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카드군. [목차] == 개요 == [[유희왕 GX]]에서 [[카바야마]]가 [[티라노 켄잔]]과의 듀얼 당시 사용한 카드들. 카레가면이라는 예명으로 등장한 만큼 덱 또한 테마에 맞춘 것으로 보인다. 카바야마가 사용한 카레 덱은 [[카레]]에 들어가는 재료를 모티브로 하고 효과도 카레 만드는 과정을 나타낸 카드들이지만, "카레"라는 이름을 공유하고 있지는 않다. 카드가 묘지로 가지 않고 게임에서 제외되는 [[차원의 틈]]과 거의 동일한 효과를 가진 '카레 냄비'를 중심으로 카레 재료가 되는 채소 몬스터들과 카레 자체인 '카레마인 루', 그리고 갖가지 향신료에서 따온 '스파이스' 카드들로 이루어져있으며, 고기는 다름 아닌 상대 몬스터가 대상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작중에서 보여준 듀얼 스타일은 [[아므나엘]]처럼 제외를 골자로 하는 덱으로 재료가 되는 채소 몬스터들을 제외하고 스파이스 카드를 다수 묘지로 보내 에이스인 '카레마인 루'의 타점을 최대한 이끌어내는 것으로, 카레 가면의 말에 따르면 카레가 하루 묵혀 먹는 게 제맛이듯, 듀얼도 오랫동안 공을 들여 한 방에 상대를 격파하는 것이 제일이라는 모양이다.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인 셈. 2021년 군함말이를 모티브로 한 [[군관(유희왕)|군관]]이 OCG화된 만큼, 이 카드군까지 OCG화되면 상당히 맛있는(...) 덱이 탄생할 것이다. 이후 유희왕 시리즈에 등장한 카드 중 카레와 관련된 카드로는 [[쿡메이트|RCM 프린스 카레]], [[화려한 잠입공작원|화려한 스파이-C]]가 있다. 당연하지만 카레라는 공통분모가 존재할 뿐 전혀 관계는 없다. == 몬스터 카드 == === 당근맨 ===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Carrotman-OW.png]] || 한글판 명칭 ||<-4>'''당근맨'''|| || 일어판 명칭 ||<-4>'''ニンジンマン'''|| || 영어판 명칭 ||<-4>'''Carrot Man'''||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속성|땅]] || [[식물족]] || 800 || 900 || --[[당근인]]-- === 감자맨 ===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Potatoman-OW.png]] || 한글판 명칭 ||<-4>'''감자맨'''|| || 일어판 명칭 ||<-4>'''ポテトマン'''|| || 영어판 명칭 ||<-4>'''Potato Man'''||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속성|땅]] || [[식물족]] || 900 || 800 || === 양파맨 ===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Onionman-OW.png]] || 한글판 명칭 ||<-4>'''양파맨'''|| || 일어판 명칭 ||<-4>'''タマネギマン'''|| || 영어판 명칭 ||<-4>'''Onion Man'''||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속성|땅]] || [[식물족]] || 1200 || 1200 || 카레의 재료가 되는 몬스터들. 실제로 나온다면 [[고등의식술]]을 이용해 한번에 묻어버리는 콤보를 고려해 볼 수 있겠지만, 카레마인은 의식 몬스터가 아니니까 주의. --[[헝그리 버거(유희왕)|헝그리 버거]]를 뽑자.-- === 카레마인 루 === [[파일:external/img3.wikia.nocookie.net/CurryFiendRoo-OW.png]] || 한글판 명칭 ||<-4>'''카레마인 루'''|| || 일어판 명칭 ||<-4>'''カレー魔人ルー'''|| || 영어판 명칭 ||<-4>'''Curry Fiend Roux'''||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8 || [[유희왕/속성|화염]] || [[악마족]] || 0 || 0 || ||<-5>게임에서 제외된 몬스터 1장당 이 카드의 공격력은 300 포인트 올린다.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스파이스"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 1장당, 이 카드의 공격력은 200 포인트 올린다.|| [[황금의 호문쿨루스]]와 상호 호환, [[붉은 마수 다 이자]]의 하위호환격 카드. 호문쿨루스가 자신의 제외된 장소만 카운트하는 대신 이 카드는 일단 효과상으론 피아구분 없이 제외된 몬스터 1장당 300씩 올라가고 추가로 묘지에 존재하는 '스파이스'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 1장당 추가로 공격력이 200씩 상승한다. 스파이스 카드의 종류는 총 4종이므로 최대 3000까지 올릴 수 있음을 고려하면 원공 1500의 호문쿨루스보다 공격력이 더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 단, 레벨이 8이라 추가 제물을 요구한다는 것과 공격력 300 증가의 조건은 제외된 카드 중 '''몬스터 카드'''만 헤아린다는게 가장 큰 디메리트. 최근 제외 덱은 [[백만먹기의 그랏톤]]이나 [[욕망과 탐욕의 항아리]]처럼 '''뒷면 표시로 제외되는 카드'''들도 다수 기용해서 싸우는게 일반적인데 호문클루스는 해당 카드들이 앞면이건 뒷면이건 상관없지만, 카레마인 루는 뒷면 표시로 제외된 카드 중 몬스터가 있더라도 정보가 공개된게 아니므로 공격력을 올릴 수 없다. 거기다 '스파이스' 카드가 '''묘지'''에 있어야 하므로 제외 덱 키 카드인 [[매크로 코스모스]]의 발동 타이밍도 잘 고려해야한다. 다만 비슷한 [[차원의 틈]]이나 전용 마법인 카레 냄비는 마/함은 묘지로 보내므로 차원의 틈을 더 많이 기용하면 다소 나아질 수 있다. 현실적으로 보자면 이 카드를 출시한다고 한들 제대로 쓰긴 힘들다. 전용 덱을 짜더라도 소환법도 편하고 공격력 상승도 용이한 [[붉은 마수 다 이자]]에게 한 없이 밀리고, 설령 비상용으로 쓴다면 그나마 전용 카드군에서나 비상용으로 쓰지 보편적인 제외덱이라면 뒷면 표시 카드들도 공격력 상승을 받는 [[황금의 호문쿨루스]]가 우위이다. 작중에서는 소환 조건이 갖춰지자 카레 냄비 안에서 튀어나왔다. 식기나 수저, 채소로 몸을 치장하고 전기밥솥을 들고있는 등 개성 넘치는 비주얼을 자랑한다. 공격시에는 카레를 숟가락으로 퍼서 집어던지는데, 이 카레가 용암처럼 변해 상대를 덮친다. == 마법 카드 == === [[모우얀의 카레]] === 최초의 카레 카드이자 유일하게 OCG화된 카레 마법 카드.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 카레 냄비 ===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CurryPot-OW.png]] || 한글판 명칭 ||<-4>'''카레 냄비'''|| || 일어판 명칭 ||<-4>'''カレー・ポット'''|| || 영어판 명칭 ||<-4>'''Curry Pot'''|| ||<-5> 지속 마법 || ||<-5>묘지로 보내진 몬스터는 묘지로는 가지 않고, 게임에서 제외된다. "당근맨", "감자맨", "양파맨"이 이 효과로 게임에서 제외된 턴,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모든 몬스터를 게임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자신의 패 또는 덱에서 "카레마인 루"를 1장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한다.|| 카레덱을 쓴다면 [[차원의 틈]]의 상위 호환. 다만 실제 OCG의 경우를 가정하자면 카레마인 루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 때문에 [[매크로 코스모스]]처럼 [[신의 경고]]에 막히게 된다. 작중에서는 필드의 몬스터가 제외될 때마다 온몸이 산산조각나서 펄펄 끓는 카레의 건더기가 된다. 여기에 당근맨, 감자맨, 양파맨이 건더기가 되어 모여 카레마인 루를 소환하는 효과를 발동하자 필드의 모든 몬스터를 고깃덩어리[* 산산조각난 [[블랙 티라노|블랙 스테고]]와는 달리 말 그대로 [[만화고기]]같은 형상으로 바뀌어 카레 냄비 안에 들어갔다.]로 바꿔 카레 냄비에 투하하고 완성된 카레 냄비에서 카레마인 루가 튀어나왔다. === 매직 스파이스-고춧가루 === [[파일:external/img3.wikia.nocookie.net/RedPepperSpice-OW.png]] || 한글판 명칭 ||<-4>'''매직 스파이스-[[고춧가루]]'''|| || 일어판 명칭 ||<-4>'''マジックスパイス_レッドペパー'''|| || 영어판 명칭 ||<-4>'''Red-Pepper Spice'''|| ||<-5> 일반 마법 || ||<-5>엔드 페이즈 시까지,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300포인트 올린다.그후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을 선택할수 있다. 선택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엔드 페이즈 시까지 300 포인트 내린다.|| 공격력 차이를 600 만들 수 있지만 700으로 우위인 [[돌진(유희왕)|돌진]]을 쓰는게 차라리 편해 보인다. 가람마살라로 3장 서치하면 +900, -900으로 1800의 차이를 만들 수 있으므로 카레마인 루의 효과를 위해서는 카레덱이라면 투입하는 편이 좋을 것이다. === 매직 스파이스-계피가루 ===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SpellSpiceCinnamon-OW.png]] || 한글판 명칭 ||<-4>'''매직 스파이스-[[계피]]가루'''|| || 일어판 명칭 ||<-4>'''マジックスパイス_シナモン'''|| || 영어판 명칭 ||<-4>'''Spell Spice Cinnamon'''|| ||<-5> 일반 마법 || ||<-5>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를 공격 표시로 변경하고,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를 앞면 수비표시로 변경한다.|| === 매직 스파이스-캐러웨이 ===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SpellSpiceCaraway-OW.png]] || 한글판 명칭 ||<-4>'''매직 스파이스-캐러웨이'''|| || 일어판 명칭 ||<-4>'''マジックスパイス_キャラウェイ'''|| || 영어판 명칭 ||<-4>'''Spell Spice Caraway'''|| ||<-5> 일반 마법 || ||<-5>상대 라이프에 200 포인트의 데미지를 주고, 자신의 라이프를 200 포인트 회복한다.|| 위에 있는 모우얀의 카레의 완전 상위 호환. 물론 이 카드 자체도 [[도둑 고블린(유희왕)|도둑 고블린]]의 하위 호환이다. 캐러웨이는 [[회향]]의 일종으로 향신료용으로는 잎을 말린 것이나 씨앗을 주로 사용한다. === 믹스 스파이스-가람마살라 === [[파일:external/img3.wikia.nocookie.net/MixSpiceGaramasala-OW.png]] || 한글판 명칭 ||<-4>'''믹스 스파이스-가람[[마살라]]'''|| || 일어판 명칭 ||<-4>'''ミックススパイス_ガラムマサラ'''|| || 영어판 명칭 ||<-4>'''Mix Spice Garamasala'''|| ||<-5> 일반 마법 || ||<-5>자신의 덱에서 "매직 스파이스"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 3장을 자신의 패에 넣는다.|| '''핵심 카드'''. 이 카드 1장으로 패 3장을 보충 하는데다 턴당 발동이나 같은 이름의 카드를 서치할 수 없다는 제약이 일절 없다. 스파이스 카드들의 효과가 구린 것은 이걸 쓰는 것을 전제로 해서 그럴지도. 게다가 스파이스 카드를 소모해서 카레마인 루의 공격력을 높이는 전략도 유효. 만일 고춧가루 x3이라면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은 -900, 루의 공격력은 묘지에 스파이스 카드가 쌓인 것과 고춧가루의 효과를 합쳐 +1700, 카드 소모를 무시하고 격차만 계산하면 순식간에 무려 '''2600'''이 된다. 다만 이 카드 스스로는 "매직 스파이스"가 아니기 때문에 가져올 수 없으며[* 사실 서치용 카드 자체가 자신은 서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정상이다. 특히 얘가 그게 가능했으면 '''패 한 장으로 8장만큼이나 덱을 압축'''하는 것이 가능했을테니 더더욱.] 후술할 커민도 "카운터 스파이스"이기 때문에 가져올수 없다. 그리고 매직 스파이스 자체가 얼마 없어서 위의 고춧가루 x3 같은 사용은 거의 일회용. 그래도 이 카드가 있어야 덱을 굴리기 수월할 듯. == 함정 카드 == === 카운터 스파이스-커민 ===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CounterSpiceCumin-OW.png]] || 한글판 명칭 ||<-4>'''카운터 스파이스-[[쿠민|커민]]'''|| || 일어판 명칭 ||<-4>'''カウンタースパイス_クミン'''|| || 영어판 명칭 ||<-4>'''Counter Spice Cumin'''|| ||<-5> 일반 함정 || ||<-5>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때만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에서 레벨 4 이하의 몬스터 1장을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름은 카운터 스파이스지만 카운터 함정이 아니라 일반 함정이다. 발동 조건은 그렇다 쳐도 소환대상을 카레로 제한하지 않기 때문에 카레 덱이 아니어도 레벨 4 이하에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면 뭐든지 튀어나오게 할 수 있다. [[분류:유희왕/OCG화 되지 않은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