [[김민수(아나운서)|김민수]], [[김민준(아나운서)|김민준]], [[김형책]], [[변효성]], [[양동석]], [[이승현(캐스터)|이승현]], [[조주영(아나운서)|조주영]], [[최두영]] * [[JTBC]] - 이진욱, [[임경진]] * [[IB SPORTS]] - [[김태우(1979)|김태우]], 정승호, [[정찬우(아나운서)|정찬우]], 홍석준, [[홍석현(아나운서)|홍석현]] * 프리랜서 - [[김성주]], [[김용남(캐스터)|김용남]], [[김정근(아나운서)|김정근]], [[김환(방송인)|김환]], [[박봉서]], [[박용식(아나운서)|박용식]], [[박종윤(축구해설가)|박종윤]], [[배기완]], [[박찬민]], [[배성재]], [[서기철]], [[성승헌]], [[소준일]], [[유수호(1947)|유수호]], [[윤장현(캐스터)|윤장현]], [[이승륜]], [[이인환]], [[이종우(캐스터)|이종우]], [[임용수]], [[정용검]], [[전인석]], [[조우종]], [[조정식(아나운서)|조정식]], [[최기환]], [[조건진]], [[한명재]], [[한종희]] * 은퇴/활동 중단 - [[김용(아나운서)|김용]], [[손범규(아나운서)|손범규]], [[송인득]], [[양진수]], [[유수호(1947)|유수호]], [[유협(아나운서)|유협]], [[임주완]], [[정도영(아나운서)|정도영]], [[정지원(스포츠 캐스터)|정지원]], [[최춘식(아나운서)|최춘식]], [[표영준]] 등 * 해외 현역 - 밥 코스타스, [[조 벅]], [[케빈 할란]], [[앨 마이클스]], [[마이크 티리코]], [[짐 낸츠]] 등 * 해외 은퇴 - [[빈 스컬리]], [[잭 벅]], [[마브 앨버트]], [[마틴 타일러]] === [[e스포츠]] 캐스터 === 게임 캐스터라고도 불린다. 초창기 종목 [[스타크래프트]]를 시작으로 생겨났으며 현재까지 e스포츠와 역사를 같이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직업으로 삼기 상당히 힘든 직업이기도 하다. 일단 게임은 다양하지만 주목받는 대회나 방송사는 적은 편이라 신입으로 들어가기도 힘들며 젊은 층이 즐기는 특성상 연륜있는 진행 능력에 더해 젊은 세대의 감각까지 갖춰야 한다. 또한 해설에만 집중해도 되는 해설자와는 달리, 캐스터는 게임의 흐름을 이해하면서 좋은 장면을 잡아주는 것과 동시에 서브 해설까지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어마어마하다. 게다가 대부분 좌우에 해설자를 두고 정중앙에서 진행하기 때문에 가장 부담감이 큰 중계자이다. 또한 [[하마코]]에서 캐스터를 진행해본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의 말에 따르면 게임 캐스터란 직업은 처음 진행하는 자리라고 하더라도 '''무조건 잘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다고 한다. 대중들의 상당히 엄격한 시선이 있으며 이것은 현재 최고로 평가받는 [[전용준]]의 항목에서조차 비판점이 서술된 것으로도 알 수 있다. * [[김수현(아나운서)|김수현]] - 전 [[SPOTV GAMES]] * [[김영일(캐스터)|김영일]] - 전 [[인벤방송국]], 현 프리랜서 * [[김익근]] - 전 [[곰TV]] * [[김의중]] - 전 [[나이스게임TV]], 현 프리랜서 * [[김정민]] - 전 [[OGN]], 현 프리랜서. 원래 해설로 중계를 시작하였으나 이제는 캐스터로서도 완전히 자리잡았다. * [[김철민(게임 캐스터)|김철민]] - 전 [[MBC GAME]], [[SPOTV GAMES]], 현 [[아프리카TV]] * [[락동민|박동민]] - 프리랜서 * [[박상현(캐스터)|박상현]] - 전 [[MBC GAME]], [[OGN]], [[MBC SPORTS+]] 현 [[아프리카TV]] * [[박한얼]] - 전 [[나이스게임TV]], 현 프리랜서 * [[성승헌]] - 전 [[온게임넷]], [[SPOTV GAMES]], 현 프리랜서 * [[심지수]] - 현 [[WDG]] * [[안승용]] - 현 [[WDG]] * [[유대현]] - 전 [[SPOTV GAMES]] * [[이동진(방송인)|이동진]] - 전 [[OGN]], 현 [[아프리카TV]] * [[이종우(캐스터)|이종우]] - 전 [[SPOTV]], 현 프리랜서 * [[이현주(게임 캐스터)|이현주]] - 전 [[MBC GAME]], [[곰TV]] * [[임동석#s-1]] - 전 [[경인방송]], [[온게임넷]] * [[전용준]] - 전 [[OGN]], 현 프리랜서 * [[정소림]] - 전 [[OGN]], [[SPOTV GAMES]], [[MBC SPORTS+]], 현 프리랜서 * [[정일훈(방송인)|정일훈]] - 전 [[온게임넷]] * [[채민준]] - 전 [[SPOTV GAMES]], 현 프리랜서 * [[허준(게임 캐스터)|허준]] - 전 [[OGN]] == [[일본담배산업]](JT)의 [[담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캐스터(담배))] == 대한민국의 [[하스스톤]] 플레이어 박종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종철(하스스톤))] == 창작물 == === [[RPG]], [[MMORPG]]에서 주문을 사용하는 직업을 가리키는 말 === 스펠캐스터(spellcaster)의 약자. 마법, 주문 등을 사용하는 직업을 통칭한다. 주로 [[마법사]], [[사제(성직자)|사제]] 등이 전통적인 캐스터다. 일반적인 게임에서 [[궁수]]나 [[총잡이]]를 제외한 모든 원거리 직업은 캐스터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전통적인 역할은 마법을 통한 극딜과 서폿. 보호를 잘 받으면 다른 원거리 직업보다 강력하지만,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제자리에서 정신 집중(casting)하는 경우가 많기에 혼자서는 매우 무력해지는 경우가 많다. 몇몇 작품들에서는 마법사 뿐만 아니라 초능력자나 과학기술 등을 응용하여 다재다능한 전술을 사용하는 캐릭터에게도 캐스터라는 호칭을 붙인다. 이 경우에는 전술한 형태와 달리 오히려 [[트릭스터]]에 가까운 모습을 보인다. * 문서 참고: [[대미지 딜러]], [[극딜]] === [[Fate 시리즈]]에 등장하는 [[서번트(Fate 시리즈)|서번트]]의 분류 명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캐스터(Fate 시리즈))] === [[클로저스]] 플레이어블 캐릭터 [[이슬비(클로저스)|이슬비]] 클래스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슬비(클로저스))] [[분류:동음이의어]][[분류:영어 단어]][[분류:게임 직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