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카지리카무이카구라]][[분류:에로게]] [include(틀:신좌만상 시리즈)] [include(틀:겟츄 미소녀게임 대상 뮤직)] ||<-2>
{{{#000000,#dddddd '''{{{+1 카지리카무이카구라}}}'''}}}[br]神咒神威神楽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ttachment/카지리카무이카구라/71c71dWxBJL.jpg|width=100%]]}}} || || '''{{{#000000,#dddddd 개발}}}''' ||[[light(게임 브랜드)|light]] || || '''{{{#000000,#dddddd 유통}}}''' ||Greenwood || || '''{{{#000000,#dddddd 플랫폼}}}'''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br][[PlayStation Vita|[[파일:PlayStation Vita 로고.svg|height=16]]]] || || '''{{{#000000,#dddddd ESD}}}''' ||○○ || || '''{{{#000000,#dddddd 장르}}}''' ||일본식 검극 AVG || || '''{{{#000000,#dddddd 출시}}}'''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1년 9월 30일[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3년 04월 25일 || || '''{{{#000000,#dddddd 엔진}}}''' ||○○ || || '''{{{#000000,#dddddd 한국어 지원}}}''' ||미지원 || || '''{{{#000000,#dddddd 심의 등급}}}''' ||'''{{{#000000,#dddddd 심의 없음}}}''' || || '''{{{#000000,#dddddd 해외 등급}}}''' ||'''[[컴퓨터 오락 등급 기구|{{{#000000,#dddddd CERO Z}}}]]'''[br]'''[[컴퓨터 오락 등급 기구|{{{#000000,#dddddd CERO C}}}]]'''(전연령판) || || '''{{{#000000,#dddddd 관련 사이트}}}''' ||[[http://www.light.gr.jp/light/products/kajirikamuikagura/|카지리카무이카구라 공식 홈페이지]][br][[http://www.light.gr.jp/light/products/kkk_cs/|카지리카무이카구라 아케보노노히카리 공식 홈페이지]] || >[[아시하라나카츠국|신주(神州)]]의 동쪽에는 요괴가 산다. >그것은 [[야츠카하기|땅거미]]──받들 수 없는 [[화외]]의 민족.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K2OARtr0AEQ)] || [youtube(GLtf-1qnDY4)] || || 카지리카무이카구라 OP[br]我魂為君(나의 혼은 너를 위하여) || 카지리카무이카구라 아케보노노히카리 OP[br]此之命刻刹那(이 생명 찰나에 새기리) || [[신좌만상 시리즈]]의 세번째 작품. [[light(게임 브랜드)|light]]에서 2011년 9월 30일에 발매한 [[에로게]]. == 특징 == 장르는 [[배틀물]]. 국내에선 제목을 한국식으로 읽은 [[신주신위신락]]이라고도 많이 부르고 카카카, 신신신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게임의 배경은 반으로 갈라진 일본(본작에서는 아시하라 나카츠국, 신주라고도 부름)이며, 작중 사람들은 오로지 자신의 이익과 명예밖에 생각하지 않는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 [[쿠로후네 사건|외국의 개방 요구]]가 쇄도하고 동쪽에서 음기가 스며들어오는 등 나라가 뒤숭숭해지자 주인공 일행이 이형의 존재들이 지배하고 있는 동쪽으로 정벌을 하러 가는게 기본 스토리. 8기가(DVD 2장 분량)라는 압박스러운 용량을 자랑하며 유니코드를 일본어로 바꾸지 않으면 저장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켠김에 왕까지]]~~[* 그나마 다행인 점은 [[켠김에 왕까지]](...)를 하고나면 한 루트라도 클리어 기록은 남아서 공통루트는 스킵이 된다는 점이다(...)] 게임의 세계관에 맞춰 설정이나 시스템 창에서 외래어를 거의 쓰지 않는다. 또 텍스트가 [[세로쓰기]]로 나오는데, 장황한 문체와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읽기가 어렵다(…) 메인 주인공은 [[사카가미 하바키]]지만 어느 정도 [[군상극]] 형식을 취하고 있다. 크게 동정이라는 공통루트를 따라가지만 가끔씩 주인공 총 8명을 4쌍으로 나누어서 선택지를 통해 각각의 커플 상황을 보여주는 형태. 동정이 끝난뒤 선택지를 통해 선택된 한 커플의 엔딩이 나오며 4개의 엔딩을 전부 보면 그랜드 루트가 열리면서 진엔딩이 나오게 된다. G 유스케의 원화 퀄리티는 상당히 칭찬받는 분위기고 스토리도 그럭저럭 호평. 물론 전작과 마찬가지로 H씬은 말 그대로 끼워만 넣어줬다. 유려한 선으로 그려진 전작과는 달리, 동양 판타지 컨셉에 맞게 붓으로 그린듯이 선이 굵은 원화가 특징. [[Dies irae(게임)|Dies irae]]의 후속작격. bgm도 전작거를 어레인지 한 것이 많이 등장한다. 시나리오 라이터인 [[마사다 타카시]]는 디에스 이레를 안해도 괜찮다고 언급했지만 실제로는 '''디에스 이레 안하면 제대로 이해하기 힘들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에서 언급. [[PS Vita]] 이식판인 '''카지리카무이카구라 아케보노노히카리(神咒神威神楽 曙之光)'''가 2013년 4월 25일 발매. 그리고 Amantes amentes와 비슷한 수순으로 PC 역이식판이 6월 28일 발매. 마사다는 카지리카무이카구라가 신좌만상 시리즈 마지막 작품이라고 트위터에 올렸으나, 이후 C81에서 선행발매된 카지리카무이카구라 비쥬얼팬북에 의하면 신좌만상 시리즈 최종작은 최종보스가 '''[[마에다 타케시|르네상스 야마다]]''', 히로인은 하바키 일행으로부터 신좌를 평화 양도받은 제8천, 주인공은 제9천이라고 한다. [[https://youtu.be/NYyjlc5TkIk|발매 기념 영상]]에서는 야츠카하기가 SD로 나와 홍보한다. == [[신좌만상 시리즈/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좌만상 시리즈/등장인물)] == [[신좌만상 시리즈/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좌만상 시리즈/설정)] == [[Dies irae(게임)|Dies irae]]와의 접점 == [[마르그리트 브뢰유|마리]] 루트 이후 파순이라는 존재가 마리의 좌를 침범하려 했을때 3격의 패도신과 디에스측이 전력을 다해 파순을 제거했으나 디에스측도 메르쿠리우스를 제외한 전원이 전멸 유일하게 살아남은 메르쿠리우스가 좌를 다시 차지하고 회귀한 것이 레아루트. 반대로 파순이 승리한 경우가 카지리카무이카구라의 세계다. 전작의 최종보스였던 [[라인하르트 트리스탄 오이겐 하이드리히(신좌만상 시리즈)|라인하르트]]와 메르크리우스는 문자 그대로 철저히 박살이 나 소멸했으며 [[후지이 렌]] 역시 패퇴해 동료들과 함께 천마로 변모해 에도에서 숨만 고르고 있다. 즉 천마들은 모두 디에스 이레의 등장인물들이 변모한 모습. 뿐만 아니라 동정군 멤버들 중 몇몇도 역시 디에스 이레 출신이다.[* 대부분 환생한 캐릭터와 전생의 성우가 똑같기 때문에 성우만 알아볼 수 있으면 누구의 환생인지 아는데는 큰 지장은 없다.] 전작과 직접적으로 관련있는 대사들은 텍스트가 [[신대문자]]로 표시되며[[http://www.nicovideo.jp/watch/sm15549839|#]] 음성도 변조되어 올클 후에야 제대로 들린다. 그 외에 몇몇 BGM도 디에스 이레의 것을 어레인지한것들이 있다. 전작의 팬들 중 일부는 이 작품에 대해서 그다지 좋은 인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데, 그 이유인 즉슨, 전작에서 느꼈던 감동을 무의미하게 한다는 것이 그 이유. 또한 전작의 인기 캐릭터이자 절대적인 카리스마를 보여주었던 황금과 수은이 웬 [[파순(신좌만상 시리즈)|듣보잡 쓰레기 신]]에게 패하고 소멸당했다는 점도 크게 한 몫 했다. == 기타 == * 제목은 신에게 빌다(神咒 = 카지리), 신의 위엄(神威 = 카무이), 신께 제사지낼 때 연주하는 무악(神楽 = 카구라)로 두 단어씩 풀어서 해석할 수 있다. == 외부 링크 == * [[https://youtu.be/j-xlY8ktN54|영창 모음]]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