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양음악사)] ||<-2> '''{{{+1 카를 마리아 폰 베버}}}[br]Carl Maria von Web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arl_Maria_von_Weber.jpg|width=100%]]}}} || || '''본명''' ||카를 마리아 폰 베버[br]Carl Maria von Weber|| ||<|2> '''출생''' ||1786년 11월 18일|| ||[[신성 로마 제국]] [[뤼베크|뤼베크 주교구]] 오이틴|| ||<|2> '''사망''' ||1826년 6월 5일 (향년 39세)||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런던]]|| || '''직업''' ||작곡가|| || '''사조''' ||전기 낭만주의|| || '''종교''' ||[[가톨릭]]|| [목차] [youtube(QAgjGeML0cE)] ▲ 오페라 《[[마탄의 사수]]》(Der Freischütz) 中 서곡.[* 한글 찬송가에는 이 선율이 "내 주여 뜻대로" 로 차용되기도 하였다. 개신교 신자라면 아마도 익숙한 선율일 것이다.] 연주는 The National Philharmonic of Russia. [clearfix] == 개요 == [[독일]]의 낭만파 작곡가로, 오페라 '[[마탄의 사수]]'로 독일 낭만파의 문을 열었다는 평을 받는다. == 생애 == 베버는 1786년 극단의 음악감독을 맡았던 아버지와 그의 두번째 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어날 때 부터 병약했던 그는 골반에 문제가 있어 4살때까지 걷지 못했다고 한다.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로부터 음악을 배웠지만, 그보다는 아버지를 따라 극단을 구경하며 얻은 극과 음악에 대한 경험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이후 10세 때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하고, [[요제프 하이든]]의 동생 미하엘 하이든에게 작곡법, 대위법을 배운 후, 13세에 첫 가극을 작곡하면서 작곡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한편 1804년에는 [[프로이센 왕국]] [[브레슬라우]][* Breslau, 2차 대전 이후 [[오데르-나이세 선]]이 그어지면서 [[슐레지엔]] 지방이 [[폴란드]]로 넘어가 현재는 브로츠와프(Wrocław)라는 [[폴란드어]]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중앙역에서 구시가지로 들어가는 길목에 자리잡은 [[http://www.wroclaw.pl/en/chopin-brahms-wagner-composers-in-wroclaw|고등학교 건물 벽면에 베버 기념판이 세워져 있는 등]] 폴란드로 도시가 완전히 넘어간 상황에서도 베버의 흔적을 전혀 찾아볼 수 없는 건 아니다.] 극장의 악장으로 취임을 하고 지휘 분야에서도 독일 곳곳의 극장들을 전전하면서 활동한다. 한편 20살 때 쯤에 초산을 포도주로 잘못 알고 마셔서 성대가 상해 목소리가 작아져 노래를 부르지 못했다고 한다. 그리고 1811년, 2곡의 [[클라리넷]] 협주곡과 [[바순]] 협주곡을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1812년에는 교향곡 1번과 피아노 협주곡을, 1813년에는 교향곡 2번을, 1815년에는 호른 협주곡을 연이어 발표하였고, 1819년에는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무도에의 권유'를 발표한다. 그러나 이것은 시작에 불과했으니…. 1821년, 그가 작곡하여 [[베를린]]에서 초연한 오페라 '마탄의 사수'는 대성공을 거두고, 내용과 음악 모두 혁신을 보여 이후 낭만파 음악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같은 해에 발표한 '피아노 협주 작품 F단조'역시 호평을 받고, 이후 협주 작품(Konzertstück)라는 형식을 많은 작곡가들이 사용한다. 그러나, 이어 발표한 오페라 '오이리안테'는 흥행이 영 좋지 못 하였고, 이로 인한 충격으로 지병인 결핵이 악화되었다. 이후 런던에서 다시 의뢰가 들어와 그의 마지막 오페라 '오베론'을 작곡하지만, 초연 준비 중 극장 관계자와의 마찰이 심하였고 이로인해 건강은 더더욱 악화되어 4월 12일 초연을 마친 후 그곳에서 6월 5일에 세상을 뜬다.[* 오베론은 초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지만 초연 자체는 대성공이었다. 하지만 베버는 이런 인기를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죽었다.] 이때 나이는 겨우 39세였다. == 작곡 특징 == 고전기와 낭만파의 중간 시기에 위치한 작곡가로 음악 성향도 고전기와 낭만주의의 특징이 섞여 있다. 초기에는 대체로 고전파 양식에 충실한 작품을 남겼으나 1810년대 중반 이후의 작품에서는 낭만주의적인 성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베버는 오페라 작곡가로 특히 유명한데 그의 이름을 유럽 전역에 알린 출세작이 바로 오페라 마탄의 사수였다. 39살의 젊은 나이로 사망하는 바람에 많은 수의 오페라를 남기지는 못했으나[* 원숙기에 씌어진 오페라는 '마탄의 사수', '오이리안테', '오베론' 3곡이다. 이전에도 몇 곡의 오페라를 남겼으나 거의 연주되지 않는다.] 마탄의 사수를 비롯한 그의 오페라는 독일 낭만주의 오페라의 효시격인 작품들로 인정받고 있으며 모차르트에서 시작되어 바그너로 이어지는 독일오페라의 계보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기악분야에서도 나름의 업적을 남겼는데 특히 피아노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법을 가진 작품들을 많이 발표했고(그의 콘체르트스튀크와 무도회의 권유, F단조 피아노 협주곡이 유명하다) 무도회의 권유와 같은 작품을 통해 표제 음악의 길을 개척하기도 했다. 다만 특정 악기를 위한 레퍼토리 확충이라는 면에서 보자면 피아노곡보다 클라리넷을 위한 작품, 특히 두 개의 클라리넷 협주곡이 더 중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주요 작품 == === 오페라 === ||[youtube(dfKvesW59UM, height=240)]||[youtube(V9JhNN2DC_A, height=240)]|| ||오베론 서곡||오베론 중 "Sieh, die Meermädchen!... O wie wogt es sich schön"|| ||[youtube(mRXL3gJdAHY, height=240)]||[youtube(N9gf-Co6fas, height=240)]|| ||마탄의 사수 중 Jägerchor||오이리안테 서곡|| * 아부 핫산 * '''[[마탄의 사수]]''' * 세마리 핀토[* 미완성작. 후에 [[구스타프 말러]]가 완성한다.] * 오이리안테 * 오베론 === 교향곡&관현악 === ||[youtube(bUAE9tx1CJY)]|| ||교향곡 1번|| * 교향곡 1번 C장조 * 교향곡 2번 C장조 * 축전 서곡 E장조 * 투란도트를 위한 극부수음악 op.37[* 서곡과 6곡으로 구성] === 협주곡 === ||[youtube(Aox6HRIUyP4, height=240)]||[youtube(45uZ6LHeP7Y, height=240)]|| ||피아노 협주 작품 F단조||바순 협주곡 F장조|| ||[youtube(37kaymgFkUI, height=240)]||[youtube(BO4xdlPCjIM, height=240)]|| ||클라리넷 협주곡 1번 F단조||클라리넷 협주곡 2번 E플랫장조|| * 피아노 협주곡 1번 C장조 * 피아노 협주곡 2번 E플랫장조 * 피아노 협주 작품 F단조 * 바순 협주곡 F장조 * 클라리넷 협주곡 1번 F단조 * 클라리넷 협주곡 2번 E플랫장조 * 클라리넷 소협주곡 E플랫장조 * 콘체르트스튀크 === 실내악 === * 클라리넷 5중주 Bb단조 * 플루트, 첼로, 피아노 트리오 g단조 op.63 === 기타작품 === ||[youtube(GH8lVybEyAM)]||[youtube(sjMSe9znF6k)]|| ||무도에의 권유||피아노 소나타 Op.39|| * '''무도에의 권유'''[* 원제는 '화려한 론도'이고 피아노 독주곡이었다. 그러나 이후 [[엑토르 베를리오즈]]가 관현악곡으로 편곡하였다.] * 미사 1번 Eb조 * 미사 2번 G조 * 칸타타 '전쟁과 승리'[* [[워털루 전투]]승리 기념 헌정곡이다.] * 피아노 소나타 1번 C장조 Op.24[* 마지막 4악장 론도가 [[무궁동]] 형식으로 잘 알려져 있다.] * 피아노 소나타 2번 A플랫 장조 Op.39 * 피아노 소나타 3번 D단조 Op.49 * 피아노 소나타 4번 E단조 Op.70 == 기타 == [[루트비히 판 베토벤]]과 친구였다. 베토벤보다 16살이나 어렸으나 나이를 넘어 꽤 친한 사이였다. 베버는 베토벤의 집을 방문했을 때 방 안이 온통 악보와 옷으로 어질러져 있었지만 테이블에는 악보 용지 한 장과 끓는 커피가 있었다고 증언했다. ~~베토벤의 [[교향곡 제7번(베토벤)|교향곡 7번]]을 듣고 "베토벤이 드디어 미쳤군!"이라고 외쳤다는 일화는 잠시 접어두자~~ 베토벤과 잠깐 사귀기도 했던 아말리 제발트는 베버와도 매우 친했던 소프라노 가수였다.[* 물론 연인이 아니라 음악적인 동지로 친했다. 베버는 캐롤라인 브란트라는 다른 소프라노 가수와 결혼했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부인인 콘스탄체 베버와 사촌지간이다. [[분류:독일의 작곡가]] [[분류:1786년 출생]] [[분류:1826년 사망]] [[분류:전기 낭만주의의 작곡가]] [[분류:결핵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