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 캄보디아의 역사)] ||||||<:> {{{#ffd700 '''{{{+1 캄보디아국}}}''' [br] '''ប្រទេសកម្ពុជា''' [br] '''State of Cambodia'''}}} || ||<:> [[파일:캄보디아국 국기.svg|width=150]] ||<:>[[파일:캄보디아국 국장.svg.png|width=120]] || ||<:> {{{#ffd700 '''국기'''}}} ||<:> {{{#ffd700 '''국장'''}}} || ||||<:> {{{#ffd700 '''1989년 ~ 1992년'''}}} || ||<:> '''{{{#ffd700 성립 이전}}}''' || '''{{{#ffd700 멸망 이후}}}''' || || '''[[캄푸치아 인민공화국|{{{#ffd700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 '''[[UNTAC|{{{#ffffff 유엔 캄보디아 과도 통치기구}}}]]''' || ||<:> '''{{{#ffd700 위치}}}''' ||[[동남아시아]]|| ||<:> '''{{{#ffd700 수도}}}''' ||[[프놈펜]] || ||<:> '''{{{#ffd700 국가원수}}}''' ||국가이사회 [[주석(직위)|주석]] || ||<:> '''{{{#ffd700 정부수반}}}''' ||내각수상 || ||<:> '''{{{#ffd700 종교}}}''' ||[[불교]] || ||<:> '''{{{#ffd700 언어}}}''' ||[[캄보디아어]] || ||<:> '''{{{#ffd700 통화}}}''' ||[[캄보디아 리엘]] || ||<:> '''{{{#ffd700 국가}}}''' ||[[ចម្រៀងនៃសាធារណរដ្ឋប្រជាមានិតកម្ពុជា|캄푸치아 인민공화국/캄보디아국 애국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캄보디아국은 [[1989년]]부터 [[1992년]]까지 존재했던 국가이다. == [[캄푸치아 인민공화국]]에서 캄보디아국으로 돌아온 후 == 대대적인 국가 개혁을 위하여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때부터 실시한 [[화폐]] [[개혁]]과 경제적 [[민주주의]]뿐만 아니라 정부의 정책을 목적으로 [[국유화]]를 억제하고, [[민영화]] 추진을 하였다. [[1989년]] 해외 투자 허용하는 투자법을 채택 후, 감세 혜택을 내세우는 외국인 투자 지원에도 나섰다. 이후, [[1989년]] [[시아누크]] 전 국왕의 민족통일전선(FUNCINPEC)과 손 산 전 총리의 크메르인민민족해방전선(KPNLF) 등 3개 정파가 캄보디아의 미래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결정하기 위한 회의를 개최했는데, 여기에 '''[[킬링필드]]'''로 악명 높은 살인정권 [[크메르 루주]]가 끼어 세계가 분노하였다.[* 어이없지만 당시 국제법상 캄보디아의 합법 정부였기 때문이다.] 이후 [[1991년]] '캄보디아 평화 파리협정'이 19개국의 승인으로 마침내 체결되었다. 20년에 이르는 캄보디아 내전 종식 선언 후 캄보디아국은 유엔 캄보디아 잠정 통치기구인 [[UNTAC]]의 주둔 하에 [[1993년]] 민주적인 선거를 했으며 그 이전인 [[1992년]]에는 평화 유지군이 캄보디아에 파병되어 정전 협정준수에 대한 감시 및 평화 유지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 당시에도 파일린 지역에 매복해 국가 전복 시도를 하려고 했던 [[폴 포트]]의 [[크메르 루주]] 세력과의 갈등 및 분쟁이 계속되는 상황이었다. == 캄보디아국의 크메르 루주 재판 == [[폴 포트]]는 [[1998년]] 사망하였지만, 유엔의 지원 하에 캄보디아 특별재판소([[ECCC]])가 설립되었다. 이 재판소가 [[2006년]]부터 [[크메르 루주]]의 형사재판을 맡았다. 200만 명을 학살한 [[킬링필드]]의 책임자들을 단죄했는데, [[킬링필드]]의 주도자인 9명([[키우 삼판]], [[깡 겍 이우]], [[누온 체아]] 등)은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 국가 == '''[[ចម្រៀងនៃសាធារណរដ្ឋប្រជាមានិតកម្ពុជា|캄푸치아 인민공화국/캄보디아국 국가]]'''를 참조. [[분류:1992년 멸망]][[분류: 캄보디아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