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 {{{+1 칼 라거펠트}}}[br]Karl Lagerfel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칼 라거펠트.프로필.jpg|width=100%]]}}} || ||<|2> '''출생''' ||[[1933년]] [[9월 10일]]|| ||[[나치 독일]] [[함부르크]]|| ||<|2> '''사망''' ||[[2019년]] [[2월 19일]] (향년 85세)||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신체''' ||178cm || || '''직업''' ||[[패션 디자이너]], [[포토그래퍼]]|| || '''학력''' ||[[프랑스 패션학교|파리 의상조합학교]]|| || '''경력''' ||[[1964년]] 끌로에 [[수석]] [[디자이너]][br][[1998년]] 칼 라거펠트 [[갤러리]] 설립|| || '''수상''' ||[[2010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 || '''브랜드''' ||칼 라거펠트 {{{-2 (설립 &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 1984-2019)}}} [br] [[샤넬]] {{{-2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 1983-2019)}}} [br] [[펜디]] {{{-2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 1965-2019)}}}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fashiondesigner_lagerfeld_logo.png|width=15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arl Lagerfeld.jpg|width=100%]]}}} || [[독일]] 출신의 패션 디자이너이자 그의 디자이너 레이블의 이름.[* 부드러운 이미지를 위해서 '라거펠드'로 바꿨다는 소문이 있는데, 사실은 독일어로 라거펠트, 영어로는 라거펠드가 되는 것 뿐이다.] == 위상 == 일명 [[패션]]계의 '''살아있는 [[신화]]'''였으며, 현대 [[하이패션]]의 [[아이콘]] 격인 인물이었다. 2~3년을 버티기 힘든 패션 디자이너 업계에서 54년간 [[펜디]]의 수장으로 있었고 동시에 80년대 망하기 일보직전이던 [[샤넬]]의 수석 디자이너가 되어[* 오죽하면 패션업계에서는 그를 샤넬의 황제라고 부를정도였다.] 브랜드를 부활시키고 37년간 이끌었다. 오랜 기간 두 최고급 명품 브랜드의 수장으로 있으며 전 세계 패션 트렌드를 이끈 것은 믿어지지 않는 일이다.[* 실제로 동시대에 데뷔한 다른 디자이너들이 죽었거나 활동을 관뒀지만 늦은 나이까지 일한 것 자체가 놀랍다는 평가를 받았다.] == 생애 == [[1933년]] [[9월 10일]] [[독일]] [[함부르크]]에서 태어났다.[* [[1938년]]생으로 알려진 경우가 많은데, 이는 나이를 낮추기 위해 한 얘기다.] 아버지 오토 라거펠트는 함부르크에서 커다란 연유제조회사를 운영하는 사장이었기 때문에, 그는 상당히 부유한 환경에서 성장했다. 어릴 때부터 라거펠트의 재능은 놀라워서, 3살 때 이미 옷을 만지는 것만으로도 언제 만들어진 옷감인지 파악할 수 있었다고 한다. 20살 때인 [[1953년]]에 어머니와 함께 파리로 이주하였으며, 파리 패션계에서 처음에는 [[삽화가]]로 일했다. 21살 때인 [[1954년]]에는 프랑스의 명문 패션 학교인 [[프랑스 패션학교|파리 의상조합학교]]로 입학했고, 같은 해 국제양모사무국이 주최한 신인 디자이너 경연대회에서 울코트부문 1등상을 수상하며 화려하게 데뷔하였다.[* 같은 대회에서 그의 경쟁자 [[이브 생 로랑]]은 이브닝드레스 부문에서 1등상을 받았다.] 그 후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 [[발망]]을 시작한 디자이너 피에르 발망 밑에서 3년 반 동안 조수로서 일했고, [[1958년]]부터는 쟝 파투를 사사하였다. 그보다 3살 연하인 [[이브 생 로랑]]과 함께 파리에서 수많은 디자인의 의상을 선보이면서 젊고 전도유망한 디자이너로서 강력한 경쟁관계를 형성하였다. [[1963년]]부터는 쟝 파투에게서 독립하면서 마리오 발렌티노 등의 회사에서 자유롭게 일했다. [[1964년]] 프랑스 브랜드 [[클로에]]의 수석 디자이너가 되었고, [[1965년]]부터는 이태리로 가서 [[펜디]]의 수석 디자이너로 일했다. ‘에프’(F) 두개를 겹쳐 만든 펜디의 로고는 그와 [[펜디]] 가문의 운영진이 함께 만든 것. [[1974년]]에는 독일에 자기 이름으로 칼 라거펠트 임프레션이라는 회사를 만들었다. 그러다가 [[1983년]]부터 [[샤넬]]의 아트 디렉터로 부임하면서 전세계적인 명성을 떨치기 시작했다. 창립자 [[코코 샤넬|가브리엘 샤넬]]이 [[1971년]] 사망한 뒤 침체를 겪던 브랜드 샤넬이었지만, 1983년 라거펠트를 수석 디자이너로 영입한 뒤부터는 새로운 생명을 얻기 시작했다. 라거펠트의 손을 통해 샤넬의 상징과도 같던 우아한 [[트위드]] 재킷은 젊은층까지 사로잡는 경쾌한 스타일로 변신했고, 하위문화의 상징이던 [[데님]], [[가죽]] 등의 소재로 만든 재킷 등도 인기를 끌었다. ‘C’ 두개가 겹쳐 있는 샤넬의 트레이드마크를 의상이나 가방에 사용하기 시작한 것 역시 라거펠트였다. 라거펠트는 죽은 샤넬을 환생시켰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라거펠트 콘피덴셜'이라는 2007년작 다큐멘터리에서 그는 자신이 처음 샤넬에 왔을 때를 회고했는데, '제가 [[샤넬]]을 맡았을 때 샤넬은 [[잠자는 숲속의 공주]]와 같았어요. 아름다운 모습도 아니었지요. [[코코 샤넬|그녀]]는 코를 골고 있었어요. 그렇기 때문에 저는 [[코코 샤넬|죽은 여인]]을 되살려야만 했습니다.'라고 말하며 당시 상황을 비유적으로 [[https://edition.cnn.com/style/article/karl-lagerfeld-obituary-intl/index.html|표현하기도 했다.]]], 그 후 37년 동안 '''샤넬=카를 라거펠트'''로 통할 만큼 롱런하며 샤넬을 이끌었다. [[타임지]]는 2012년 그를 역사상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100명의 패션 아이콘들 중 한명으로 [[http://content.time.com/time/specials/packages/article/0,28804,2110513_2110512_2110689,00.html|선정하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2019년]] [[2월 19일]] 프랑스 파리에서 향년 85세로 사망했다. 사인은 [[췌장암]]으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3841462?sid=104|밝혀졌다.]] [[베르나르 아르노]] [[LVMH]] 회장은 '그는 [[파리(프랑스)|파리]]를 세계 패션의 수도로, [[펜디]]를 가장 혁신적인 [[이탈리아]] 브랜드 중 하나로 만드는 데 공헌을 한 창조적 천재였다'고 하며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23&aid=0003428125|그를 추모했다.]] 유산 상속자 중 하나로 반려묘를 [[https://www.dispatch.co.kr/2007369#_enliple|지목했다.]] 보그 편집장 [[안나 윈투어]]는 칼 라거펠트가 죽은 해당 년도의 [[멧 갈라]]에서 칼 라거펠트의 유작인 핑크색의 샤넬 드레스를 입으며 그를 기리기도 했다. == 디자인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mL2lTC4oto,width)]}}} || || {{{#white '''CHANEL Fall-Winter 2019''' [br] {{{-1 칼 라거펠트의 마지막 샤넬 컬렉션}}}}}} || 그가 수석 디자이너를 맡았던 브랜드는 유명 [[명품]] 브랜드인 [[펜디]]와 [[샤넬]], 그리고 자신의 디자이너 브랜드인 칼 라거펠트 3개이다. 가장 유명하면서 그의 정체성을 대표할 수 있었던 곳은 바로 [[샤넬]]. [[코코 샤넬]]에 이어서 몇 십년째 계속 디자인을 맡았으며 샤넬하면 칼 라거펠트, 칼 라거펠트 하면 샤넬이라고 할 정도로 샤넬을 대표하는 디자이너로 군림했다. [[뉴스위크]]에서는 그를 "샤넬의 [[집사]]"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특히 샤넬에 내놓은 제품들은 상상 이상으로 기발한 것들이 많았는데, 예를 들어 옷을 만들 때 [[콘크리트]]를 박아넣어 예상치 못한 [[패턴]]을 짜넣는다던지, 14FW컬렉션에는 종이용기에 가방을 넣고 랩핑을 해서 마트 [[정육점]]에서 산 [[고기]] 1팩을 연상시키는 가방까지 내놓던지, [[레스토랑]] 메뉴판을 [[클러치백]]으로 내놓는다던지 한 것이 있다. [[완벽주의]]적인 성향이다. 고령[* 나이는 [[앙드레김]]보다 2살 많은 [[1933년]]생.]에도 샤넬의 [[광고]] [[캠페인]]은 본인이 직접 촬영했다고 한다. 하도 사진들을 뭐같이 찍는데 분통이 터져서 직접 찍게된 것이 [[프로]]가 되었다. 그래서 LVMH사 아르노 회장의 딸이 결혼할 때 [[사진사]]로 참여하기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anel+SS+2019+Ad+Campaign+.jpg|width=100%]]}}} || || {{{#white '''칼 라거펠트가 직접 촬영한 샤넬 S/S19 광고'''}}} || [[샤넬]], [[펜디]]에서 절정의 감각을 뽐내며 '역시 칼 라거펠드다!'라는 감탄사가 나오는 옷들을 뽐낸 반면, 자신의 브랜드인 칼 라거펠드에서는 별로 힘을 못 써 여러가지로 혹평을 많이 들었다. 역시 나이가 들어 어쩔 수 없었다기 보다는 자기 레이블보다 샤넬이나 [[펜디]]에 더 많은 신경을 썼다고 봐야할 지도. 원래 다른 디자이너들도 자기 브랜드보다는 고용되어 있는 브랜드에 신경을 많이 쓴다. [[2004년]]에 [[H&M]]과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한 바 있다. [[2011년]] s/s 시즌에는 [[토즈]]와 콜라보레이션한 상품을 [[토즈]] 브랜드로 내놓았다. == 어록 == >'''제가 말한 것들은, 제가 말한 그 때에만 유효합니다.''' >'''제가 말한 것을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마세요.''' >'''지금 제가 말하는 것도, 내일이 되면 아마 기억 못할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내일 저는 어제와는 다른 인간이 되어있을 테니까요!''' >'''엘레강스는 패션과는 전혀 상관없는 말입니다.''' >'''젊은이들은 두려움을 가지고 있지만, 늙은이들은 정신을 가지고 있습니다.''' >'''패션 디자이너들은 패션의 독재자들입니다.''' >'''섹스는 젊은이들을 위한 좋은 장난감일 수 있지만, 나중에는 진부한 소비상품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한 디자이너의 옷으로 머리서부터 발끝까지 도배를 하는 여자보다 패션테러리스트인 사람은 없습니다.''' >'''유행은 6개월을 넘기지 못합니다.''' >'''스트레스를 가지고 일을 하는 자는 실수를 하기 마련입니다. 일을 즐기지 않을 테니까요!''' >'''당신이 [[츄리닝]]을 입는다면, 삶의 통제를 완전히 잃은 것과 다름없습니다.''' >'''저는 인생이 경쟁이 되는 것과 그 경쟁의 결과물이 불공평인 것을 두려워합니다.''' >'''아직까지 우리가 육식을 하는 동안에는, 모피에 대해서 불평을 할 수 없습니다.''' >'''열한 살 때, 어머니한테 동성애가 뭐냐고 물어 본 적이 있다. 그때 어머니는 이렇게 답하셨다. 그건 결코 중요하지 않단다. 그냥 머리카락 색깔 같은거야. 금발이 있는가 하면 갈색 머리카락도 있는 것과 같은 이치지.''' >'''옷이 당신에게 어울리는지 고민하기 전에, 당신이 그 옷에 어울리는 사람인지 먼저 고민하십시오.[* 이 발언은 그 유명한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미국이 여러분을 위해 무엇을 베풀어 줄 것인지를 묻지 말고 우리가 손잡고 인간의 자유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자문해 보십시오" 취임 선언을 패러디한 것이다.]''' == 기타 == * 한글을 사용한 [[샤넬]] 옷을 직접 디자인하여 선보였다.[[https://www.hangeul.go.kr/webzine/202201/sub1_2.html|#]] * 대표적인 [[르네상스]]맨으로 무척이나 다재다능했다. 패션 밖의 다양한 분야에 도전하여, 샤넬을 테마로 단편영화를 만들고 ‘[[아우디]]’ ‘[[매그넘]]’(아이스크림) 등의 광고를 기획했다. 다채로운 패션쇼 연출도 그의 업적으로서, 단순한 형태였던 무대를 해변, 우주정거장 등의 파격적 콘셉트로 꾸며 화제를 낳았다. 그 외에 그림과 사진에도 대단히 뛰어난 재능을 보여주었다. * [[커밍아웃]]한 [[게이]]이다. 자신의 [[뮤즈]]였던 모델 [[http://2.bp.blogspot.com/-y_LOeIuP3pQ/TefYgLwJp3I/AAAAAAAAMWs/9FLSwCDPlUo/s1600/ad_Baptiste_Giabiconi2.jpg|바티스트 지아비코니]]와 열애설도 있었는데 이 모델은 [[1989년]]생. 그러니까 56년 연하의 거의 [[손자]]뻘 상대이다. 열애 및 결혼설은 설로 끝났고 지아비코니는 꾸준히 스캔들도 나고 [[여자친구]]도 사귀어왔다. 이에 대해 지아비코니는 '별 것도 아닌 게 노인 영감 덕으로 성공했다'고 뒷말이 많았다. [[파일:밥티스트.jpg]] * 독일 [[함부르크]] 블랑케네제에 있는 대저택을 [[1991년]]에 구입하였으나 [[1998년]]에 팔았다. 그 후 프랑스 [[브르타뉴]]에 있는 샤또드페누엣이라는 성을 구입했다가 다시 팔았으며, 그 뒤로 파리에서 계속 혼자 살았다고 한다. * 분야를 막론하고 편견이나 유행에 휩쓸리지 않고 균형적인 시선을 가졌던 대단한 [[지식인]]이자 교양인으로서 평생 [[독서]]를 매우 즐겼다고 한다. 그의 저택 도서관에 무려 20만 권의 장서를 갖추었고, 파리에 '7L'이라는 이름의 서점을 열었을 정도로 책을 사랑했다. [[2010년]]에는 'LSD'라는 출판사를 설립하고 수많은 독일어 서적을 내기도 했다. * 그와 관련된 비화로는, 일단 한국에 가장 많이 알려진 것으로서 [[에디 슬리먼]]의 [[디올 옴므]]를 입기 위해 극한의 [[다이어트]]를 했다는 것이 있다. 일설에 의하면 40kg정도 감량을 했고 죽기 전까지 유지했다고 한다. 다이어트 하기 전의 모습을 찾아보면 '''정말로 많이''' 달라진 모습을 볼 수 있다.[* 본인이 스키니진을 입기 위해 다이어트를 했기 때문인지 "패션은 다이어트의 가장 강력한 동기다"고 말하기도 했다. 나이가 들수록 체중 감량이 점점 더 어려운데 엄청난 자기관리임에 분명하다] [[:파일:heavy.lagerfeld.jpg|뉘슈?]] * 한국 디자이너 [[정욱준]]의 브랜드(JUUN.J.) 옷들도 좋아했다. 임종 전 그의 사진을 보면 하나 같이 카라가 목을 다 덮는 셔츠를 입고 있는데 정욱준의 옷을 싹쓸이한 것이라 한다. * 과거 자기가 직접 패션을 위해 극한의 다이어트를 해 본 경험 때문인지는 몰라도 공개적인 자리에서 "아무도 뚱뚱한 여자들이 런웨이에 오르는 걸 보고 싶어하지 않는다(No one wants to see fat women on the runway)"는 발언을 거리낌없이 하기도 했다. 다만 여기서 뚱뚱한 여자는 [[비만]]인 [[여자]]가 아니라 하이패션에 올라올 수 없는 빅사이즈 모델 혹은 커머셜 모델, 피트니스 모델을 말한다. ||
[[파일:Candice+Swanepoel+2018+Victoria+Secret+Fashion+fT2LRigqHVcx.jpg|width=100%]] || [[파일:커미셜1.jpg|width=100%]] || [[파일:tumblr_pbjefcpf2E1vv5l9bo1_1280.jpg|width=100%]] || || 커머셜 모델 || 피트니스 모델 || 하이패션 모델 || 하이패션 모델이란 우리가 '패션쇼 모델' 하면 흔히 떠올리는 극단적으로 마른 체형의 모델이다. 라거펠트는 오로지 굶어서 살을 뺀 깡마른 하이패션 모델만이 런웨이에 올라올 자격이 있다고 주장해 논란을 빚었다. 물론 라거펠트가 사실 모든 패션에 그런 체형만을 고집했던 것은 아니고 하이패션이라는 국한된 분야에서만 그런 모델이 적합하다고 이야기 한 것이긴 하다. 이 발언 때문에 미투운동에 대한 관점에 더해 칼 라거펠트를 여성혐오자로 오인하기도 하는데, 그는 남성의 외모에 대해서도 엄격한 잣대를 들이댄다. "인생은 미인대회가 아니다. 못생긴 사람들 중에도 훌륭한 사람은 있다. 내가 혐오하는 건 추잡하면서도 못생긴 사람들이다. 그중에서도 최악은 못생기고 키 작은 남자다. 여자는 키가 작아도 되지만 남자는 무조건 커야 된다. 키 작은 남자들은 자신이 키가 작다는 사실을 평생 떨쳐내지 못한다. 키 작은 남자는 비열하고 당신을 죽이고 싶어할 것이다" 라는 말을 해서 물의를 빚은 적도 있다. 이렇듯 pc하지 못한 발언이 많은 편인데, 성소수자이기 이전에 30년대에 태어난 노인임을 고려해야 한다. * 2018년에는 프랑스 누메로 매거진과 한 인터뷰에서 [[미투 운동]]이 지긋지긋하다고 발언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스타일리스트 칼 템플러의 성추행 의혹을 부정하면서 '스타일리스트가 바지를 내리라는 것이 싫다면 모델을 하지 말고 [[수도회|수녀원]]에 들어가라'고 맹비난하면서 논란을 일으켰다.[[http://www.fashionn.com/board/read_new.php?table=1025&number=24259|#]] * 2010년경 치아가 심각하게 손상된 [[:파일:라거팩트.jpg|사진(혐짤주의)]]이 찍혀 [[마약]]([[메스암페타민]]) 복용 의혹을 받았다. 필로폰을 과다 복용하면 소위 Meth mouth라고 불리는 치아의 급속한 손상이 일어날 수 있기때문. * [[파일:attachment/칼 라거펠트/c7.png|width=300]] [[파일:attachment/칼 라거펠트/29.jpg|width=300]] [[2010년]]과 [[2011년]]에는 [[코카콜라]]와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하기도 했다. 실제로 코카콜라 라이트를 즐겨 마셨다고 한다. * [[Grand Theft Auto IV]]에서 [[Grand Theft Auto 시리즈/라디오 채널 일람#s-7.5|K109]] 라디오의 [[http://gta.wikia.com/wiki/Karl_Lagerfeld|DJ로 등장한 적도 있다.]] * 2013년에 [[SUPER JUNIOR]]의 [[시원(SUPER JUNIOR)]]과 작업을 한 적이 있었다. [[2015년]] [[https://www.yahoo.com/style/enter-the-g-dragon-fashions-new-it-boy-109334040943.html|스프링 꾸튀르 쇼]]와 [[http://www.kpopstarz.com/articles/218616/20150710/g-dragon-chanel-karl-lagerfeld.htm|2015-16 F/W 쇼]]에서는 [[G-DRAGON]]을 등장시켰다. * 해외에서의 인식은 한국 패션계 내 [[앙드레 김]]과 같은 [[원로]] 정도로 보거나, 그의 [[커리어]]와 샤넬의 상징적인 의미, [[마스코트]]로 인식하기도 한다. 한국 한정 애칭은 칼 할배이다. * [[G-DRAGON]]과 친분이 있다. * [[Go! 프린세스 프리큐어]]의 [[Go! 프린세스 프리큐어/등장인물#s-6|보로로 보안느]]와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의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일회성 캐릭터/시즌 1#s-8|호이티 토이티]]의 모티브가 되었다. 헤어 스타일과, 선글라스를 착용한 모습이 딱 그 모습이었다. * [[파일:external/www.santevet.com/Choupette%20Karl%20Lagerfeld%20Opel%203.jpg|width=400]] [[고양이]] [[집사]]로도 유명했다. 밥티스트 지아비코니가 2주 간의 [[크리스마스]] [[휴가]]를 위해 칼 라커펠트에게 키우던 [[고양이]]의 임시보호를 부탁했으나, 라거펠드가 이 고양이의 매력에 반하면서 고양이를 [[입양]]했다. "슈페트 라거펠드(choupette lagerfeld)"라 불리는 이 [[고양이]]는 [[전용기]]를 타고 다니며 두 명의 개인 집사와 전문의, 전용 침대, 놀이용 [[아이패드]] 뿐만 아니라 [[인스타그램]] 팔로워 10만명, [[트위터]] 팔로워 5만명의 팬을 보유하고 있었다.[br][br]이 고양이는 [[2014년]] 화장품 브랜드 [[슈에무라]]와 [[홀리데이]]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했다. [[2014년]]도에 [[잡지]] 촬영 및 [[광고]] 등으로 300만 유로(한화로 약 35억 원)를 벌었다. 단, 고양이 사료, 간식 광고 요청은 거부하고 있는데, "그런 광고를 찍기엔 슈페트가 너무 세련되었다고" 라거펠드가 반대했기 때문.[br][br]라거펠트 사후 이 고양이도 유산 일부를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europe/882843.html|물려받는다고 한다.]] 프랑스 법상 반려동물에게 증여는 안 되지만, 신탁에 맡기는 방식으로 라거펠트 사후에도 현재와 같은 생활을 유지하고, 전속 경호원과 하인도 유지된다고 한다. == 미디어에서 == * 2021년 8월 31일, [[디즈니]]에서 라커펠트를 주인공으로 하는 드라마가 제작된다는 보도가 나왔다. [[https://variety.com/2021/streaming/global/karl-lagerfeld-series-disney-plus-series-mania-1235052554/|#]] * 2022년 10월, 그의 전기영화가 제작되며 [[자레드 레토]]가 주인공을 맡는다는 보도가 있었다. [[https://deadline.com/2022/10/jared-leto-karl-lagerfeld-1235136307/|#]] [[분류:독일의 패션 디자이너]][[분류:독일의 사진가]][[분류:함부르크 출신 인물]][[분류:프랑스 패션학교 출신]][[분류:독일의 게이]][[분류:1933년 출생]][[분류:2019년 사망]][[분류:췌장암으로 죽은 인물]][[분류:레지옹 도뇌르 훈장/코망되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