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군대)] [include(틀:카타르 관련 문서)] ||<-2><:>{{{+3 {{{#FFF '''카타르군''' }}}}}}[br] {{{+2 {{{#FFF Qatar Armed Forces }}}}}} [br] {{{+1 {{{#FFF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قطرية }}}}}}|| ||<-2> [[파일:Seal_of_the_Qatar_Armed_Forces_General_Command.png|width=100%]] || || '''{{{#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카타르)]|| || '''{{{#fff 상비군}}}''' ||66,550명 || || '''{{{#fff 예비군}}}''' ||15,000명 || || '''{{{#fff 병역제도}}}''' ||[[징병제]]|| [목차] [clearfix] == 개요 == [[카타르]]의 군대. == 역사 == 66,550명의 [[상비군]]을 보유하며, [[미국]], [[독일]], [[프랑스]] 등 다양한 국가의 무기를 도입하여 운용하고 있다. 걸프만 국가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이란]]과 [[무슬림 형제단]]에 우호적이라는 이유로 현재 [[사우디아라비아군]]과 대치중에 있다.[* 이슬람 보수주의에 근거한 공화정을 주장하는 이 두 세력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 등이 경계하고 있다. 카타르는 왕국 국내에서 무슬림 형제단의 활동을 허가하고 이들의 해외 지부에 무기와 자금을 보내고 있다. 이란에도 우호관계를 유지하고 신용 차관을 제공하는 등 걸프 만 지역에서 이단적인 행보를 이어갔다. 지역 강국들에게 완전히 찍혀버린 것.] 2017년에 있었던 사우디 주도의 대 카타르 단교 사태로 인해서 카타르가 국방에 더 신경쓴다는 얘기도 있다. [[1차 리비아 내전]] 당시 대량의 무기를 반군에 밀수하는 등 실제로도 무슬림 형제단과 상호 우호적인 관계다. 선거로 구성된 무슬림 형제단 계열 [[국가협의정부]]가 [[시르테]]를 점거한 ISIL을 격퇴하고 이후 [[2차 리비아 내전]]에서 [[칼리파 하프타르]]의 군세와 교전하는 것 역시 1차 리비아 내전 이후로 내내 지원했다. 2014년부터 [[징병제]]를 도입했다. 18세에서 35세 사이 카타르 남성이 징집되며, 복무 기간은 4개월(대학원 졸업생의 경우 3개월)이다. 이를 회피하면 징역 1년 또는 5만 리얄(한화 약 1,840만원)의 벌금형에 처한다. [[튀르키예]]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어 군사교류 역시 많다. 사우디의 봉쇄사태가 한창이던 2010년대 후반에는 아예 [[튀르키예군]]이 카타르에 주둔하기도 했다. == 수뇌부 == || [[파일:Sheikh Tamim Bin Hamad Al-Thani.jpg|width=100%]] || ||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 사실상의 [[전제군주제]] 국가로서 카타르 국왕이 카타르군의 최고 명령권자다. == 구성 == === 육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타르 육군)] === 해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타르 해군)] === 공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타르 공군)] [각주] [[분류:카타르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