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회사에서 운영하는 간편 결제 서비스, rd1=카카오페이)] [include(틀:카카오)] ||<-2> '''{{{+1 주식회사 카카오페이}}}[br]Kakao Pay Corp.''' || ||<-2> [[파일:카카오페이 로고.svg|width=300]] || ||<|2> '''사명''' ||'''국문''': 주식회사 카카오페이 || ||'''로마자''': Kakao Pay Corp. || || '''설립일''' ||[[2017년]] [[4월 3일]][* 출시일은 [[2014년]] [[9월 5일]]이다.] || || '''업종''' ||금융 지원 서비스업[* 모바일 간편결제, 간편송금 및 기타 금융서비스를 운영하는 [[핀테크]] 기업이다.] || || '''대표자''' ||신원근[* 부친은 신영주 前 한라공조(현 [[한온시스템]]) 대표이사 회장] || || '''모회사''' ||[[카카오(기업)|[[파일:카카오(기업) 로고.svg|width=50]]]] || || '''기업 분류''' ||[[대기업]] || || '''상장 여부''' ||상장기업 || || '''상장시장''' ||[[유가증권시장]] ([[2021년]] ~ 현재) || || '''종목코드'''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77300|KS: 377300]] || || '''시가총액''' ||'''4조 7,102억원'''^^(2022년 10월 20일 기준)^^ || || '''직원 수''' ||922명^^(2021년 12월 31일 기준)^^ || || '''자본금''' ||659억 4,154만원^^(2021년 기준)^^ || || '''매출액''' ||연결: 4,586억 4,679만 9,073원^^(2021)^^[br]별도: 4,034억 1,675만 5,429원^^(2021)^^ || || '''영업이익''' ||연결: -272억 2,715만 8,574원^^(2021)^^[br]별도: -4억 132만 7,820원^^(2021)^^ || || '''순이익''' ||연결: -338억 6,331만 446원^^(2021)^^[br]별도: -107억 3,121만 7,823원^^(2021)^^ || || '''자산총액''' ||연결: 3조 4,327억 894만 4,352원^^(2021)^^[br]별도: 2조 7,047억 6,381만 6,673원^^(2021)^^ || || '''부채총액''' ||연결: 1조 6,370억 7,118만 3,230원^^(2021)^^[br]별도: 9,635억 1,258만 3,327원^^(2021)^^ || || '''부채비율''' ||연결: 91.17%^^(2021년 기준)^^[br]별도: 55.33%^^(2021년 기준)^^ || || '''자회사''' ||[[카카오페이증권]][br][[KP보험서비스]][br][[카카오페이손해보험]][br]{{{-2 (2021년 12월 31일 기준)}}} || || '''소재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166, B동 15층 ([[백현동]], 카카오판교아지트)[br][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532 카카오페이), 너비=100%)] || || '''홈페이지''' ||[[https://www.kakaopay.com]] || || '''SNS''' ||[[https://kakaopay.tistory.com| [[파일:티스토리 아이콘.svg|width=15]] '''{{{#000000,#ffcd00 카카오페이 블로그}}}''']][br][[https://www.youtube.com/channel/UCiC-E0YuAr836x0yptINkJw|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000000,#ffcd00 카카오페이 유튜브}}}''']][br][[https://www.instagram.com/kakaopay.official|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15]] '''{{{#000000,#ffcd00 카카오페이 인스타그램}}}''']][br][[https://www.facebook.com/kakaopay|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15]] '''{{{#000000,#ffcd00 카카오페이 페이스북}}}''']] || || '''대표전화''' ||{{{#000000,#ffcd00 '''1644-7405'''}}} || [목차][clearfix] == 개요 == [youtube(KRsxRL06X3U)] [youtube(IUzef2JFbN8)] [[대한민국]]의 [[간편 결제 서비스]]로 출발하여 종합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빅테크/핀테크/테크핀 회사. [[카카오톡]] 앱을 통해 [[결제]], [[계좌이체|송금]], [[멤버십]], 청구서, 인증 등을 제공하는 종합 [[핀테크]] 서비스이자 회사이다.(카카오톡을 넘어 카카오페이앱을 통해 마음 놓고 금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14년]] [[9월 5일]]부터 결제 기능을 통해 서비스를 시작했다. 2022년 1분기 말 기준 카카오페이 누적 가입자 수는 3788만명으로 집계됐다. 이 숫자는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수준으로 앱 이용자수로는 단연 국내 1위가 되었다. 카카오페이를 통해 실제 거래를 하고 있는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도 2156만명을 웃돈다. Copyright © kakaopay corp.와 같은 식으로 소문자로 표기한다.[* [[https://www.kakaopay.com/]]] [[2017년]] [[4월]]에 카카오페이 주식회사라는 독립 법인이 출범하여, 현재 (주)카카오페이에서 관리하고 있다. 간편 결제 서비스로 시작하여 송금, 멤버십, 청구서, 인증 등 여러 서비스를 하고 있다. == 지배구조 == 2023년 4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카카오(기업)|카카오]] || 46.60%||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2]]]] [[알리페이]][* 자회사 ALIPAY SINGAPORE HOLDING PTE. LTD. 명의.] || 34.36%|| == 논란 == === 도덕적 해이가 온 경영진의 보유 지분 전량 매각 === 류영준 당시 대표이사가 "100% 확신할 수는 없지만 단기적 매각 의사는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장담했지만 정작 본인 및 경영진들이 지분을 대량 매각했다. 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류 대표는 자사주 23만주를 주당 20만4017원에 팔아 치웠다고 지난 10일 공시했다. 약 469억원에 달하는 차익을 거뒀다. 그 뿐만이 아니다. 나호열(3만5800주), 신원근(3만주), 이지홍(3만주), 이진(7만5193주), 장기주(3만주), 전현성(5000주), 이승효(5000주) 등 각 부문 총괄을 맡고 있는 부사장급 주요 경영진들이 스톡옵션을 행사했다. 총 44만993주로, 금액으로는 900억원에 달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014977?cds=news_edit|#]] 상장 당시 고 공모가 논란이 있었지만 카카오페이의 성장성을 보고 매수했던 투자자들은 경영진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경영진의 매도는 악재로 인식될 수 밖에 없다”면서 “경영진이 대거 주식을 팔았다는 사실은 고평가됐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한 셈이 아니냐”고 지적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3237482|#]] 경영진의 스톡옵션 대량 매도로 '먹튀' 논란을 빚었던 카카오페이가 전 직원 간담회를 연다. 경영상 문제가 없다는 입장에도 내부 불만이 계속되자 류영준 대표가 직접 구성원 달래기에 나선 모양새다. 하지만 소용이 없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4688320?cds=news_my|#]] 결국 류영준은 내정되었던 카카오 대표에서 자진 사퇴하기로 했고, 다만 카카오페이 대표는 3월까지 유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https://byline.network/2022/01/10-193/|#]] 그리고 카카오페이 주가는 2022년 5월에 고점대비 60% 넘게 하락해서 공모가인 9만원 밑으로 내려갔다. 2022년 10월 17일 현재기준 카카오페이 주가는 32,600원이며 고점 대비 약 87% 하락했다. 이게 경영진이 팔고 도망간 주식의 말로다. 다만 그냥 사퇴한 류영준 대표이사와 달리 새로 선임된 신원근 대표이사는 카카오페이 주식을 다시 사들였고, 차후 이를 매각해서 이익이 발생하면 전부 사회에 환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불안정한 미래 === 위에서 이야기했듯 주요 경영진이 주식을 100% 매각하고 튀었고, 주가는 연일 폭락 중이다. 거기에 [[SK C&C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라는 브랜드 자체가 상당한 타격을 입은 상황이라 카카오페이의 미래는 암울하기 그지없다. [[분류:카카오(기업)]][[분류:대한민국의 금융회사]][[분류:2017년 기업]][[분류:코스피상장법인]][[분류:경기도의 기업]]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카카오페이, version=5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