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KDL, other1=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던 도타 2의 공식 대회, rd1=코리아 도타 2 리그, other2=대한민국 자동차 운전면허(Korean Driver's License), rd2=운전면허증)] [include(틀:다른 뜻1, from=카트리그, other1=2022년까지 운영되었던 전작 대회, rd1=카트라이더 리그)] [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other1=최근에 진행되었던 리그, rd1=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 [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other1=2023년 10월 7일 개최 예정인 리그, rd1=2023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include(틀: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include(틀: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역대 대회)] ---- ||<-3> [[파일:KDL logo.png|width=50%&theme=light]][[파일:KDL logo light.png|width=50%&theme=dark]] || ||<-3> {{{+2 {{{#fff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br]{{{#fff '''KARTRIDER: DRIFT LEAGUE'''}}} || ||<-2> '''약칭''' ||{{{+1 {{{#fff '''KDL'''}}}}}} || ||<-2> '''창설''' ||[[2023년]] [[10월 7일]] || ||<-2> '''지역'''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운영 주체''' ||[[넥슨|[[파일:넥슨 로고.svg|width=60&theme=light]][[파일:넥슨 로고 다크.svg|width=60&theme=dark]]]] || ||<-2> '''컬러''' ||{{{+5 {{{#000 ■}}}}}} {{{-2 (미정)}}} || ||<-2> '''경기장''' ||[[비타500 아프리카 콜로세움]] {{{-2 (2023 ~)}}} || ||<-2> '''주관 방송사''' ||[[아프리카TV|[[파일:아프리카TV 로고.svg|height=13]]]] {{{-2 (2023 ~)}}} || ||<-2> '''송출 플랫폼''' ||[[아프리카TV|[[파일:아프리카TV 로고.svg|height=13]]]]│[include(틀:유튜브 로고, height=13)]│[[트위치|[[파일:트위치 로고.svg|height=13]]]] [[트위치|[[파일:트위치 아이콘.svg|height=15]]]]│[[TikTok|[[파일:틱톡 로고.svg|height=13&theme=light]]]][[TikTok|[[파일:틱톡 로고 화이트.svg|height=13&theme=dark]]]] || ||<-2> '''공식 홈페이지''' ||[[https://kartrideresports.nexon.com/KDL| [[파일:kart Esports logo.png|height=25]]]] || ||<-2> '''공식 SNS''' ||[[https://instagram.com/kdl_k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https://www.tiktok.com/@kartrideresports|[[파일:틱톡 아이콘.svg|height=20]]]] || ||<|3> '''중계[br]채널''' || [[한국어|{{{#!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br]'''{{{-4 {{{#fff 한국어}}}}}}''' ||[[https://www.youtube.com/@KDL_KR|[[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https://www.twitch.tv/KDL_KR|[[파일:트위치 아이콘.svg|height=20]]]]│[[https://bj.afreecatv.com/kdl|[[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height=20]]]] || || [[영어|{{{#!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미국 영국 국기.svg|width=100%]]}}}]][br]'''{{{-4 {{{#fff 영어}}}}}}''' ||[[https://www.youtube.com/@KDL_Globa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https://www.twitch.tv/kdl_global|[[파일:트위치 아이콘.svg|height=20]]]]│[[https://bj.afreecatv.com/kdlglobal|[[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height=20]]]] || || [[표준중국어|{{{#!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중국 국기.svg|width=100%]]}}}]][br]'''{{{-4 {{{#fff 중국어}}}}}}''' ||[[https://www.youtube.com/@KartRiderDriftT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https://www.twitch.tv/nexon_taiwan|[[파일:트위치 아이콘.svg|height=20]]]] || ||<-2> '''최근 우승팀''' ||- {{{-2 ( - 회)}}} || ||<-2> '''최근 개인전 우승자''' ||- {{{-2 ( - 회)}}} || ||<-2> '''최다 우승팀''' ||- {{{-2 ( - 회)}}} || ||<|3><-2> '''최다 우승자''' ||'''통산''' - {{{-2 ( - 회)}}} || ||'''개인전''' - {{{-2 ( - 회)}}} || ||'''팀전''' - {{{-2 ( - 회)}}} || [목차] [clearfix] == 개요 == [[넥슨]]이 주최하는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 운영되었던 정규 e스포츠 대회인 [[카트라이더 리그]]의 후속 대회이다. == 참가 방식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의 경우 인게임 그랑프리 모드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그랑프리#s-등급|그랑프리 포인트]](GPP)를 기준으로 예선 참가 인원을 선발한다. 기존 [[카트라이더 리그]]에서의 그랑프리 모드와 운영되는 방식이 약간 다른데, 카트라이더 리그의 그랑프리는 애초에 리그 예선 참가 인원 선발만을 목적으로 리그 개막 이전 특정 기간동안만 오픈되었고, 그랑프리 마감 시점의 점수를 기준으로 예선 참가 인원을 선발했다. 하지만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의 그랑프리는 리그 일정과 무관하게 상시 오픈되기 때문에 마감일의 점수를 기준으로 할 수 없으니 일정 기간을 정해 그 기간 중 달성한 최고 점수를 기준으로 하는 식이다. 개인전의 경우 예선 참가 신청자 중 스피드전 GPP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상위 128명'''이 선발되며, 팀전의 경우 네 팀원의 GPP[* 팀원이 5명 이상이라면 전체 팀원 중 GPP가 높은 상위 4명의 GPP를 합산한다. 이때의 GPP는 스피드전 점수과 아이템전 점수 중 높은 점수를 사용한다.]를 합산한 숫자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상위 32팀'''이 선발된다. 사전 선발된 프로팀의 경우 예선이 면제된다. * 프리시즌 1 * 첫 대회였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 한정으로 [[CokePlay 카트라이더 1차 리그|2005 1차 리그]]부터 [[2022 신한은행 SOL 카트라이더 리그 슈퍼컵|2022 슈퍼컵]]까지의 [[카트라이더 리그]] 본선에 참가했던 이력이 있는 선수들로 리그 참가가 제한되었다. 개인전의 경우 카트리그 본선 참가이력이 있어야만 참가 신청을 할 수 있고, 팀전의 경우 아마추어팀이라면 팀 맴버 전원이 카트리그 본선 참가이력이 있어야만 팀전 참가신청 자격이 부여되었다. 다만, 프로팀의 경우 전술한 제한사항이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한종문|JJONG]], [[이진건|VEGA]], [[김지환(2007)|Duzzi]]가 프로팀 [[ROX ESPORTS/카트라이더: 드리프트|ROX]] 로스터에 포함되어 카트리그 본선 경험이 없음에도 팀전에 출전할 수 있었다.[* 프로팀 소속이라도 개인전에서는 카트리그 본선 참가이력을 필수적으로 요구했기에 개인전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 개인전의 경우 그랑프리 점수(GPP)가 아닌 선수 개인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오프라인 예선#s-2.1|우승 횟수 + 본선진출 횟수]]로 점수를 매겨 신청인원 중 상위 128명을 선발한다. 카트 리그 본선 진출자로 참가자격이 제한되어 있었기에, 실제로는 128명에 한참 부족한 49명이 참가신청을 했고 2명이 예선에 불참하여, 예선 참가자 47명 중 상위 32명이 본선에 진출했다. 팀전의 경우 기존과 동일하게 프로팀 3팀은 예선을 면제받아 본선에 직행, 아마추어팀끼리 예선을 거쳐 참가한 8팀 중 상위 5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참가팀 로스터|참가팀 로스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참가팀 로스터)] === 프로게임단 === [include(틀:카트라이더: 드리프트 프로게임단)] [include(틀:해체된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프로게임단)] === 아마추어 게임단 === [include(틀:카트라이더: 드리프트 아마추어 게임단)] {{{#!folding [ 아마추어 게임단 기록 기준 ] * 다음 중 하나 이상의 요건을 충족한 아마추어팀만 기록해주시기 바랍니다. * 리그 본선에 2회 이상 출전한 아마추어팀. * 이때의 출전 횟수는 [[카트라이더 리그]] 출전 횟수를 포함합니다. * 팀 로스터가 직전 시즌 대비 3인 이상 유지되었을 경우, 팀명이 변경되더라도 같은 팀으로 간주합니다. * 최종 순위 4위 이상을 기록함과 동시에 프로팀보다 더 높은 최종 순위를 기록한 아마추어팀.}}}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역사|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역사)]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컬러|컬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컬러)]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개인전의 경우 직전 라운드 성적으로 '''8개의 컬러'''가 각 선수에게 부여된다. 8명의 선수를 8개의 컬러로 나누어 여러 선수들을 직관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래의 목적이기는 하지만 카트라이더 리그에서의 컬러는 '''단순한 구분용 색깔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개인전 컬러가 가장 주목받는 때는 단연코 '''개인전 결승전'''인데, 어떤 컬러가 우승을 차지하는지가 매 시즌 큰 관심사가 된다. 또한, 어떤 컬러가 계속해서 좋은 성적을 내는지, 반대로 어떤 컬러가 계속해서 하위권을 전전하는지를 살펴보는 것도 재미있는 관전 포인트가 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카트라이더 리그]] 시절부터 '''컬러와 관련된 [[카트라이더 리그/징크스#s-2|징크스]]'''가 여럿 존재해왔다. 특정 컬러를 반복적으로 부여받고 결승전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는 선수들은 그 컬러 자체가 자신의 상징색이 되기도 한다. === 컬러별 우승 횟수 === * 역대 컬러별 결승전 성적은 [[/컬러#s-4.2|해당 문서]] 참고. || '''{{{#fff 컬러}}}''' || '''{{{#fff 개인전 우승 횟수}}}''' || || '''{{{+1 {{{#000 옐로우 Yellow}}}}}}[br]{{{#000 {{{-2 (1번 시드)}}}}}}''' || || || '''{{{+1 {{{#fff 블랙 Black}}}}}}[br]{{{#fff {{{-2 (2번 시드)}}}}}}''' || || || '''{{{+1 {{{#fff 레드 Red}}}}}}[br]{{{#fff {{{-2 (3번 시드)}}}}}}''' || || || '''{{{+1 {{{#000 화이트 White}}}}}}[br]{{{#000 {{{-2 (4번 시드)}}}}}}''' || || || '''{{{+1 {{{#fff 퍼플 Purple}}}}}}[br]{{{#fff {{{-2 (5번 시드)}}}}}}''' || || || '''{{{+1 {{{#fff 그린 Green}}}}}}[br]{{{#fff {{{-2 (6번 시드)}}}}}}''' || || || '''{{{+1 {{{#fff 블루 Blue}}}}}}[br]{{{#fff {{{-2 (7번 시드)}}}}}}''' || || || '''{{{+1 {{{#000 오렌지 Orange}}}}}}[br]{{{#000 {{{-2 (8번 시드)}}}}}}''' || ||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역대 입상 기록|역대 입상 기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역대 입상 기록)] === 역대 우승자 === [include(틀: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역대 개인전 우승자)] [include(틀: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역대 우승팀 로스터)] === 역대 시즌별 입상자 === [include(틀: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역대 시즌별 입상자)]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역대 기록|역대 리그 기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역대 기록)]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프리시즌 기록)] === [[역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일람|역대 대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역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일람)] === 역대 로고 === === 역대 리그 방식 === === [[/역대 트랙|역대 트랙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역대 트랙)] === [[/스토브리그|역대 스토브리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스토브리그)]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베스트 레코드|역대 베스트 레코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베스트 레코드)] [include(틀: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역대 팀전 베스트 레코드)] [include(틀: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역대 개인전 베스트 레코드)] ||<-2> '''{{{+1 {{{#fff 시즌 베스트 레코드 최다 보유자}}}}}}''' ||<-2> '''{{{+1 {{{#fff 역대 베스트 레코드 최다 보유자}}}}}}''' || || '''{{{#fff 팀전}}}''' || '''{{{#fff 개인전}}}''' || '''{{{#fff 팀전}}}''' || '''{{{#fff 개인전}}}''' || || || || || || ||<-2> '''{{{#fff 종합}}}''' ||<-2> '''{{{#fff 종합}}}''' || ||<-2> ||<-2> || ||<-4> {{{#fff {{{-3 • 2023 시즌 1 기준}}}}}} || === 역대 중계진 === [include(틀: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중계진)] [include(틀: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Global 중계진)] ----- ||<-4> '''{{{#fff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역대 중계진}}}''' || ||<-4> [[한국어|{{{#!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fff KR}}}''' || || '''리그''' || '''캐스터''' || '''해설자''' || '''아나운서''' ||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프리시즌 1]] ~ 현재 || [[성승헌]] || [[정준]], [[김대겸]] || [[최시은]] || ||<-4> [[영어|{{{#!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미국 영국 국기.svg|width=100%]]}}}]] '''{{{#fff Global}}}''' || || '''리그''' || '''캐스터''' || '''해설자''' || '''아나운서''' ||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프리시즌 1]] ~ 현재 || - || [[울프 슈뢰더|Wolf]], [[라이언 비스벡|State]], [[조한규(e스포츠)|Chobra]], Peter || - || === 역대 라이벌리 === == 주요 선수 == === 2023 ~ === == [[/징크스|징크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징크스)] == 우승 트로피 == == [[/시즌별 평가|시즌별 평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시즌별 평가)] == [[/비판 및 문제점|비판 및 문제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비판 및 문제점)]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논란 및 사건 사고)] == 전망 == 국내에서의 카트라이더 IP의 인지도는 높은 편이지만, 해외에서도 인지도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중국/대만을 넘어 서양권 게이머들의 인식을 바꿔 게임의 인지도를 높이고, 유저 수를 많이 확보해야 카트라이더 e스포츠의 흥행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는 기획 단계에서부터 '''글로벌 e스포츠'''를 목표로 한다고 발표했지만, 아직까지는 대한민국 지역에 한정되어 있는 모습이다. KDL에 참가하는 모든 선수는 대한민국 국적자이거나, 외국인이라면 적법한 자격을 갖고 대한민국에 체류 중인 사람이어야 하고, 팀전의 경우 로스터의 절반 이상을 한국인으로 구성해야 하는 등의 제한사항이 존재한다. [[LoL 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나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발로란트]]의 경우처럼 KDL을 [[LCK]]나 [[VALORANT Challengers Korea|VCK]]와 같이 '''대한민국 지역 리그'''로서 운영하고,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Worlds]]나 [[발로란트 챔피언스]]처럼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상위 대회'''를 새롭게 개최하는 방식으로 글로벌 리그를 실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가 전 세계적으로 많은 플레이어 수를 확보한다는 가정 하에서 가능한 일이다. 2월 1일에 넥슨이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201_0002176855&cID=13008&pID=13100|아프리카TV와 e스포츠 및 콘텐츠 제작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는 기사]]가 나왔으며, 아프리카TV는 e스포츠 전용 경기장 및 플랫폼, 콘텐츠 지원을 통해 글로벌 뷰어십을 높이고 스트리머 발굴 등 넥슨과의 협력 사업을 위한 여러 제반 활동을 진행함에 따라 4월에 진행할 프리시즌 토너먼트나 9월에 개최될 정규 리그를 [[상암 아프리카 콜로세움]]이나 [[비타500 아프리카 콜로세움]]에서 진행할 가능성이 생겼다. 그리고 2월 8일 라이브 방송에서 잠실일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한 것으로 보아 후자가 될 확률이 높고 프리시즌 1에서 현실이 되었다. 카트라이더: 드리프트가 2023년 e스포츠 종목선정 결과 발표에 따라 일반 종목에서 전문 종목으로 승격되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39&aid=0000025495|#]] 전문 종목은 일반 종목과는 달리 지속적인 투자로 인해 프로 선수가 지속적인 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는 환경이 되는 종목으로, 이는 KDL이 '''[[LCK]]'''와 '''[[VALORANT Challengers Korea|발로란트 리그]]'''와 같은 지위로써 인정받을 수 있게 됐다는 의미가 된다. 3월 9일에 발표된 규정에 따라[* 대회에 참가하는 선수는 '대회별 세부 규정집'에 따라 레이서명을 제출해야 한다.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공인 대회 세부 규정집 4.6.2.항 중] 모든 선수들은 로마자로 이루어진 레이서명을 제출해야 한다. 그 동안 한국에서만 리그가 개최되었기에 모든 선수들이 본명 그대로 출전하였으나 전 세계를 타깃으로 잡은 게임이기 때문에 해외 유저들이 선수를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배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글로벌 e스포츠 리그를 기획하고 있었던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에서 선행 적용된 적이 있다. RUNMINGI로 참여한 [[민기(프로게이머)|민기]]나, VEGA로 참여한 [[이진건]] 등을 비롯해 모든 선수가 영어 레이서명을 사용했다.] 그리고 프리시즌 1을 전후해 카트리그 후반기를 지배했던 스타 선수들이 하나둘씩 떠나가면서 세대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현재 게임 자체의 평가가 썩 좋지 않아서 신인 유입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이 많다. 그나마 카트리그 막바지에 가능성을 보였던 [[홍성민(프로게이머)|홍성민]]이나 프리시즌 1의 유일한 신인이었던 [[김지환(2007)|김지환]]이 첫 프리시즌에서 나름대로 인상적인 모습을 남기긴 했으나, 리그가 제대로 굴러가려면 더 많은 신진 선수들이 활약해줘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게임이 뉴비들을 더 이끌어와야만 하는데 게임의 상태가 안 좋으면 뉴비는 자연스레 줄어들 수 밖에 없고 그렇게 되면 세대교체가 실패해 리그 자체가 사라지거나 그들만의 소규모 리그로 전락할 위험이 있다.[* [[스타크래프트 2]]가 국내에서 이 루트를 탄 전형적인 게임이다. 종목 전환 직후에도 어느정도 등장하는 신예 선수, 스타1 막바지에 입문한 선수들이나 스타1에서 잠재력을 터뜨리지 못한 유망주들이 한동안 리그를 나름대로 잘 이끌어나갔다. 그러나 결국 스타2라는 게임 자체에 유입이 대폭 줄어들면서 프로리그가 폐지되고 국내 프로팀들은 대부분 역사 속으로 사라졌으며, 현재는 GSL이나 IEM 등 국내외 개인리그로 명맥이 이어지는 중이다. 그리고 리그에 출전하는 선수들을 보면 못해도 6~7년 전부터 계속해서 뛰어온 선수들만 가득함을 확인할 수 있다.] 리그가 아무리 잘나간다고 해도 본 게임의 상태가 좋지 않으면 리그의 수명도 장담할 수 없기에 팬들은 매일마다 카트 드리프트의 개발진들을 성토하고 있다. 여기에 스타 선수들이 떠나간다는 말은 곧 팬덤의 이탈이라는 말과 같은 만큼 더더욱 우려가 크다. 이미 카트리그를 끝으로 군 문제 및 은퇴로 사실상 커리어가 끝난 [[전대웅]]과 [[김승태]], [[유영혁]]을 시작으로, 프리시즌 1이 끝나고 리그의 아이콘 가운데 한 명이자 최고의 인기 스타였던 [[박인수]] 역시 군 문제로 리그를 떠나게 되면서 걱정이 더욱 커지는 중. 카트리그의 황제였던 [[문호준]]이 현역으로 돌아오긴 했으나 정작 프리시즌 1에서 생각보다 아쉬운 기량을 보여준데다, 그간 여러 구설수에 휘말리며 인기 못지 않게 비호감 여론 역시 커진 탓에 예전과 같은 화제성은 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 여담 == * 전신인 [[카트라이더 리그]]의 커리어는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로 승계되지 않는다. 카트라이더 리그 통산 14회의 우승을 달성한 [[문호준]]을 비롯한 기존 카트리그 선수 모두가 입상기록 제로에서부터 새롭게 커리어를 쌓아나가게 되었다. * 기존 카트리그 선수 출신이 아닌 유저들의 참가가 처음으로 허용된 [[KDL Preseason 2|프리시즌 2]]에서 기존 카트리그 출신 선수들을 밀어내고 본선에 진출한 신예 선수가 10명 등장했다. 고인물화 되어있던 카트리그판에 새로운 선수들이 여럿 등장하면서 급격한 세대교체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생겼다. == 관련 문서 == [include(틀:카트라이더 e스포츠)] [include(틀:카트라이더: 드리프트)] * [[카트라이더 리그]]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포지션]] [[분류: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