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크로아티아의 행정구역)] ||<-2>|| ||<-2> '''{{{+1 카를로바츠}}}'''[br]'''Karlovac''' || ||<-2> [include(틀:지도,장소=Karlovac,너비=100%,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크로아티아]] 카를로바츠 주(Karlovačka županija)의 [[주도(행정구역)|주도]]. [[자그레브]]와 [[리예카]] 사이에 있다. == 언어별 표기 == || [[크로아티아어]] || Karlovac || || [[헝가리어]] || Károlyváros (카로이바로시) || || [[독일어]] || Karlstadt (카를슈타트) || || [[슬로베니아어]] || Karlovec (카를로베츠) || || [[이탈리아어]] || Carlostadio (카를로스타디오) || || [[라틴어]] || Carolostadium (카롤로스타디움) || == 역사 == [[합스부르크 제국]]의 [[오스트리아 대공국]] 변경을 위협하던 [[오스만 제국]]의 침공을 방어하기 위해 1579년 내지오스트리아(Innerösterreich)[* [[슈타이어마르크 공국]], [[케른텐 공국]], [[카르니올라 공국|크라인 공국]], [[고리치아-그라디스카 후백국|괴르츠 백국]], [[트리에스테 제국자유도시|트리에스트]]를 아우르는 현대 [[오스트리아]]와 [[슬로베니아]]의 역사적인 지역.] 대공 카를 2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1세]]의 3남. [[막시밀리안 2세]]의 동생이며 [[30년 전쟁]]의 원흉이 된 [[페르디난트 2세]]의 아버지다.]의 명령으로 [[독일인]]([[오스트리아인]])의 주도로 세워진 [[성형 요새]] 도시에서 시작하며 도시 이름도 카를 2세의 이름을 따 지어졌다. 요새 건설 이후 7차례에 걸쳐 오스만 제국의 침공을 당했으나 모두 격퇴했다. 오스만 제국과의 공성전은 1672년을 끝으로 발발하지 않았으나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대튀르크 전쟁]]이 끝나면서 군사적인 중요성을 상실했다. 1776년 [[마리아 테레지아]]에 의해 [[리예카]]와 더불어 [[헝가리 왕국]] 관할로 양도되었고 1781년 [[요제프 2세]]가 자유도시로 지정하면서 다시금 활기를 되찾았다. 18세기 말에서 19세기에는 [[달마티아 왕국]]으로 가는 도로와 쿠파 강을 따라가는 수로가 세워지면서 발달했지만 1861년 [[지다니 모스트]]-[[자그레브]]-[[시사크]] 철도가 세워지면서 다시 중요성을 잃고 쇠퇴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에는 자그레브 주(Zagrebačka županija)에 속했다. [[유고슬라비아 내전]] 당시 큰 피해를 입었으며 전후 복구되었다. == 인구와 사회 == 2021년 기준 약 49,500명. 1991년 정점을 찍은 이후 인구는 감소세에 있다. 시민 대부분은 [[크로아티아어]]를 사용하는 [[크로아티아인]]이다. == 기타 == 카를로바츠가 속한 카를로바츠 주는 [[플리트비체 호수 국립공원]]이 걸쳐있다. 2016년 크로아티아 최초의 민물 [[수족관]]인 아쿠아티카(Aquatika)가 문을 열었다. [[카를로비츠 조약]]과는 관련 없다. 해당 조약은 현대 [[세르비아]]에서 체결되었다. [[분류:크로아티아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