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암석족]]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포드(유희왕))]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MorphingJar2-DM4-JP-VG.png]] || 한글판 명칭 ||<-4>'''카오스 포드'''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カオスポッド'''|| || 영어판 명칭 ||<-4>'''Morphing Jar #2'''||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흙마족 || [[암석족]] || 800 || 700 || ||<-5>만약 그 항아리에 손을 댄다면 확실하게 잡아찢기게 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 ||<-5>마계에서 만들어진 악마의 항아리. 안에 들어간 것은 두 번 다시 꺼낼 수 없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682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카오스 포드, 일어판명칭=カオスポッド, 영어판명칭=Morphing Jar #2, 몬스터=, 효과=, 리버스=, 레벨=3,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800, 수비력=700, 효과1=리버스 : 필드 위의 몬스터를 전부 주인의 덱에 넣고 셔플한다. 그 후\, 양쪽 플레이어는 각각의 덱에 넣은 매수와 같은 매수의 몬스터가 나올 때까지 덱을 넘겨\, 그 중에서 레벨 4 이하의 몬스터를 전부 뒷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그 이외의 넘긴 카드는 전부 묘지에 버린다.)] 리버스하면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덱으로 되돌리고, 그 후 덱을 넘겨 같은 수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유발효과]]를 가진 [[리버스(유희왕)|리버스]] 몬스터. 간혹 효과 텍스트를 오해하는 플레이어가 있기에 효과를 풀어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필드의 모든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린다.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은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린다.)[* 이 때, 카오스 포드가 공격에 반응, 전투로 파괴될 상황에서 리버스했을 경우 카오스 포드는 덱으로 돌아가지 않고 효과 처리 후 묘지로 보내진다. 반전소환 및 효과로 앞면표시가 되어 리버스했을 경우, 공격에 반응해 뒤집혔으나 전투로 파괴되진 않을 경우엔 카오스 포드도 덱으로 되돌린다.] >2. 이 중 엑스트라 덱이 아닌 메인 덱으로 돌아간 카드만큼 몬스터가 나올 때까지 덱을 넘긴다. [* 엑스트라 덱 몬스터 1장, 메인 덱 효과 몬스터 3장이 돌아갔을 경우, 몬스터 3장이 나올 때까지 넘긴다.] >3. 소환이 가능하든 불가능하든, 메인 덱으로 돌아간 숫자만큼 몬스터가 나오면 거기서 정지. [* 고레벨 몬스터 1장, 조건이 맞지 않아 특수소환 불가능한 몬스터 1장, 소환 가능한 레벨 4 이하 몬스터 1장이 나왔을 경우, 몬스터가 3장 나왔으므로 거기서 정지. 고레벨 및 소환 불가능한 몬스터로만 3장 나왔더라도, 몬스터 3장이 나왔으므로 거기서 정지.] >4. 넘긴 카드 중 소환 가능한 레벨 4 이하 몬스터만 세트하고 나머진 다 버린다. 이 때문에 마법/함정 카드만 잔뜩 나올 경우 덱이 우수수 갈리며, 고레벨 몬스터 및 소환 불가능한 몬스터만 나오면 필드에 하나도 남지 않고 전부 버려지는 불상사도 나타난다. 그래서 고레벨 몬스터가 많은 덱이나, 마법 / 함정이 많은 비전투 덱과는 궁합이 안 맞는다. 이를 역이용해서 [[집념의 검]] 등을 본인의 덱에 넣고 덱사를 방지할 수도 있고, 아래의 무한 루프와 합치면 상대의 덱은 갈려나가지만 본인의 덱은 갈려나가도 집념의 검이 다시 되돌아가기에 마르지 않는 덱을 볼 수 있다. 이래저래 컨트롤이 필요한 카드. 상대 몬스터를 단번에 치워버릴 수 있고, [[덱 파괴]] 효과도 다른 덱 파괴 계열 카드보다 효율이 높다. 다만 패에 넣은 뒤 버리는 게 아니라, 덱을 넘겨 확인해 묘지로 버리기에 [[암흑계]]와 같이 쓸 순 없다. 묘지로 갔을 때 발동할 수 있는 [[리미터 브레이크]]와 덱을 넘기고 묘지로 보내는 [[삼라]]와의 병용은 가능. 이미 뒤집힌 자신의 리버스 몬스터들을 재활용할 수도 있다. 덱에 이 카드와 몇몇 리버스 몬스터 1장, 그리고 [[소환제한#소환제한-맹돌하는 몬스터|소환제한-맹돌하는 몬스터]]를 투입해 [[무한 루프]]로 승리할 수도 있었다. 관련 게임에선 무한 루프 방지 차원에서인지 일정 이상 루프가 발생할 경우 자동적으로 몬스터가 묘지로 보내진다. [[원령의 습지대]]나 [[스텀블링]]과 궁합이 좋다. 특수 소환된 뒷면 표시 몬스터가 반전 소환되어도 이 2장이 그 턴의 공격을 차단해 자신의 뒷면 표시 몬스터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 강력한 성능으로 한때 준제한에 오른 적이 있고, TCG에선 2014년 4월에 제한에서 금지가 됐다가 2020년 1월 20일에서야 무제한이 됐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기본적으로는 무제한이지만 N/R 이벤트에선 제한이 되었다. 무한루프의 핵심 파츠인 소환제한-맹돌하는 몬스터가 SR이기에 무한 루프는 사용할 수 없지만 [[정크슬리프]] 등과 조합해서 상대 턴에도 엿을 먹일 수 있긴 하다. [[카오스(유희왕)|카오스]]란 이름이 붙었지만, 이 카드는 카오스가 본격적으로 정립되기 훨씬 전에 나온 카드라 별 상관은 없다. 영어판은 이름이 Morphing Jar #2로 꽤나 다른 이름인데, 이는 이름이 "Morphing Jar"로 나온 [[메타모르 포트]]와 생긴 게 비슷하답시고 영어 이름을 이렇게 지어진 것이다. [[유희왕 ARC-V]] 1화의 초반부에 건물의 벽에 설치된 광고 그림으로 등장. 해당 광고엔 [[메타모르 포트]]와 [[니들 웜]]이 같이 그려져 있고, 광고 내용은 '[[덱 파괴]]도 어엿한 전술의 하나, 당신도 시작해보지 않겠습니까?'.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アヌビスの呪い || CA-4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카이바 세토|海馬]]編- || KA-43 || [[노멀]] || 일본 || 절판 || || DUELIST LEGACY Volume 1 || DL1-129 || [[레어]] || 일본 || 절판 || || 2003년 9월 공인대회 참가 상품 || PC2-005 || [[노멀]] || 일본 || 절판 || || 2003년 9월 공인대회 연승 상품 || PC2-005 || [[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절판 ||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 || BE1-JP092 || [[레어]] || 일본 || 절판 || || BEGINNER'S EDITION 1(2011) || BE01-JP084 || [[슈퍼 레어]] || 일본 || ||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2012 || GS04-JP001 || [[노멀]][br][[골드 레어]] || 일본 || || || [[골드 시리즈|THE GOLD BOX]] || GDB1-JP061 || [[골드 레어]] || 일본 || || || [[파라오의 사도|Pharaoh's Servant]] || PSV-040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1 || DB1-EN092 || [[레어]]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3: Yugi's World Mega Pack || LCYW-EN240 || [[슈퍼 레어]] || 미국 || || || Astral Pack Four || AP04-EN015 || [[노멀]] || 미국 || || || Star Pack 2014 || SP14-EN039 || [[노멀]][br][[패러렐 레어|스타포일 레어]] || 미국 || || || [[파라오의 사도]] || PSV-K040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1]] || BP1-KR092 || [[레어]] || 한국 || || || [[익스팬션 팩|익스팬션 팩 Vol.1]] || ESP1-KR031 || [[노멀]] || 한국 || || || [[골드 시리즈|골드 시리즈 2012]] || GS04-KR001 || [[노멀]][br][[골드 레어]] || 한국 || || == 관련 카드 == === [[명추리]] === === [[몬스터 게이트(유희왕)|몬스터 게이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