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포일러)]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알아사드얼굴_리마스터.png|width=100%]]}}} || ||<-2> {{{#f5f5f5 칼레드 알아사드}}}[br]{{{#f5f5f5 خالد الأسد}}}[br]{{{#f5f5f5 Khaled Al-Asad}}} || || {{{#f5f5f5 소속}}} ||[[파일:Faction_Arab.png|width=23]] [[대항군(콜 오브 듀티 시리즈)|저항군(Opfor)]](오리지널)[br][[파일:Al-Qatala-Aljahdid_MW.png|width=23]] [[알카탈라]] - 알자디드(리부트) || || {{{#f5f5f5 계급}}} ||저항군(Opfor) 총지휘관(오리지널)[br]알카탈라 - 알자디드 총지휘관(리부트)|| || {{{#f5f5f5 출생}}} ||[[1963년]] [[5월 1일]] || || {{{#f5f5f5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사우디아라비아)] (오리지널)[br][[파일:Urzikstan_Flag_MW.png|width=23]]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등장인물#s-4|우르지크스탄]] (리부트)[* 뱅가드에서 공개되었다. 리부트 시점인 2019년 11월 기준으로 생일이 지났으면, 56세, 생일이 지나지 않았으면 55세 정도 되었을 것이다.] || || {{{#f5f5f5 등장 작품}}}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br][[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리마스터드]][br][[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br][[콜 오브 듀티: 뱅가드]] / [[콜 오브 듀티: 워존|워존]]|| || {{{#f5f5f5 성우}}} ||[[https://www.imdb.com/name/nm2813259/|Gabriel Al-Rajhi]]|| ||<-2>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스포일러 주의 】 || {{{#f5f5f5 생존 여부}}} ||사망 (K.I.A. - 오리지널)[br]생존 (Alive - 리부트) || || {{{#f5f5f5 사망 원인}}} ||[[프라이스 대위]]의 [[M1911]]에 의해서 사살당함. || ||<|2> {{{#f5f5f5 날짜와 장소}}} ||[[2011년]] (향년 56세) || ||[include(틀:국기, 국명=아제르바이잔)] 은신처 근처 헛간 ||}}}}}} || [목차] [clearfix] == 개요 == [[모던 워페어]] 시리즈의 등장인물로 악역이다. 이름의 유래는 [[시리아]]의 독재자 [[하페즈 알 아사드]]와 [[바샤르 알 아사드]][* [[https://ko.wikipedia.org/wiki/%EB%B0%94%EC%83%A4%EB%A5%B4_%EC%95%8C%EC%95%84%EC%82%AC%EB%93%9C|외부링크]]도 참조.] 부자에서 따온 듯 하며, 뜻은 아랍어로 '불멸의 사자(Immotal Lion)'를 뜻하는 '칼리드 알 아사드'를 변형한 것이다. 이 때문에 실명이 아닌 가명일 가능성이 높다. 실존인물인 [[사담 후세인]]을 모티브로 삼은 듯하다. == 작중 행적 == ===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cJ2UY5b20E)]}}} || || '''{{{#limegreen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리마스터드]] 캠페인 쿠데타(The Coup) 미션 }}}''' || 아랍어 원문 [[https://callofduty.fandom.com/wiki/The_Coup/Transcript#Modern_Warfare|출처]] >اليوم ننهض من جديد كشعب واحد، في وجه الخيانة والفساد >오늘, 우리는 하나의 국가로 다시 일어섰다. 부패와 반역에 맞서서 말이다! >(알 푸라니 대통령이 끌려나온 뒤 자동차 뒷좌석으로 끌려가고, 반군 병사가 대통령을 개머리판으로 쓰러뜨리고 신호를 보내자 차가 출발한다, 운전석 옆의 조수석에 [[빅토르 자카에프]]가 앉아 있고 기관단총을 든 채로 대통령을 노려보다가 고개를 돌린다) >جميعنا نثق بهذا الرجل لينقل شعبنا العظيم إلى فترته الأخرى >우리는 이 자가 우리나라를 번영으로 이끌 것이라고 믿었다. >(알아사드의 방송이 이어지는 동안 거리에서는 반군들이 진을 치면서 민간인을 학살한다. 그 동안 빅토르가 어디선가 온 전화를 받으며 대통령에게 인상을 쓴다) >لكن مثل ملكنا قبل الثورة، كان متواطئاً مع الغرب، ولا يعرف سوى مصلحته الشخصية >하지만 혁명 전의 왕조처럼 이 자는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 서구와 결탁했다. >الصمت ينتج العبودية! لن نكون عبيداً >결탁은 종속을 부른다! 우리는 노예가 되지 않을 것이다! >(반군들이 반대파 시민 몇 명을 벽에 세우고 총살하는 장면이 지나간다. 자동차는 게속 달리고 조수석에서 빅토르가 운전수에게 이런저런 지시를 내린다) >.لقد حان الوقت الآن لإظهار قوتنا الحقيقية. إنهم يقللون من حجم تعظيمنا. دعونا نظهر أننا لا نخشى منهم >우리의 진정한 힘을 보여줄 시간이 왔다. 그들은 우리의 결의를 과소평가한다. 그들을 겁내지 않는다는 걸 보여주자. >كشعب واحد، يجب أن نحرر إخوتنا من نير الاحتلال الأجنبي >우리는 하나가 되어 우리 동포들을 외세의 탄압으로부터 해방할 것이다. >(자동차가 해안가 도로에 진입하고 거리에서는 반군들의 학살이 이어진다) >جيوشنا قوية، وقضيتنا عادلة >우리의 군대는 강하고 우리의 대의는 정의롭다. >كما أتحدث، إنهم يحتشدون جيوشنا، بما سنحمي استقلال شعبنا كدولة عظيمة >이 순간에도 우리의 목표에 가까이 다가가고 있다. 우리는 현재 영화롭던 이 나라의 독립을 되찾을 것이다. >(자동차가 사형장에 도착하고 반군들이 허공에 총을 쏘면서 환호한다. 반군 한 명이 대통령을 차에서 끌어낸다) >.قضيتنا النبيلة قد بدأت >우리의 숭고한 성전은 시작됐다. >(반군이 대통령을 발로 밟아 기절시킨다. 대통령이 의식을 찾았을 때는 사형장으로 끌려가던 중이었고 [[이므란 자카에프]]가 대통령을 훓어본다. 총살대는 이미 누군가가 총살당했는지 피가 묻어 있다. 반군들은 그 동안 환호성을 지른다) >.سنقوم بإلقاء النفايات في بلادهم كما هم يفعلون ذلك لنا بالضبط >그들이 이 나라를 짓밟았듯 우리도 그들의 나라를 초토화할 것이다. >(대통령이 총살대에 묶이는 동안 알아사드가 자카에프에게 권총을 받고 카메라 앞에서 말한다) >'''".هكذا ابتدأت"''' >'''"전쟁은 시작됐다."''' >(알아사드가 대통령에게 [[IMI Desert Eagle|권총]]을 쏜다) [[묵시록의 4기사]]중 한명으로 석유로 부유한 중동 [[사우디아라비아]]의 유력자였으며, [[이므란 자카에프]]의 꼬임에 넘어가 멀쩡하게 돌아가던 중동 한 국가에서 반군을 일으켜 정부를 상대로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므란 자카에프]]가 이끄는 국수주의 러시아 반군의 대대적인 도움으로 성공적으로 알 푸라니 대통령을 생포하였고 수도에서 알 푸라니를 지지하는 시민이나 중립층을 학살하면서 쿠데타를 끝내던 도중인 그는 [[알 푸라니 대통령]]을 처형장으로 데리고 와 위성방송에서 공개 처형해 버린다. 그리고 자국의 독립심과 투쟁심을 고취시켜 미국에 대항하려 한다. 미국의 침공 이후 본인이 방송국에 있다는 유언비어를 퍼뜨려 [[미군]]을 잠시나마 낚기도 했으나 그 뿐, 게임상으로 2일 정도의 시간이 흐른 후 압도적인 전력 미군에게 수도까지 밀려버리게 된다. 그런데 뭔 생각으로 그랬는진 모르지만, 자국의 수도에 놔둔 [[핵폭탄]]을 터뜨려 미 해병대를 날려버렸다.[* 직접 격발기를 누른 건 자카에프의 부하였던 '''[[블라디미르 마카로프]]'''다.] 수도는 물론 자기 부하들도 같이 제물로 삼아서. 하지만 '''자기 부하들과 자기 나라 수도까지 다 희생양으로 삼았음에도''' 남지는 않았고 '''몰래 도망친 뒤'''에 [[이므란 자카에프]]에게 도움을 요청해 [[아제르바이잔]]의 안전가옥에 은거한다.[* 이에 대해 니콜라이가 정보를 제공하면서 "그 녀석은 (제 목숨이 아까운 줄은 알아서)결코 자살할 놈이 아닙니다."라고 비꼬듯 말한다.] 하지만 [[니콜라이(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니콜라이]]가 [[SAS(특수부대)|SAS]] 측에 제공한 정보로 인해 발각되어 [[프라이스 대위]]가 이끄는 SAS 팀에 생포된다. 생포된 후, 프라이스 대위에게 맞으면서도[* 이때 프라이스에게 죽도록 맞으면서'''!مو اني دكلك''', '''!ما اريد ان اقولك'''라고 외치는데, 이는 각각 '''난 이야기 안 해!''', '''제발 살려줘...!'''라는 뜻이다. 리마스터판에서는 '''!لم أكن وراء ذلك''' 라고 외치는데, 이는 [[블라디미르 마카로프|'''내가 한 짓이 아니야!''']]라는 뜻이다.][* 리마스터 판에서는 신나게 쳐맞는 것도 모자라서 와이어로 목까지 졸린다. ~~보고 있으면 불쌍할 정도~~] 끝까지 배후에 누가 있는지 불지 않는 행동을 하였으나 결국 그에게 걸려온 자카에프의 전화 때문에 배후가 드러나게 되었고 격분한 프라이스 대위에 의해 그가 알 푸라니 대통령에게 했듯 권총으로[* 이때 [[M1911]]을 쓰는데 소리는 [[IMI Desert Eagle|데저트 이글]]의 발사음이 난다. 극적인 효과를 위해서 인 듯. 리마스터판에서는 수정되었다.] 즉결처형당하게 된다. 미 해병대에게 잡혔다면 그래도 목숨을 부지했을지도 모르겠지만 핵폭탄을 터뜨리고 하필이면 SAS에게 잡힌게 명을 재촉했다. 어차피 저 바닥에선 저런 놈에 대한 인권은 보장하지 않는지라 어쩌면 저게 오히려 곱게 죽은 걸지도 모른다.[* 어차피 미군에게 잡히면 단단히 벼르고 있을 [[셰퍼드 중장|셰퍼드]]에게 끌려가 걸레짝이 되도록 얻어터지고, 온갖 고문이란 고문을 다 받고, 참혹하게 살처분됐을 것이다. 운이 좋으면 셰퍼드에게 험한꼴 당하기전에 국제 재판에서 사형선고를 받고 곱게 죽을 수도 모르지만.][* 참고로 프라이스가 죽이려고 할 때 플레이어가 칼레드를 쏴도 게임 오버되지 않는다. 전에 집어둔 RPG, 기관총을 퍼부어도 이 때는 괜찮다.] 덧붙여 그 때 수도에 터뜨린 그 핵 때문에 엄청난 피해를 보신 [[셰퍼드 중장|어느 군인]]은 결국… 생각해보면 이 양반이 저지른 사건이 방아쇠가 되어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그 뒤에 커다란 폭풍을 만들게 되었으니...]] ==== 사후 ==== 사후 반미의 상징으로 각인되어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5년 뒤]], [[아프가니스탄]]의 반군들을 소탕하기 위해 [[제75레인저연대]]가 들어선 시내에는 그의 사진이 사방팔방에 붙어있었다. 미군 수만명을 죽였다해도 '''자국의 수도에서 핵 터뜨린 놈'''이 영웅화 되는 건 뭔가 이상하지만 사실 [[정치]]에서 옳고 그름을 따지는 건 아무런 의미가 없다.[* 아무리 좋은 놈도 내 편이 아니면 악마고, 엄청난 악행을 저지른 나쁜 놈이라고 해도 내 편이면 천사로 보일 수 있는게 바로 정치다. 실제로도 아프가니스탄이나 파키스탄과 같이 극단적인 종교/민족색을 띠는 국가에서 반미 감정 강한 민족주의자들이 우리나라나 서방 기준에서는 도저히 용납이 되지 않는 인물들을 추앙하는 것은 낯선 일이 아니다. 예를 들어 [[ISI|파키스탄 정보국]] 수장이었던 하미드 굴 중장의 경우, 별명이 ''''탈레반의 아버지''''일 정도로 탈레반을 키우는 데 기여했다. 하지만 그는 반 인도/반미주의자들에게 강한 지지를 받았으며 2015년 사망했을 당시 지지자들의 추모 행렬이 끊이지 않았다. 적어도 파키스탄 내에서는 호불호가 갈리는 정도지 일방적인 증오의 대상은 절대로 아니라는 것이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 || [[파일:알아사드_리부트.jpg|width=100%]] || [[https://blog.activision.com/call-of-duty/2020-05/Call-of-Duty-Modern-Warfare-Biographies-Khaled-Al-Asad|콜옵 블로그에 올라온 칼레드 알아사드의 프로필]] 그저 자카에프가 내세운 바지사장이자 한심한 이미지의 중간보스 기믹이었던 기존과는 달리 스토리가 리부트되면서 행작이나 설정 등에서 거의 최종보스급 수준의 버프를 받게되었다. 본편의 캠페인 이후의 나오는 컷씬에서 카스토비아의 베르단스크 시를 침공하여 주둔한 [[러시아군]]들을 사살하는 러시아에 대한 테러를 감행한다. 마지막에 겨우 목숨을 부지한 채 쓰러져 있는 러시아군 한 명을 트레이드마크인 [[IMI Desert Eagle|데저트 이글]]로 처형하는 씬으로 첫 등장. 라스웰의 브리핑으론 우두머리를 잃은 알 카탈라의 새 지도자로 부상한 인물로 보이며 이어지는 스펙옵스 및 워존의 메인 빌런으로 나온다. 이 시점에서는 알 카탈라의 뉴 페이스라는 것과, 베레모와 썬글라스, 수염을 기른 특유의 모습만 나와 대충 알 아사드구나 하는 수준으로 나왔으나, 크로스윈드 작전을 깨면 나오는 컷씬에서 칼레드 알 아사드라는 이름이 당당하게 나와 본인이 확실해졌다. 시즌 1 오프닝 시네마틱에서도 막바지에 등장하는데, 한 방송국에 병사를 끌고 침투해 직원들을 제압하고 큰 화면으로 전장을 지켜보고 있다. 이 방송국은 이후 워존이 출시되고 나서 베르단스크 중심에 있는 BCH4 TV 방송국[* 오리지널 모던 워페어의 Broadcast 맵과 동일한 구조다.]인 것이 밝혀졌다. 본작의 칼레드 알아사드의 정체가 캠페인의 등장인물 하디르 카림이라는 추측이 있다. 자세한 것은 [[하디르 카림|해당 문서]] 참조. 2020년 5월 28일 액티비전 콜옵 블로그에 올라온 포스트로 좀 더 자세한 정보가 공개되었다. [[https://blog.activision.com/call-of-duty/2020-05/Call-of-Duty-Modern-Warfare-Biographies-Khaled-Al-Asad|#]] 칼레드 알아사드는 알카탈라-알자디드의 창립자이자 현 우두머리이며, 오마르 술라만 사후 등장해 기존 알카탈라의 지휘권을 휘어잡았다고 한다. 국수주의자 러시아인 [[빅토르 자카에프]]와 동맹 관계인데, 칼레드 알아사드 본인은 [[반러|러시아를 극도로 혐오하고 있지만]] [[적의 적은 나의 친구|서구 문명권의 붕괴라는 공통 목표하에 손잡고 있다고 한다.]] 원래 칼레드 알아사드는 러시아 감옥에 투옥되어 있었지만 빅토르 자카에프가 불법적으로 꺼냈으며, 그에게 무기를 대폭 지원해 주었다. 알카탈라의 지도자가 되고 전차, 공격헬기, 핵무기 등 강력한 병기를 손에 넣은 칼레드 알아사드는 카스토비아의 수도 베르단스크를 침공했으며, 앞을 막는 자들을 잔혹하게 학살했다. 베르단스크 침공은 엄청난 사상자를 냈으며 시민들은 도시를 버리고 피난해야 했다. 이 침공으로 인해 칼레드 알아사드는 세계적으로 악명이 높아졌고, 오마르 사후 세계 각지에 숨어있던 알카탈라 지부들도 복종을 맹세하게 되었다. 2019년 11월 연합군이 그의 존재를 확인했으며 그가 알카탈라-알자디드의 우두머리인 것으로 특정해 냈지만 아직 그의 정체에 대해선 아는 바 없으며, 그의 이름이 가명이며 그 뜻이 '사자'라는 것과, 우르지크스탄 출신이라는 점 정도만 알고 있다. 결국 연합군과 동맹군은 알카탈라-알자디드에게 점령당한 베르단스크를 해방하기 위해 병력을 투입하지만, 알카탈라-알자디드는 이미 도시를 비운 뒤였고, 칼레드 알아사드가 도시 단위로 독가스를 풀면서 오퍼레이터들은 살아남기 위해 서로 싸워야 했다. 이것이 워존의 배틀 로얄 모드다. 시즌 4에 추가된 첩보 임무를 수행하면 베르단스크 침공 중 칼레드 알아사드의 행적을 추적할 수 있는데, 지금까지 공개된 내용을 따르면 베르단스크 국제 공항에서 피난민들을 실어 나르는 여객기를 격추시켰으며, 이 일로 인해 모든 항공편이 중단되게 되었다. 또한 워존에서 사용한 가스와 동일한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강력한 생화학무기를 손에 넣은 경위를 알 수 있는데, 이 생화학무기는 컨테이너에 담겨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맵#s-7.4|베르단스크 항구]]를 통해 들어와 [[베르단스크#s-2.1.5|WHP 인도적 구호 캠프]]에 있는 합동군에게 배송될 예정이었다. 합동군 오퍼레이터인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오퍼레이터#s-3.4.4|마라]]가 이 컨테이너를 수령하기 위해 항구로 왔지만 '''자카에프에게 매수된 연합군과 동맹군 병사들'''이 마라의 팀을 공격했고, 컨테이너를 빼앗기고 말았다.[* 이 때 마라는 팀원 여섯을 잃었다.] 이 컨테이너는 [[베르단스크|베르단스크 역]]에서 19:30발 우르지크스탄 직행 기차에 실려 출발했으나 기차가 탈선하였다. 마라의 보고에 따르면 '데이비드슨'이라는 팀원이 추락한 UAV에서 데이터를 꺼내기 위해 수리 작업중이었는데 이 컨테이너 탈취 사건 때 전사해 그를 대신할 사람이 필요하다고 한다. 첩보 임무를 따라가면 이 UAV가 조호바 항공기 묘지의 격납고에 있으며, 데이터를 뽑아오면 깨진 이미지 파일이 있다. 이 이미지 파일을 정부 청사의 컴퓨터로 복구하면 UAV가 찍은 사진이 나오는데, 베르단스크 공항 공습의 범인이 '''알카탈라가 아닌 합동군 병사들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후원자였던 [[빅토르 자카에프]]가 워존 첩보 컷신에서 결국 프라이스에 의해 사살당했고, 후속작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에서도 알 카탈라가 나온다는 것이 확정되면서 악역으로 다시 나올 확률이 높아졌으나 한번도 나오지 않았다. 다만 부하조직인 알 카탈라와 쿠드스군의 관계를 생각해보자면 가장 큰 자금줄인 자카예프 일가가 사실상 전멸한 상황이라 베르단스크 사태가 자신의 뜻대로 합동군간의 내전으로 혼란해지자 내뺀뒤 서방에 크게 반목중인 쿠드스군에 알 카탈라의 병력을 전폭적으로 용병개념으로 제공하며 세를 불리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본작의 테러의 주체가 핫산을 따르는 알 카탈라 였던걸 보면 핫산으로 어그로를 집중시키고 워존2.0의 흑막으로 다시 등장할 가능성은 있다.[* 다만 현재 원작 묵시록의 4 기사중 마카로프가 재등장이 확정된 상황이라 어떻게 전개될진 불명] === [[콜 오브 듀티: 뱅가드]] / [[콜 오브 듀티: 워존|워존]] === 뱅가드 시즌5에서 오퍼레이터로 추가된다. 이로 인해 알 아사드가 추가되고 모델링을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밝혀진 비화가 있는데, 2022년 뱅가드 시즌 5의 알 아사드 모델링과 모던 워페어의 하디르 카림 모델링을 비교해본 결과 '''동일한 모델링을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https://m.blog.naver.com/reznov97/222857176891|#]] 다만 이제 리부트의 빅터 자카예프가 동맹군 오퍼레이터 예고르의 파란 추리닝 기본 복장을 돌려쓰기한 것처럼 모델링만 돌려쓴건지, 정말로 동일인인지는 추가적으로 확인이 필요할 듯 하나 얼굴 모델링까지 수염여부를 빼고는 동일한 이상 둘 모두 같은 사람일 가능성이 커졌었고 MWII 레이드 2편에서 알렉스를 풀어준 알카탈라 사령관이 하디르로 밝혀졌다. 하디르가 레이드 피날레에서 결국 죽음을 맞이했다. 하지만 끝까지 그가 알아사드가 맞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 기타 == * [[모던 워페어 1]]의 멀티플레이 등장 세력 저항군(OpFor)의 오퍼레이터를 담당한다. [[파일:attachment/ASSAD.png]]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의 멀티플레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엠블럼으로 등장한다. 획득 조건은 'Saboteur II' 챌린지 완료로 데몰리션과 서치 & 디스트로이 모드에서 폭탄을 10번 설치하면 된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의 멀티플레이이 맵 'Seatown'에서 알 아사드의 포스터를 볼 수 있다. Seatown은 설정상 [[모로코]]에 위치한다. * 구작과 리마스터 버전에서 죽을 때의 행동이 다르다. 구작은 화가 난듯 발버둥 치다가 총에 맞지만 리마스터 버전은 총을 들이대는 프라이스 대위를 보며 겁에 질린 듯 고개를 젓다가 그대로 승천한다. 아무래도 조국을 버리고 도망간 찌질한 점을 살리려고 이렇게 표현한 듯 하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가 리마스터되면서 역시나 이 캐릭터도 위의 사진과 같이 리모델링되었다. 얼굴묘사의 디테일이야 리마스터작답게 원본보다 더 세세해졌지만 이목구비가 다소 변하면서 더욱 험상궃은 인상이 되었다. 또한 리마스터 내에서의 목소리는 본판의 목소리처럼 굵은 톤이 아니고 높은 톤으로 바뀌어서 좀 경박하게 들리기도 한다. * 팬들 사이에선 리부트 타임라인의 칼레드 알아사드의 정체가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등장인물#s-4.1|하디르 카림]]이 아니냐는 추측이 돌고 있었고, 뱅가드와 모던 워페어 II에서의 언급으로 인해 사실상 기정사실화 됐다. 하지만 실제 게임에서는 하디르가 죽음을 맞이하면서 해당 떡밥이 흐지부지해졌다. * 하디르의 퇴장 타이밍과 칼레드 알아사드의 등장 타이밍이 묘하게 맞아 떨어진다. * 칼레드 알아사드라는 이름이 '불멸의 사자'라는 의미인데 캠페인 중 파라의 언급에 따르면 아버지가 하디르를 '샤발', 즉 '작은 사자'라고 불렀다. * 둘 다 우르지크스탄 출신이며 러시아를 증오한다. 그러면서도 서방세계를 무너뜨린다라는 목적으로 러시아인인 빅토르와 힘을 합치는 걸 보면 마찬가지로 서방에 대한 증오도 크다는 증거인데, 프라이스 대위를 위시한 서방세계를 믿고 있다가 서방군와 러시아군의 거래 때문에 러시아로 압송되어 뒷통수를 맞은 하디르를 생각하면... * 빅토르 자카예프가 하디르를 탈옥시키려 한다는 것 역시 강력한 연결고리다. 콜옵 블로그에서 공개된 칼레드 알아사드의 프로필을 보면 빅토르가 칼레드 알아사드를 불법으로 감옥에서 끄집어 냈다고 한다. * 본작의 칼레드 알아사드의 외형이 오리지널 모던 워페어에 비해 젊은 외모다. * 둘 다 가스를 애용한다. 선술하였듯 하디르는 훔친 가스를 사용하였고, 칼레드 알아사드 역시 워존에서 연합군과 동맹군을 죽이기 위해 가스를 살포했다. * 20.5.21. 공개된 시즌 4 티저 영상에서 칼레드 알아사드가 빅토르와 대화하면서 [[프라이스 대위]]를 '옛 친구'라 언급하고, 프라이스 대위 한 명만으로도 자신들에게 엄청난 위협이 될 수 있다면서 프라이스를 아주 잘 아는 듯이 이야기한다. * 후속작인 [[모던 워페어 II]]의 캠페인의 스토리를 잇는 레이드 모드에서 생포된 [[알렉스 켈러]]를 풀어주고 우르지크스탄 해방 전선에 협력하자는 메시지를 보낸 '''알카탈라 사령관'''의 정체가 '''하디르로 밝혀진다'''. [[분류:콜 오브 듀티 시리즈/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