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튀르크어족)] ||<-2> {{{+4 '''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 тил'''}}} || ||<-2> {{{+1 '''카라차이-발카르어'''}}} || ||<-2> '''언어 기본 정보''' || || 주요사용국 || '''[[러시아]] [[카라차이-체르케시아]],[br][[카바르디노-발카리아]]''' 등 || || 원어민 || '''31만 명''' || || 어족 || '''[[튀르크어족]] [br] 킵차크어파 [br] 킵차크-쿠만어군 [br] 카라차이-발카르어''' || || [[문자]] || [[키릴 문자]] || ||<-2> '''언어 코드''' || || [[국제표준화기구|ISO]]-639-1 || - || || [[국제표준화기구|ISO]]-639-2 || '''krc''' || || [[국제표준화기구|ISO]]-639-3 || '''krc''' || ||<-2> '''주요 사용 지역''' || ||<-2> || 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 тил (Qaraçay-Malqar til) [목차] == 개요 == || [youtube(4S5ZOg05dVY)] || [[튀르크어족]] 킵차크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다. [[러시아]]령 [[북캅카스 연방관구]]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와 [[카바르디노발카리야]]에 거주하는 [[튀르크|튀르크계]] 민족인 [[카라차이인]]과 [[발카르인]]에 의해 사용된다. 화자수는 약 30만여 명이다. == 계통 == [[다게스탄]]에서 쓰이는 [[쿠미크어]]와 가까우며, [[카자흐어]]나 [[키르기스어]]와도 가까운 관계이다. [[터키어]]와는 먼 친척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러시아인들은 이 언어를 산지 타타르어(Горско-татарский) 내지는 산지 튀르크어(Горско-тюркский) 등으로 불렀으나, 50년대부터 카라차이-발카르어라는 표현이 사용되게 되었다. 카라차이인과 발카르인들은 이 언어를 '산악 지대의 말'이라는 뜻의 타울루 틸(таулу тил)이라고 하기도 한다. 표준화된 형태로 카라차이어(къарачай тил)와 발카르어(малкъар тил)의 두 형태가 있다고 하지만 차이가 크게 나지는 않는다고. 표기상으로는 /dʒ/ 발음을 카라차이어로는 дж로 쓰지만 발카르어로는 ж로 쓴다거나, 혹은 몇몇 자음의 발음이 틀리다던가 하는 차이가 있다고 한다. == 문자 == 과거에는 아랍 문자로 표기했으나 현재는 [[키릴 문자]]로 표기된다. 튀르크어다 보니까 다양한 모음을 가지고 있지만, 특징적으로 특수 문자 없이 기본 러시아 알파벳으로만 모든 발음을 표기한다. 가령 가까운 언어인 [[카자흐어]]에서 қ나 ө처럼 러시아어에 없는 글자로 적는 발음을 카라차이-발카르어에서는 къ, ё 등으로 적는 식. || '''문자'''[br](대문자/소문자) || '''이름''' || '''발음''' || || {{{+1 A a }}} || а || /a/, /æ/ || || {{{+1 Б б }}} || бе || /b/ || || {{{+1 В в }}} || ве || /v/ || || {{{+1 Г г }}} || ге || /g/ || ||<:> {{{+1 Гъ гъ }}} ||<:> гъа ||<:> /ʁ/ || ||<:> {{{+1 Д д }}} ||<:> де ||<:> /d/ || || {{{+1 Дж дж }}} || дже || /dʒ/ || || {{{+1 Е е }}} || е || /e/, /je/ || || {{{+1 Ё ё }}} || ё || /œ/, /jo/ || || {{{+1 Ж ж }}} || же || /ʒ/ || || {{{+1 З з }}} || зе || /z/ || || {{{+1 И и }}} || и || /i/ || || {{{+1 Й й }}} || и къысха || /j/ || || {{{+1 К к }}} || ке || /k/, /kʲ/ || || {{{+1 Къ къ }}} || къа || /q/ || || {{{+1 Л л }}} || эл || /l/ || || {{{+1 М м }}} || эм || /m/ || || {{{+1 Н н }}} || эн || /n/ || || {{{+1 Нг нг }}} || энг || /ŋ/ || || {{{+1 О о }}} || о || /o/ || || {{{+1 П п }}} || пе || /p/ || || {{{+1 Р р }}} || эр || /r/ || || {{{+1 С с }}} || эс || /s/ || || {{{+1 Т т }}} || те || /t/ || || {{{+1 У у }}} || у || /u/ || || {{{+1 Ў ў }}} || у къысха || /y/ || || {{{+1 Ф ф }}} || эф || /f/ || || {{{+1 Х х }}} || ха || /x/, /h/ || || {{{+1 Ц ц }}} || це || /ts/ || || {{{+1 Ч ч }}} || че || /tʃ/ || || {{{+1 Ш ш }}} || ша || /ʃ/ || || {{{+1 Щ щ }}} || ща || /ʃ/ || || {{{+1 ъ }}} || къаты белги || /j/ || || {{{+1 Ы ы }}} || ы || /ɨ/ || || {{{+1 ь }}} || джумушакъ белги || /ʲ/ || || {{{+1 Э э }}} || э || /e/, /æ/ || || {{{+1 Ю ю }}} || ю || /y/, /ju/ || || {{{+1 Я я }}} || я || /æ/, /ja/ || [[분류:튀르크어족]][[분류:러시아의 언어]][[분류:개별 언어]][[분류: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