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include(틀:JR 큐슈의 우등열차)] ||<-2><:>{{{#0f0f0f,#fdfdfd {{{+1 かもめ}}}[br]Kamome / 카모메}}}[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62e36,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운행종료)]|| ||<-2><:>[[파일:expKamome_logo.png|width=150]]|| ||<-2><:>[[파일:Kyushu_Railway_-_Series_885_-_01.jpg|width=100%]][br][[885계 전동차]]|| ||<-2><:>'''{{{#0f0f0f,#fdfdfd 열차 정보}}}'''|| ||<:>'''운행 지역'''||<:>[[후쿠오카현]], [[사가현]], [[나가사키현]]|| ||<:>'''열차 종류'''||<:>[[특급(철도)|특급열차]]|| ||<:>'''기점'''||<:>[[하카타역]]([[모지코역]])|| ||<:>'''종점'''||<:>[[나가사키역(나가사키)|나가사키역]]|| ||<:>'''정차역 수'''||<:>11역[br](필수정차 8역, 부분정차 3역)|| ||<:>'''운행개시일'''||<:>[[1976년]] [[7월 1일]]|| ||<:>'''운행종료일'''||<:>[[2022년]] [[9월 22일]]|| ||<:>'''후신'''|| [[카모메(신칸센)|신칸센 카모메]][br][[릴레이 카모메]][br][[카사사기]] || ||<:>'''운영자'''||<:>[[JR 큐슈|[[파일:JR 큐슈 로고.svg|width=230]][br]{{{#e50012 JR 큐슈}}}]]|| ||<:>'''사용 차량'''||<:>[[787계 전동차]], [[885계 전동차]][br]([[미나미후쿠오카 차량구]])|| ||<-2><:>'''{{{#0f0f0f,#fdfdfd 노선 제원}}}'''|| ||<:>'''운행거리'''||<:>156.5km|| ||<:>'''궤간'''||<:>1067mm|| ||<:>'''전력 공급'''||<:>교류 20,000V 60Hz [[가공전차선]]|| ||<:>'''최고 속도'''||<:>130km/h|| ||<-2><:>[[파일:JRQ_787_885.jpg|width=100%]]|| ||<:>[[787계 전동차]] 검은 카모메 (黒いかもめ)||<:>[[885계 전동차]] 하얀 카모메 (白いかもめ)|| ||<:>[youtube(GXw7YGNds7I)]||<:>[youtube(IsLItqI1jRE)]|| ||<:>시로이 카모메 출범 광고||<:>하행 전구간 주행영상|| [목차] == 개요 == [[모지코역]]/[[하카타역]]과 [[나가사키역(나가사키)|나가사키역]]을 [[가고시마 본선]], [[나가사키 본선]]을 경유해 운행했던 [[JR 큐슈]]의 폐지된 특급열차이다. == 역사 == 2020년 3월 14일부터 [[키라메키(열차)|키라메키]] 5호가 카모메 101호에 통합되어 모지코역까지 연장되었다. 2022년 [[니시큐슈 신칸센]]을 운행하는 운행등급 명칭이 [[카모메(신칸센)|카모메]]로 정해졌고, 이에 따라 [[가고시마 본선]]의 [[츠바메(특급)|츠바메]]처럼 신칸센에 이름을 물려주게 된다. 다만 [[타케오온센역|타케오온센]]~[[하카타역|하카타]]간에는 기존선인 [[나가사키 본선]]과 [[사세보선]]을 따라 운행하게 되며 특급 '[[릴레이 카모메]]'(34편), '[[미도리(열차)|미도리]]'(10편)[*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는 미도리 열차는 미도리(릴레이카모메)로 표기된다.]가 타케오온센역에서 대면환승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https://japan-railway.com/entry/2020/11/10/201534|기사]] 또한 기존 나가사키 본선의 [[히젠카시마역|히젠카시마]] - [[하카타역|하카타]] 구간은 새로운 특급열차인 '[[카사사기]]'(까치)가 기존의 카모메를 대체하게 된다.[[https://news.mynavi.jp/article/20220610-2364793/|#]] 히젠카시마 - 이사하야 구간은 원래 한적한 어촌밖에 없어 특급 정차역이 없었기 때문에 특급은 관광열차 [[후타츠보시 4047]]의 하행만 운행하게 된다. 니시큐슈 신칸센 개통에 따라 46년간 운행해오던 특급 카모메는 [[카모메(신칸센)|신칸센 카모메]], [[릴레이 카모메]], [[카사사기]]로 분리되는 형태로 운행을 종료했다. --사실 이름(열차명)만 바뀌었다-- [youtube(cg6GkctEpKo)] 마지막 열차의 안내방송 == 특징 == [[큐슈 급행 버스]]에서 운행하는 [[고속버스]]인 '[[큐슈 급행 버스#s-2|큐슈호]]'와 경쟁하고 있었다. 큐슈호(슈퍼논스톱)은 2시간 30분이 소요되는데, 틸팅이 되는 885계는 1시간 50분, 787계는 2시간 정도로 빨라서 우위를 점하고 있기도 했다. 이러한 이유로 주행 중 틸팅으로 통과하는 곡선구간이 잦은 편이었다. 또한 각종 할인 티켓이 발매되고 있었는데, 2장을 묶어 사면 할인해주는 니마이킷푸를 이용하면 하카타 - 나가사키 구간을 1명당 3,000엔에 이용할 수 있었다. 버스보다 소요 시간이 30분 이상 빠르다는 점을 내세워 상당히 선전했던 셈이다. 참고로 큐슈호는 편도가 2,570엔이다. 저렴한 운임요금 덕에 사가역까지만 이용하는 승객도 많았으며, 카모메의 자유석은 항상 [[사가역]]까지는 혼잡한 편이었어서, 토스나 하카타 방면으로 가는 승객들은 대부분 특급 열차를 이용했다. 885계 그린샤 객실의 경우 '사장님 의자'로 넓은 가죽시트로 되어 있으며 리클라이닝 각도도 상당히 넓었다. 레그레스트가 없는 것이 옥의 티. == 차량 == 취소선은 은퇴 차량 * [[885계 전동차]] [[파일:Kyushu_Railway_-_Series_885_-_01.jpg|width=500]] * [[787계 전동차]] * --[[783계 전동차]]--: 사진중 아래는 하이퍼카모메 시절에 운행했었던 차량 [[파일:JR_Kyushu_783_series_EMU_Kamome_express_2011.jpg|width=500]] [[파일:JRkyusyu_783_kamome_kuro782.jpg|width=500]] * --[[485계 전동차]]-- [[파일:JRKyushu485_KamomeExpress.jpg|width=500]] == 정차역 == ||[[모지코역]] - [[모지역]] - [[코쿠라역]] - [[토바타역]] - [[쿠로사키역]] - [[오리오역]] - [[아카마역]] - ([[요시즈카역]]) - [[하카타역]] - [[후츠카이치역]] - [[토스역]] - [[신토스역]] - [[사가역]] - [[코호쿠역(사가)|히젠야마구치역]] - [[히젠카시마역]] - [[이사하야역]] - [[우라카미역]] - [[나가사키역(나가사키)|나가사키역]]|| 후츠카이치역은 [[787계 전동차|787계]] 투입 열차가, 히젠야마구치역은 885계 투입열차만 정차했다. 참고로 모두 정차하는 편성도 있었으며, [[885계 전동차|885계]]는 틸팅이 되기 때문에 저 역을 모두 정차하고도 더 적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 관련 문서 == * [[일본 철도 정보/노선 관련 정보]] * [[일본 철도 정보/열차 등급 관련 정보/애칭 목록]] * [[가고시마 본선]] * [[나가사키 본선]] * [[니시큐슈 신칸센]] * [[미도리(열차)|미도리]] * [[하우스텐보스(열차)|하우스텐보스]] [[분류:일본의 폐지된 열차]][[분류:JR 큐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