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캐나다 상원의 원내 구성)] [include(틀:캐나다 평민원의 원내 구성)] ||<-2> [[파일:캐나다 자유당 로고.svg|width=85%]] || ||<-2> {{{#ffffff '''Liberal Party of Canada[br]Parti libéral du Canada'''}}} || || '''한국어 명칭''' ||캐나다 자유당|| || '''영어 명칭''' ||Liberal Party of Canada|| || '''프랑스어 명칭''' ||Parti libéral du Canada|| || '''창당일''' ||[[1867년]][* 연합 자유당까지 올라가면 1861년로 간주되기도 한다.]|| || '''이념''' ||[[자유주의]] ([[캐나다의 자유주의|캐나다]])[br][[사회자유주의]]|| || '''스펙트럼''' ||[[중도주의|중도]] ~ [[중도좌파]]|| || '''당 색''' ||[[빨간색]]|| || '''주소''' ||캐나다 [[온타리오]] 주 [[오타와]][br]Suite 920 350 Albert Street, K1P 6M8|| || '''당대표''' ||[[쥐스탱 트뤼도]][* 2013년 4월 14일 대표직 당선. [[퀘벡 주]] 파피노 선거구 의원.]|| || '''총재''' ||수잔 코완(Suzanne Cowan)|| || '''국제조직''' ||[include(틀:자유주의 인터내셔널)]|| || '''청년조직''' ||캐나다의 젊은 자유당|| || '''상원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47216 0.0%, transparent 0.0%)" {{{#fff '''0석[*A 44대 국회, 2021년 9월 23일 기준][* 2013년 당대표에 취임한 쥐스탱 트뤼도 의원이 2014년 "연방상원의 당파성을 완화하겠다"고 밝히며 자유당 소속 연방 상원의원 전원을 상원 자유당 교섭단체에서 일괄 탈당 처리했다. 다만 해당 조치로 무소속이 된 상원의원들이 '독립 상원 그룹'이라는 교섭단체를 신설하여 다시 뭉쳤기 때문에, 사실상 이들이 자유당 몫 상원의원 역할을 그대로 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 105석 (0%)'''}}}}}} || || '''하원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71920 46.4%, transparent 46.4%)" {{{#fff '''160석[*A] / 338석 (47.3%)'''}}}}}} || || '''웹사이트''' ||[[https://www.liberal.ca|영어]] / [[https://www.liberal.ca/fr/|프랑스어]]|| || '''SNS''' ||[[https://www.facebook.com/LiberalC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liberal_party, 크기=20)] [[https://www.snapchat.com/add/liberalca|[[파일:스냅챗 로고.svg|width=20]]]] [[http://instagram.com/liberalc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www.youtube.com/user/liberalvide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캐나다 자유당은 캐나다에서 가장 오래된 정당이자 현 집권 [[여당]]이다. 사민주의 계열의 진보야당들도 있기에 일각에선 중도정당으로 분류하기도 한다지만 엄연히 캐나다 개혁 진영을 대표하는 정당이다. 특히 [[캐나다 보수당|보수당]][* [[20세기]]엔 [[캐나다 진보보수당]]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주 단위의 보수정당은 지금도 다수가 진보보수당이라는 이름을 고수하고 있다. [[매니토바]], [[뉴브런즈윅]], [[온타리오]],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노바스코샤]] 주가 이에 해당된다.) 그러나 1993년 총선에서 개혁당에게 밀려 군소정당으로 전락했고 이후로도 세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가, 2000년 개혁당에서 이름을 바꾼 캐나다 동맹당(Canadian Alliance)과 2003년에 합당을 해서 지금의 캐나다 보수당이 탄생했다.]보다 훨씬 오래집권했고[* 캐나다에서 가장 오래 집권한 정당이다. 20세기 기준 총합 69년이나 집권했는데, 이는 선진 민주주의 국가 중에선 최장 집권 기록이다.] 그 영향으로 오늘날 캐나다의 사회정책이 미국보다 훨씬 진보적인 색채를 띄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북미권 리버럴 정당들을 유럽 사민주의 정당들에 비해 보수적이라고 평가하는 학자들도 있는데, 사실 이 기준 자체가 사민주의(사회주의)냐 아니냐를 구분으로 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다. 허나 애초에 북미권 리버럴 정당들은 경제적으론 좀 더 보수적일지 몰라도 사회적 측면에선 오히려 유럽보다 더 진보적인 모습을 보여줄 때도 있다. 게다가 캐나다는 복지국가로도 제법 명망이 있는 나라다.] 21세기 들어선 좌파 [[사민주의]] 성향으로 급격히 치고 올라온 [[신민당(캐나다)|신민당]], [[캐나다 보수당|보수당]]과 함께 3대 정당을 이루고 있다. == 지지 세력 == [[온타리오]], [[퀘벡 주|퀘벡]]을 위시해 [[노바스코샤]], [[뉴브런즈윅]],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와 같은 동부 지역과 [[브리티시 컬럼비아]] [[밴쿠버|메트로 밴쿠버]], [[빅토리아(캐나다)|빅토리아]]와 같은 서부 해안가 대도시 권역에서 지지세가 강한 편이다. 특히 애틀란틱 캐나다(대서양)에 해당되는 노바스코샤, 뉴브런즈윅,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뉴펀들랜드 래브라도는 자유당 텃밭이라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나름 전통성 있는 강성 지역이다. == 역사 == === 2019년 연방총선 === 2015년에 이어 2019년 연방총선에서도 승리하며 집권여당의 지위를 유지하였다. 하지만 [[토론토]], [[오타와]] 시 선거구의 싹쓸이에 가까운 성과에도 불구하고 퀘벡당이나 녹색당 등이 선전하면서 지난 선거보다 의석 수가 감소하여 단독 과반(170석) 달성에는 실패, 이에 트뤼도 총리가 성향이 비슷한 정당들과의 연정 대신 법안별 협상을 선언함에 따라 자유당 소수 정부가 출범하게 되었다. === 2020년 보궐선거 === 2020년 10월 26일 자유당 미카엘 레빗 의원과 빌 모르니우 의원이 각각 OECD 사무총장 도전, [[시몬 비젠탈]] 센터 CEO 차출로 의원직을 사임하게 되면서 열린 보궐선거에서 둘 다 이겨 의석을 지켰다. === 2021년 캐나다 연방 선거 === [[쥐스탱 트뤼도]] 총리가 지지율 우세를 바탕으로 과반수 의석 확보를 통한 정권 안정화를 위해 2년만에 [[2021년 캐나다 연방 선거|조기총선]]을 결정했으나, 코로나 시국에 무리한 선거를 한다는 비판이 일어 선거운동 기간 돌입 이후 여론조사상 지지율이 급하락하여 보수당에 약간 밀리는 상황도 연출되는 등 하마터면 희대의 [[자책골]]을 넣을뻔했다. 하지만 선거 막판 갈수록 지지층이 결집하고 지지율이 회복되면서 소선거구제의 이점, 캐나다 동부 지역에서의 여전히 굳건한 자유당 지지세와 서부 도시 지역에서의 약진을[* 동부 농촌 지역에서 의석 손해를 봤지만, 서부 지역인 [[앨버타]] 주와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의 도시 지역에서 의석을 탈환해 이를 상쇄했다.] 등에 업고 160석을 획득하여 정권을 지켜내는데 성공, 이론적으로는 일단 연속 집권기를 10년으로 연장하게 되었다. == 기타 == 연방 차원의 자유당 뿐만 아니라 지역/주 정당 차원의 자유당도 있는데, 다만 캐나다 정당의 경우 대부분 주에 있는 정당들은 같은 이름을 갖고 있는 연방정당과 이념적 관계가 있을지라도 법적 관계는 없는 경우가 많다. 당장 자유당만 봐도 연방 자유당과 협약을 맺고 같은 정치적 이념과 조직을 갖고 있는 각 주의 자유당은 애틀란틱 캐나다의 동부 4주 뿐이고, 다른 당들은 법적, 당적으로 다른 정당이다. 물론 대부분은 [[온타리오 자유당]]처럼 같은 당은 아니지만 연방 자유당과 연계도 자주 하고 정책적으로도 유사한 경우가 많긴 하다. BC 자유당은 이름만 같고 성향이 반대였으나, 결국 2023년 BC 자유당이 BC 연합으로 당명을 바꿨다. == 역대 선거결과 == ||
연도 || 대표 || 의석수[br](점유율) || 순위 || 득표율 || 증감 || 비고 || || 1867 || 조지 브라운 || 62석/180석[br](34.4%) || 2위 || 22.70% || - || 비집권[br]제1야당 || || 1872 || 에드워드 블레이크 || 95석/200석[br](47.5%) || 2위 || 34.70% || +12.00 || 비집권[br]제1야당 || || 1874 ||<|2> [[알렉산더 매켄지]] || 129석/206석[br](62.6%) || 1위 || 39.50% || +4.80 || {{{#ffffff '''매켄지 내각[br]다수 여당'''}}} || || 1878 || 63석/206석[br](30.6%) || 2위 || 33.10% || -6.40 || 정권 상실[br]제1야당 || || 1882 ||<|2> 에드워드 블레이크 || 73석/211석[br](34.6%) || 2위 || 31.10% || -2.00 || 비집권[br]제1야당 || || 1887 || 80석/215석[br](37.2%) || 2위 || 43.10% || +12.00 || 비집권[br]제1야당 || || 1891 ||<|7> [[윌프리드 로리에]] || 90석/215석[br](41.9%) || 2위 || 45.20% || +2.10 || 비집권[br]제1야당 || || 1896 || 117석/213석[br](54.9%) || 1위 || 41.40% || -3.80 ||<|4> {{{#ffffff '''로리에 내각[br]다수 여당'''}}} || || 1900 || 128석/213석[br](60.1%) || 1위 || 50.30% || +8.90 || || 1904 || 137석/214석[br](64.0%) || 1위 || 50.90% || +0.60 || || 1908 || 133석/221석[br](60.2%) || 1위 || 48.90% || +2.00 || || 1911 || 85석/221석[br](38.5%) || 2위 || 45.82% || -3.08 || 정권 상실[br]제1야당 || || 1917 || 82석/235석[br](34.9%) || 2위 || 38.80% || -7.02 || 비집권[br]제1야당 || || 1921 ||<|7>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매켄지 킹]] || 118석/235석[br](50.2%) || 1위 || 41.15% || +2.35 || {{{#ffffff '''킹 내각[br]다수 여당'''}}} || || 1925 || 100석/245석[br](40.8%) || 1위 || 39.74% || -1.41 ||<|2> {{{#ffffff '''킹 내각[br]소수 여당'''}}} || || 1926 || 116석/245석[br](47.3%) || 1위 || 42.90% || +3.16 || || 1930 || 89석/245석[br](36.3%) || 2위 || 45.50% || +2.60 || 정권 상실[br]제1야당 || || 1935 || 173석/235석[br](73.6%) || 1위 || 44.68% || -0.82 ||<|2> {{{#ffffff '''킹 내각[br]다수 여당'''}}} || || 1940 || 179석/235석[br](76.2%) || 1위 || 51.32% || +6.64 || || 1945 || 118석/245석[br](48.2%) || 1위 || 39.78% || -11.54 || {{{#ffffff '''킹 내각[br]소수 여당'''}}} || || 1949 ||<|3> [[루이 생로랑]] || 191석/262석[br](72.9%) || 1위 || 49.15% || +9.37 ||<|2> {{{#ffffff '''생로랑 내각[br]다수 여당'''}}} || || 1953 || 169석/265석[br](63.8%) || 1위 || 48.43% || -0.72 || || 1957 || 105석/265석[br](39.6%) || 2위 || 40.50% || -7.93 || 정권 상실[br]제1야당 || || 1958 ||<|4> [[레스터 피어슨]] || 48석/265석[br](18.1%) || 2위 || 33.40% || -7.10 || 비집권[br]제1야당 || || 1962 || 99석/265석[br](37.4%) || 2위 || 36.97% || +3.57 || 비집권[br]제1야당 || || 1963 || 128석/265석[br](48.3%) || 1위 || 41.48% || +4.51 ||<|2> {{{#ffffff '''피어슨 내각[br]소수 여당'''}}} || || 1965 || 131석/265석[br](49.4%) || 1위 || 40.18% || -1.30 || || 1968 ||<|5> [[피에르 트뤼도]] || 154석/264석[br](58.3%) || 1위 || 45.37% || +5.19 || {{{#ffffff '''트뤼도 내각[br]다수 여당'''}}} || || 1972 || 109석/264석[br](41.3%) || 1위 || 38.42% || -6.95 || {{{#ffffff '''트뤼도 내각[br]소수 여당'''}}} || || 1974 || 141석/264석[br](53.4%) || 1위 || 43.15% || +4.73 || {{{#ffffff '''트뤼도 내각[br]다수 여당'''}}} || || 1979 || 114석/282석[br](40.4%) || 2위 || 40.11% || -3.04 || 정권 상실[br]제1야당 || || 1980 || 147석/282석[br](52.1%) || 1위 || 44.34% || +4.23 || {{{#ffffff '''트뤼도 내각[br]다수 여당'''}}} || || 1984 ||<|2> [[존 터너]] || 40석/282석[br](14.2%) || 2위 || 28.02% || -16.32 || 정권 상실[br]제1야당 || || 1988 || 83석/295석[br](28.1%) || 2위 || 31.92% || +3.90 || 비집권[br]제1야당 || || 1993 ||<|3> [[장 크레티앵]] || 177석/295석[br](60.0%) || 1위 || 41.24% || +9.32 ||<|3> {{{#ffffff '''크레티앵 내각[br]다수 여당'''}}} || || 1997 || 155석/301석[br](51.5%) || 1위 || 38.46% || -2.78 || || 2000 || 172석/301석[br](57.1%) || 1위 || 40.85% || +2.39 || || 2004 ||<|2> [[폴 마틴]] || 135석/308석[br](43.8%) || 1위 || 36.73% || -4.12 || {{{#ffffff '''마틴 내각[br]소수 여당'''}}} || || 2006 || 103석/308석[br](33.4%) || 2위 || 30.23% || -6.5 || 정권 상실[br]제1야당 || || 2008 || [[스테판 디옹]] || 77석/308석[br](25.0%) || 2위 || 26.26% || -3.97 || 비집권[br]제1야당 || || 2011 || [[마이클 이그나티에프]] || 34석/308석[br](11.0%) || 3위 || 18.91% || -7.35 || 비집권[br]제2야당 || || 2015 ||<|3> [[쥐스탱 트뤼도]] || 184석/338석[br](54.4%) || 1위 || 39.47% || +20.56 || {{{#ffffff '''트뤼도 내각[br]다수 여당'''}}} || || 2019 || 157석/338석[br](46.4%) || 1위 || 33.12% || -6.35 ||<|2> {{{#ffffff '''트뤼도 내각[br]소수 여당'''}}} || || 2021 || 160석/338석[br](47.3%) || 1위 || 32.62% || -0.50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자유당(동음이의어), version=91)] [[분류:캐나다의 정당]][[분류:자유주의 정당]][[분류:사회자유주의 정당]][[분류:1867년 정당]][[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분류:자유주의 인터내셔널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