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카드캡터 사쿠라]]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카드캡터 사쿠라/애니메이션)] [목차] == 개요 == [[카드캡터 사쿠라]] 애니메이션의 국내 방영과 관련된 문서이다. ||<-2>
'''국내 정식 방영 명칭''' || || [[SBS|[[파일:SBS 로고(1994-2000).svg|width=29]]]] ||<|2> 카드캡터 체리 || || [[투니버스|[[파일:투니버스 로고(2015-2019).svg|height=12]]]][br]{{{-2 (SBS판 재방영, 재더빙)}}} || || [[애니맥스 코리아|[[파일:애니맥스 코리아 로고.svg|height=20]]]] || 카드캡터 사쿠라 || == [[카드캡터 사쿠라(TVA)]] == === SBS TV판 (1999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A3wL0HqeVY, width=100%)]}}} || || '''{{{#ffffff,#ffffff 방영 예고편}}}''' || [[대원미디어|대원동화]]에서 수입하여 [[일본]]에서 2기가 방영되고 있던 [[애니메이션/1999년|1999년 6월 23일]]부터 《[[파워레인저 지오|지오레인저]]》 후속작으로 《[[카드캡터 사쿠라(TVA)|카드캡터 체리]]》라는 제목으로 [[SBS]] 및 7개 [[지역민방]][* PSB(현 [[KNN]]), [[TBC]], [[광주방송|KBC]], [[TJB]], [[울산방송|UBC]], [[CJB]], [[JTV]].][* [[G1]], [[JIBS]]는 개국 전이므로 제외. [[강원도]], [[제주특별자치도]] 출신자일 경우 [[마동왕 그랑조트|그랑죠]]의 전례처럼 비디오나 책, 공청설비(BS, 무궁화 위성), 유선방송 등으로 접한 사람들이 대다수일 것이다. 이는 아직 [[KNN]](구 PSB)이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전이었던 [[경상남도]] 출신자도 비슷하다.]에서 '''한국어 더빙판'''으로 방영했다. 1999년 하반기 이후에는 오프닝에 일본측 판권자명을 기입했다. 일본에서도 아직 종영되지 않은 작품을 전격적으로 수입한 셈인데, 통신기술의 발달로 [[애니플러스]] 같은 동시방송이 가능한 2010년대가 아닌 1990년대 말미에 이런 일이 이뤄졌다는 건 정말 이례적인 일이다. 주 2회(종반부엔 주 1회)의 방영 스케줄로 일본과 거의 비슷한 시기(일본은 2000년 3월, 한국은 9월)에 완결되었다. 1999년 7월 8일까지 수/목요일 오후 6시 15분에 방영하다가 7월 14일부터 《[[포켓몬스터(애니메이션)|포켓몬스터]]》가 방영을 시작하여 7월 16일부터[* 개편 당일엔 탈옥수 신창원이 검거된 터라 휴방되었다는 얘기가 있으나, [[https://youtu.be/5vzwt28x2SY|한 팬이 TJB 방영 당시 녹화한 영상]]에 따르면 정상 방영된 정황이 있다. 실제 신창원 검거 시점은 5시 20분경, 뉴스속보 편성은 5시 49분경이었다.([[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1999071700261|한국경제신문 기사]])] 10월 15일까지 금요일 오후 6시 15분에 방영하다가 10월 11일부터 《[[짱구는 못말려/국내 방영|짱구는 못말려]]》가 월~화 오후 5시 45분으로 이동하여[* 10월 11일 오후 6시 15분에는 특선만화 우주용사 솔라맨이, 12일 오후 6시 15분에는 특선가족영화 에어본이 방영하였다.] 10월 18일부터 11월 23일까지 월~화 오후 6시 15분에 했으나 11월 29일부터 《[[파워레인저 인 스페이스|메가레인저]]》가 방영을 시작하여 12월 3일부터 2000년 6월 30일까지 다시 금요일 오후 6시 15분에 방영하다가 7월 7일부터 9월 8일까지 금요일 오후 5시 50분에 방영하였다. SBS에서 금요일에 방영한 마지막 해외 애니메이션이다.[* 이 작품 종영 이후 SBS는 금요일에 [[한국 애니메이션]]들만 방영하였다.] 최고 시청률 '''37%'''를 기록할 정도로 엄청난 인기를 끈 히트작이다. 2000년대 들어 TV 시청률이 전반적으로 낮아지던 경향이라는 걸 생각하면 정말 놀라운 수치. [[포켓몬스터(애니메이션)|포켓몬스터]], [[짱구는 못말려]]와 함께 1990년대 후반의 [[SBS]]를 상징하는 애니메이션이자 마지막으로 시청률 30%대를 달성한 애니메이션으로 꼽힌다.[* 방영시기로 따지면 카드캡터 체리(6월 23일), 짱구는 못말려(6월 28일), 포켓몬스터(7월 14일) 순. 셋 다 왜색으로 인한 검열이 심했다는 것도 공통점. 피해는 카드캡터 체리가 제일 덜했고[* 70화 중 겨우 4화 잘려나간 것이면 정말 덜 편집당한 거다. 세일러문은 200화 중 34화 잘려나간 걸 보면...], 짱구는 많이 잘려나가고 순서도 뒤죽박죽이었으나 옴니버스이기에 큰 상관은 없고 투니버스에서 이어나가고 있고, 포켓몬스터는 에피소드 대다수가 날라가고 최종화를 15회 남겨두고 '''조기종영'''하는 병크를 저질렀다.] 아직도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추억의 애니하면 언급되고 있으며, 이때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 단골로 달리는 댓글은 오프닝 가사에서 유래한 '''만날 수 없어 만나고 싶은데(...)''' 이 작품이 한국팬들에게 유명한 또다른 이유는 '''한국어 더빙판의 완성도가 매우 뛰어나기 때문'''이다. [[일본 대중문화 개방]]이 본격적으로 이뤄지기 전에 수입되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한국식 로컬라이징이 이뤄졌는데, 어색함을 찾아보기 힘들만큼 퀄리티가 높다는 평이 압도적이다. 특히 주요인물들의 이름이 한국식으로 잘 바꿨기 때문에 슬램덩크처럼 일본판 이름이 어색할 정도. 또한 연기력으로 정평이 난 유명 성우진을 다수 기용하여 캐릭터들의 특징을 100% 살린 것도 매우 높게 평가받는 요소중 하나. [[키노모토 사쿠라|체리]] 역의 [[문선희]], [[케르베로스(카드캡터 사쿠라)|케로]] 역의 [[박은숙]](작은 버전) / [[백순철]] & [[홍시호]](본 모습),[* 본래는 백순철이 맡았다가 중간에 미국으로 이민을 가는 바람에 홍시호가 이어 받았는데, 두 성우 모두 본모습 버전 케르베로스 연기가 높게 평가받는다.] [[츠키시로 유키토|오청명]] & [[유에(카드캡터 사쿠라)|유에]] 역의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훗날 강수진 성우가 회고하길, 누구에게나 친절한 꽃미남 계열 캐릭터를 커리어 처음으로 맡아본거라 연기하면서 많이 오글거렸다고 한다(...). 한술 더 떠서 최종화가 방영되는 날 악몽을 꿨다고(...).] [[키노모토 토우야|유도진]] 역의 [[손원일(성우)|손원일]][* 여담으로 손원일 본인은 도진이를 떠올릴 때 '''[[호모]]'''라고 했다고(...).], [[다이도우지 토모요|신지수]] 역의 [[이현선(성우)|이현선]], [[리 샤오랑]] 역의 [[임은정(성우)|임은정]], [[리 메이링]] 역의 [[우정신]], 그 외 [[이인성(성우)|이인성]], [[최문자]], [[오인성]], [[배정미]] 등 당시 일본 애니메이션 더빙쪽에서 활발하게 활동중인 에이스들을 많이 캐스팅 했다. 중반에 [[어른의 사정]]으로 몇몇 캐릭터가 성우가 변경되고 [[중복 캐스팅]]이 좀 있다는 게 흠이지만[* 이 부분은 당시 시대상을 고려했을 땐 어쩔 수 없었던 측면도 있다. 후술할 투니버스 재더빙판도 중복 캐스팅이 있었지만 SBS판에 비하면 어느 정도 줄어든 편이다.], 큰 문제는 아니었다는 평. 단, 번역 문제가 좀 아쉽다는 의견도 많다. 13화에서 동물원의 [[나무늘보]]가 나오는데 일본어로 게으름뱅이와 나무늘보를 모두 뜻하는 단어인 '나마케모노(なまけもの)' 를 작중 상황에 맞지 않게 게으름뱅이로 번역하여 부자연스러워졌고,[* 애니북과 투니버스 재더빙판에서는 상황에 맞게 나무늘보로 번역되어 이러한 문제점이 개선되었다.] 초중반에 [[리 샤오랑]]이 한국 정서에 맞지 않게 일본 원판처럼 '리 군'으로 불리는 점 등.[* 이에 대해서는 [[리 샤오랑]]과 [[일본문화의 호칭관계문제]] 참조. 한국에서 '군'은 나이 지긋한 선생님들 혹은 언론에서 정중함을 살리기 위해 쓸만큼 대중적이지 않지만, 일본에서는 일상회화때 매우 흔하게 쓰이는 호칭이다. 그런데 해당 문제점은 이후 투니버스 재더빙판에서 그대로 답습된다(...). 하지만 이는 후반부에 있을 샤오랑과 체리의 호칭관계 정리를 위해 이러한 번역을 선택한 것일 수도 있다. --답습이 아니라 [[헤르미온느]]처럼 어색하지만 돌이킬 수 없게 된 게 아닐까--] 그리고 당대 지상파 애니가 그렇듯 [[왜색]] 관련 등의 심의 문제로 몇몇 에피소드를 통째로 잘렸고, 무사히 방영된 에피소드들 중에서도 잘려나간 부분이 좀 있다. 제목이 일판과 다른 이유도 왜색 문제이다. 방영 당시 우리말 번역은 황내경-김양희가 번갈아가며 담당했고, 녹음연출/편집은 [[배숙현]] PD[* 이후 쭉 외화/애니를 더빙 연출했고, 2007년 《[[프리즌 브레이크(드라마)|프리즌 브레이크]]》 녹음연출을 끝으로 다른 부서로 이적한 것으로 추정된다.]가 담당했다. [[http://gall.dcinside.com/radio_actor/42762|당시의 인터뷰 기사]]를 보면 노고를 알 수 있다. SBS는 엔딩은 따로 제작하지 않고 오프닝과 같은 곡을 썼는데, 간혹 일본판 엔딩을 (간주부분이나마) 방송해줬다.[* 1번째 ED 'Groovy!', 2번째 ED 'Honey', 3번째 ED 'Fruits Candy' 모두. 이후 투니버스 재더빙판에서 이 곡들을 번안했다.] 물론 일본어 부분이 전파를 탈 수 없으니 가사없이 멜로디만 내보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SBS 시절 한정으로 TV size에 전주가 없는 2기 오프닝 '문을 열고서'가 사용된 [[유에(카드캡터 사쿠라)|유에]] 편 마지막 부분이 [[그라디우스 IV]]의 BGM중 하나인 APOLLON으로 바뀌기도 했다. [[https://twitter.com/juking_/status/919034276745658368|아카이브]] 물론 완전히 그대로 쓴건 아니고 약간의 편곡을 거쳤다. 사실 이 부분은 더빙판뿐 아니라 영어판 카드캡터스에서도 보컬곡대신 생판 다른 BGM을 사용했으며 이쪽의 경우는 악곡 상세 불명. 한편 SBS에서의 방영 이후에 [[투니버스]]와 [[애니원]]/[[챔프]]에서 방영되었다.[* 그래서 녹화본 일부분은 대부분 애니원/챔프판이다.] 하지만 [[애니박스]] 개국 전에 [[대원방송]]의 방영권이 만료되었는지 이쪽에서는 방영되지 않았다. 이후 한참 동안 국내 방영이 되지 않다가 2012년 2월 15일(첫방송 오후 4시)부터 [[카툰네트워크]]에서 재방영되었다. 2003년에 [[서울문화사]]에서 애니북이 발매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절판됐다. [[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category=&query=%EC%B9%B4%EB%93%9C%EC%BA%A1%ED%84%B0+%EC%B2%B4%EB%A6%AC&range=&sm=mtb_opt&sort=rel&type=0&where=m_book&start=46#api=%3F_lp_type%3Dcm%26col_prs%3Dcsa%26format%3Dtext%26nqx_theme%3D%257B%2B%2522theme%2522%253A%257B%2522main%2522%253A%257B%2522name%2522%253A%2522book_info%2522%252C%2522os%2522%253A166007%252C%2522pkid%2522%253A20000%257D%257D%2B%257D%26query%3D%25EC%25B9%25B4%25EB%2593%259C%25EC%25BA%25A1%25ED%2584%25B0%2B%25EC%25B2%25B4%25EB%25A6%25AC%26sm%3Digr_brg%26tab%3Dinfo%26tab_prs%3Dcsa%26where%3Dbridge&_lp_type=cm|#]]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넘기는 구조로 보아 일본에서 만든 것을 수입한 것으로 보이며 일부 에피소드들은 간단하게 요약만 되어 있다. 희한하게도 [[리 샤오랑]]과 [[리 메이링]]의 이름을 '이소랑', '이매령'이라는 한국스러운 이름으로 번역해놨다. 다만 나무늘보는 나무늘보라고 제대로 번역했다. 그 외에 SBS 본방 당시 [[지경사]]에서 만화소설을 발매한 적이 있었으나 역시 절판된 데다, 공공도서관들 역시 점차 제적처리를 하는 터라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까지 가서 봐야 한다. [[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category=&query=%EC%B9%B4%EB%93%9C%EC%BA%A1%ED%84%B0+%EC%B2%B4%EB%A6%AC&range=&sm=mtb_opt&sort=rel&type=0&where=m_book&start=46#api=%3F_lp_type%3Dcm%26col_prs%3Dcsa%26format%3Dtext%26nqx_theme%3D%257B%2B%2522theme%2522%253A%257B%2522main%2522%253A%257B%2522name%2522%253A%2522book_info%2522%252C%2522os%2522%253A229496%252C%2522pkid%2522%253A20000%257D%257D%2B%257D%26query%3D%25EC%25B9%25B4%25EB%2593%259C%25EC%25BA%25A1%25ED%2584%25B0%2B%25EC%25B2%25B4%25EB%25A6%25AC%26sm%3Digr_brg%26tab%3Dinfo%26tab_prs%3Dcsa%26where%3Dbridge&_lp_type=cm|#]] === 투니버스 TV판 (2018년) === 2018년 4월 4일(밤 9시)부터 [[투니버스]]에서 [[카드캡터 사쿠라 클리어 카드 편/애니메이션|클리어 카드 편]] 방영을 앞두고 해당 작품을 신작으로 선보였다. 신작 공개 당시에는 재방영/재더빙 여부가 알려지지 않았으나, 이후 공개된 예고를 통해 재더빙임이 알려졌다. [[소년탐정 김전일/애니메이션|대원판 김전일]]처럼 후속작의 성우 교체로 인한 위화감을 줄이기 위한 재더빙으로 보인다. 일본에서 성우진을 유지하여 방영되는 클리어 카드 편과 달리, [[보노보노/애니메이션|보노보노]]나 [[애천사전설 웨딩피치|2013년판 웨딩피치]]처럼 성우진을 물갈이했다. 체리는 [[정유정(성우)|정유정]], 케로는 [[양정화]]로 캐스팅되었고, [[EBS 성우극회|EBS 출신]]인 [[엄상현]]을 제외하면 주연과 조연 역의 성우들이 모두 [[CJ ENM 성우극회|자사 출신 성우]]로 교체된 것이 확인됐다.[* 특이하게도 전작 성우진 중 상당 부분을 차지했던 [[KBS 성우극회|KBS 출신 성우]]의 경우, 이번 재더빙작에는 단 한 명도 참여하지 않았다.] 자사 성우 중 일부는 과거 방영한 극장판에서 출연했던 경력이 있다.[* 이 중 [[김장(성우)|김장]]의 경우 극장판 1기에 이어 도진을 다시 한 번 맡게 되었으며, 이외에도 재더빙판에서 에리얼을 맡은 [[이현진(성우)|이현진]]과 류미호를 맡은 [[이지영(성우)|이지영]]은 극장판 1기에서 각각 여마법사와 메이링을, 케로를 맡은 [[양정화]]는 극장판 2기에서 여러 조역 등을 맡았던 적이 있다.] 책임프로듀서는 [[신길주]], 번역에 권이강(~33화)→송승은(34화~)[* [[파일:Sakura_Re_EP34_3.png|width=70%]]], 우리말 연출은 류정혜 PD이다. 주제가는 기존과 달리 일본판 곡들을 번안해 사용하고 있다. SBS판이 자체 제작곡 [[Catch You Catch Me]]만 내보내고 나머지 일본판 엔딩, 오프닝 더빙 없이 다 짤려나가고 1~3번째 ED을 멜로디로만 일부 내보냈었기 때문에, 투니버스가 일본판의 1번째 OP/ED을 모두 번안한 것에 대해서는 호평이 많다. 한편으로는 연출 PD의 전작인 [[아이카츠!/국내 방영|아이엠스타 시즌4]]와 마찬가지로 2회 연속 방영시 첫 화의 엔딩을 중간광고 혹은 둘째 화 진입 전에 송출되고[* 단, 과거 투니버스의 송출방식과는 달리 예고편은 엔딩 전에 송출된다.], 둘째 화 엔딩은 타 애니와 동일하게 광고 이후에 송출된다. 아이엠스타 시즌4의 경우는 애초부터 엔딩에 다음화 예고 영상이 포함되어 있어서 어쩔 수 없다 쳐도 카드캡터 체리의 경우는 전혀 그럴 이유가 없으니 확실히 특이한 상황. 심지어 8화부터는 OP에서 [[리 샤오랑]]이 등장하는데[* 7화 OP까지는 유익한(체리 아버지)의 요리하는 모습이 나오다가 8화 OP부터 샤오랑의 모습으로 교체.] '''7화 ED 및 중간광고 직후 영상이 변경된 OP을 다시 송출해주었다.''' 전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운행 형태가 매우 다른 점으로 미뤄볼 때 2~3번째 OP/ED의 번안 가능성은 매우 높았고, 실제로 3쿨째의 2기 오프닝과 엔딩이 번안되어 8화와 동일한 방식으로 공개되었다. 다만 이와 같은 방식이 손이 많이 갔는지, 25화의 경우 엔딩에 성우진이 표기되지 않았던 방송사고가 있기도 했다. 이는 5월 20일 재방에서도 수정되지 않은 채 그대로였으나, 5월 23일 재방송에서 수정하여 내보냈다. 또한 해당 에피소드(25화)는 [[미즈키 카호|문현아]]의 첫 등장 에피소드였는데, 이 때문에 해당 캐릭터를 맡은 [[박경혜(성우)|성우]]의 출연 여부 확인이 늦어지게 되었다.[* [[성우 덕후|성우덕]]들이야 진작에 눈치를 챈 사람들이 많았으나 공식적으로 크레딧에서 확인된 것은 아니였으므로 보류 상태였다가 뒤늦게서야 확인이 되었다.] 더빙에 대한 평가는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린다. 이는 후술할 캐스팅 변경 단락 참고. 이와는 별개로 케로 역의 [[양정화]]가 국어 선생님 등을 맡는가 하면 아빠 역의 [[엄상현]], 도진 역의 [[김장(성우)|김장]] 등도 다른 단역을 겸하고 있는 등 중복 캐스팅이 많다. 대체로 원래 맡고 있는 고정 배역과 다른 톤으로 연기하는 것을 보면 한정된 성우진 내에서 최대한 중복 캐스팅을 효율적으로 배치하려는 듯. ~~그리고보면 [[키노모토 사쿠라|주인공]] [[리 샤오랑|남녀]] [[정유정(성우)|담당]] [[박리나|성우]] 둘 다 연기폭이 넓은 편인데 설마...?~~ 그 뒤로 추가되는 성우가 없다가, 한참 뒤인 16화에서 [[MBC 성우극회|MBC 출신]]의 [[권혁수(성우)|권혁수]]가 추가되었다. 엄상현에 이은 두 번째 외부 성우이기도 하다. 편집면에서는 2화에서 체리가 전투 중 입던 코스튬의 레오타드 부분이 덧칠되었고 6화의 목욕탕 장면에서 체리의 뒷모습에 전신 수건이 덧씌워지는 등, 심의와 관련된 부분이 있으며 그 외에는 칠판, 공책, 카드 등에 적혀있는 일본어를 한국어로 수정했다. 오프닝의 경우 체리의 주황색 바톤 주머니에 쓰여있는 커다란 명찰이 SAKURA(벚꽃) 표기 그대로라던가, 1기 오프닝과 엔딩의 작사·작곡가인 히로세 코미의 이름을 K'''a'''mi로 잘못 적은 오타가 1주차에 존재했으나 2주차(5화~)부터 수정해서 송출되었다. 그 외 쉽게 눈에 띄지 않는 일본어 등이 수정되지 않는 등의 사소한 옥의 티도 있는 편. ||
[[파일:Sakura_Re_EP01_2.png|width=100%]] || [[파일:Sakura_Re_EP01_1.png|width=100%]] || ||<-2> 1화 오프닝(수정 전) || || [[파일:Sakura_Re_EP05_2.png|width=100%]] || [[파일:Sakura_Re_EP05_1.png|width=100%]] || ||<-2> 5화 오프닝(수정 후) || 또한 34화부터 타이틀 폰트가 변경되었다. ||
[[파일:Sakura_Re_EP33_1.png|width=100%]] || [[파일:Sakura_Re_EP33_2.png|width=100%]] || ||<-2> TVA 1기(1화~33화) 타이틀 || || [[파일:Sakura_Re_EP34_1.png|width=100%]] || [[파일:Sakura_Re_EP34_2.png|width=100%]] || ||<-2> TVA 2기(34화~) 타이틀 || 한편으로는 SBS 방영 당시 왜색 문제로 미방영된 4개 에피소드가 어떻게 처리될지에 대한 관심도 있다. 우선 18화는 축제 에피소드, 27화는 신사가 배경으로 나오며[* 사실 26화도 신사가 배경이 되지만 절로 로컬라이징해서 잘 방영됐다. 27화는 신사도 신사지만 샤오랑이 유키토를 좋아한다고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부분이나, 교생과 중학생 사이의 사랑이 에피소드를 전개하는데 중요한 요소여서 당시 사회에서 대놓고 방영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62화는 새해 에피소드, 65화는 일본 전통 의상을 입고 연극에 임하는 내용인데 SBS 방영 당시에는 '''왜색=자동 심의불가'''라는 불문율이 존재하던 시기라서 불방 처리된 것인데 반해 현재는 왜색이라도 방송사의 재량으로 얼마든지 방송할 수 있기 때문에 상황이 다를 수 있다. 일단 담당 연출인 류정혜 PD가 인스타그램에서 [[https://www.instagram.com/p/BhJ9Weknx3M/?taken-by=haruno_rjh0619|투니버스 심의에 따라 잘리는 화수가 몇몇 있다.]]고 밝힌 만큼, 결방된 네 화가 모두 방영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류정혜 PD가 인스타그램에서 [[https://www.instagram.com/p/Bn1BMe5HoDV/?taken-by=akino_rjh0619|62화 체리와 청명과 사라져가는 힘]] 방영 확정 되었다. 왜색 문제로 미방영된 에피소드가 추가되어 SBS판 66화가 아닌 투니버스 재더빙판 67화로 방영 종료하게 되었다. 완구나 학용품, 제과, 음료, 의류업체, 출판사까지 캐릭터 판권 계약을 노리고, SBS판 때 못했던 극장 개봉까지 하는 게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다만 상품화가 진행된다면, 본작보다는 사업 설명회에서 방영을 첫 공개한 [[카드캡터 사쿠라 클리어 카드 편/애니메이션|신작]] 쪽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첫 방송 당시에는 [[TVING]]이나 [[olleh tv]] 모바일 등 [[OTT]]서비스에서도 정상 송출되었으나, 5월 2일(17화)부터 시청이 불가능해졌다. [[유튜브]]의 투니버스 채널을 통해 케로짱에게 부탁해 코너가 더빙되어 '''케로에게 맡겨줘!'''라는 코너로 올라오는 중이다. || 일본 |||| 한국 || 일본판 주제 || 한국판 제목 || 링크 || || 1화 |||| 1화 || 토모에다 소학교의 교복 || 우수초등학교 교복 || [[https://www.youtube.com/watch?v=B0IBfXRA6Mk|#]] || || 2화 |||| 2화 || 배틀 코스튬(VS The Shadow) || 전투복 첫 등장!! || [[https://www.youtube.com/watch?v=3GqH0a5cDcM|#]] || || 3화 |||| 3화 || 배틀 코스튬(VS The Watery) || 워티를 잡아라! 방수 전투복! || [[https://www.youtube.com/watch?v=QakB24No-ys|#]] || || 4화 |||| 4화 || 배틀 코스튬(VS The Rain) || 날개가 포인트! || [[https://www.youtube.com/watch?v=wX5DcMh5EuQ|#]] || || 5화 |||| 5화 || 사쿠라의 집 || 체리네 집을 소개할게! || [[https://www.youtube.com/watch?v=aTnL5ApoUzg|#]] || || 6화 |||| 6화 || 배틀 코스튬(VS The Illusion) || 통신기가 신기해! || [[https://www.youtube.com/watch?v=DOxkJ0Kq3V8|#]] || || 7화 |||| 7화 || 배틀 코스튬(VS The Silent) || 괴도 체리 등장! || [[https://www.youtube.com/watch?v=j52lWa-BWJ4|#]] || || 8화 |||| 8화 || 배틀 코스튬(VS The Thunder) || 체리, 고양이가 되다?! || [[https://www.youtube.com/watch?v=Qyrfn_ky39E|#]] || || 9화 |||| 9화 || 샤오랑의 전투 예복 || 멋짐 폭발, 샤오랑 등장! || [[https://www.youtube.com/watch?v=IB62pNun1ww|#]] || || 10화 |||| 10화 || 사쿠라의 치어리딩 유니폼 || 하나, 둘! 치어리딩부 || [[https://www.youtube.com/watch?v=B4-kIBXg6go|#]] || || 11화 |||| 11화 || 체리의 생활용품 || 체리의 아이템 공개! || [[https://www.youtube.com/watch?v=ieaFTOekMTI|#]] || || 12화 |||| 12화 || 배틀 코스튬(VS The Time) || 체리, 요정으로 변신! || [[https://www.youtube.com/watch?v=aGlxCNsqURE|#]] || || 13화 |||| 13화 || 토모에다 소학교 교복(하복) || 우수초등학교 하복 || [[https://www.youtube.com/watch?v=Ro-F6PCzaM8|#]] || || 14화 |||| 14화 || 세이죠 고등학교 교복 || 도진&청명 교복 소개! || [[https://www.youtube.com/watch?v=_pYXKdsDGEQ|#]] || || 15화 |||| 15화 || 배틀 코스튬(VS Storm ) || 마법 소녀 체리! || [[https://www.youtube.com/watch?v=1HcgZvXCnx4|#]] || || 16화 |||| 16화 || 봉인의 열쇠 || 봉인의 열쇠 || [[https://www.youtube.com/watch?v=EsQmARJjfzU|#]] || || 17화 |||| 17화 || 토모에다 소학교 수영복 || 물놀이의 계절, 여름! || [[https://www.youtube.com/watch?v=8IlKivoWD2k|#]] || || 19화 |||| 18화 || 아기돼지 이야기 || 새롭게 바뀐 케로에게 맡겨줘! || [[https://www.youtube.com/watch?v=0MoGPnp2Ofs|#]] || || 20화 |||| 19화 || 배틀 코스튬(VS Fight) || 파이트 카드, 놓치지 않겠다! || [[https://www.youtube.com/watch?v=eTYhZc_pLF0|#]] || || 21화 |||| 20화 || 메이링의 전투 예복 || 리 메이링 예복 || [[https://www.youtube.com/watch?v=iEGQYA-FOCc|#]] || || 22화 |||| 21화 || 토모에다 소학교 체육복 || 체리의 여름 체육복! || [[https://www.youtube.com/watch?v=H5OX8K2tuwM|#]] || || 23화 |||| 22화 || 배틀 코스튬(VS Song) || 아름다운 노래와 함께! || [[https://www.youtube.com/watch?v=smuSTB0WmJs|#]] || || 24화 |||| 23화 || 배틀 코스튬(VS Little) || 이상한 나라의 체리 || [[https://www.youtube.com/watch?v=5FyJwqBOBDA|#]] || || 25화 |||| 24화 || 케로의 아이템 || 케로의 아이템! || [[https://www.youtube.com/watch?v=DMTMEEjPWMs|#]] || || 26화 |||| 25화 || 사쿠라의 친구 소개 || 체리의 친구들을 소개할게! || [[https://www.youtube.com/watch?v=Q98IRQf7hrk|#]] || || 28화 |||| 26화 || 주술 카드 || 크로우 카드? 주술 카드! || [[https://www.youtube.com/watch?v=eEzPUvKCPFI|#]] || || 29화 |||| 27화 || 토모에다 소학교 실습용 앞치마 || 체리와 맛있는 케이크☆ || [[https://www.youtube.com/watch?v=f5LWLgbNkqs|#]] || || 30화 |||| 28화 || 배틀 코스튬(VS Dash) || 대쉬와 함께 폴짝~☆ || [[https://www.youtube.com/watch?v=YS8dWQvpp7Q|#]] || || 31화 |||| 29화 || 배틀 코스튬(VS The Big) || 체리가 거대해졌다?! || [[https://www.youtube.com/watch?v=ejVDRkQPjKU|#]] || || 32화 |||| 30화 || 배틀 코스튬(VS The Change) || 케로의 전투복 특집! || [[https://www.youtube.com/watch?v=b3FhKLESxnI|#]] || || 33화 |||| 31화 || 토모에다 소학교의 겨울 체육복 || 따뜻한 겨울 체육복! || [[https://www.youtube.com/watch?v=1L9zB7bwpT4|#]] || || 27화 |||| 32화 || 사쿠라의 오빠의 자전거와 유키의 자전거 || 슝슝~ 자전거 타기! || [[https://www.youtube.com/watch?v=4U5G0hHTwjQ|#]] || || 34화 |||| 33화 || 이 코너 이번회로 끝이야 || 바이바이☆ 케로! || [[https://www.youtube.com/watch?v=T2qo3vSN8B8|#]] || 나름 시청률이 잘 나왔는지 주말 8시대에 편성된 재방송이 없어지지 않고 유지되고 있다. 하지만 5월 16일부터 본방송 편성이 매주 목요일 밤 9시로 변경되어 주 2편 방송으로 축소되었다. [[http://info.tving.com/Notice/NoticeView/2768?systemCode=tooniverse|공지]]([[http://archive.is/zXnCC|@]]) 는 21일 주간부터라고 언급했으나, 정작 편성 변경은 5월 16일(25화)부터 이루어졌다.[* [[파일:Sakura_Re_EP25_1.png|width=70%]] [br] 당시 자막 내용 - \[방송편성 변경안내\] 매주 수-목요일 밤 9시에 방송되던 <카드캡터체리>가 이번 주부터 매주 목요일 밤 9시로 방송 시간 변경될 예정입니다. 시청자 여러분들의 양해 부탁드리며 <카드캡터체리> 매주 목 밤 9시 많은 시청 바랍니다.] ~~날짜 표기 설렁설렁해도 별 일 없는 투니버스 복지 체계라 카더라.~~ 담당PD의 [[https://www.instagram.com/p/BjyqbeAAisj/?utm_source=ig_web_copy_link|작업 비화]]로 미루어보아 소재 수급상의 문제 등으로 추정된다.[* 성우들의 녹음은 TV판 종영 9주가량 전인 7월 말 경 일찌감치 종료되었다고 [[https://youtu.be/qkkdI5vu034?t=4m10s|언급]]된 것으로 보아 기존 주 4화 녹음을 끝까지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녹음 스케쥴상의 문제로 방영이 축소된 것은 아닐 확률이 높다. 반면 해당 포스팅에서 언급된 에피소드와 작성일로 미루어보아 편집 등의 후작업은 방송되는 그 주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기존 본방 시간대였던 수요일 밤 9시는 전주 재방송으로 대체되었으나, 8월부터는 편성이 유동적으로 변경되었다. 토요일 밤 8시 재방송은 다른 방송으로 대체되었으나, 일요일 밤 8시 재방송은 다행히 그대로 유지되었다. 또한 연초 8월 예정이었던 후속작 [[카드캡터 사쿠라 클리어 카드 편/애니메이션|카드캡터 사쿠라 클리어 카드 편]]의 방영은 2019년 1월로 미뤄지게 되었다. 투니버스의 방영이 마무리되는 2018년 9월, [[대원방송]]의 세 채널에서의 방송이 시작되었다. [[아이엠스타]] 시즌 4와 [[마법진 구루구루|전설의 마법 쿠루쿠루]]와 함께 투니버스의 2018년 주요 신작들이 경쟁사에서 방영되는 셈. 애니원 금 21시(4화 연속), 챔프 월~화 21시(각 2화), 애니박스 토 19시(4화 연속)에 각각 편성이 잡혔다. 신작 공개 이후 일부에서 기존 SBS판을 방영하는 것 아니냐는 ~~설렘~~의견이 있었으나, 투니버스 재더빙판이라는 답변이 돌아오는 해프닝도 있었다. [[http://www.aniboxtv.com/program/program_view.php?pidx=1339|프로그램 페이지]] 소개에는 화수가 33화로 표기되어 있어, 일본판 기준 1기 분량만 우선 방영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2019년 3월 4일 애니원에서 월-화 22시(각 2회), 3월 10일 애니박스 일 20시에 일본판 기존 2기 분량을 방영이 확인되었는데 2기 분량은 11화나 돼서 3기랑 같이 방영할건지 알수 없음 그리고 챔프에서 방영시간이 안나왔다. [[투니버스]]에서 2018년 10월 15일부터 매주 오후 10시에 재방송을 편성했었다. [[애니박스]]에서 2019년 9월 14일부터 매주 저녁 8시에 재방송을 편성했다. 2019년 2월을 전후하여 [[TVING]] 등 OTT 판권이 만료되어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https://twitter.com/ccsakura_lover/status/1098149750384164866|참고]] 이 때문에 한동안 정식 루트로 더빙판을 볼 수 있는 방법이 사라졌는데, 이후 [[wavve]]에서 [[카드캡터 사쿠라/애니메이션/국내 방영#wavve 자막판 (2022년)|자막판]]과 함께 독점 스트리밍 서비스를 다시 시작하면서 2022년 4월 5일부터 시청이 가능해졌다. ==== 캐스팅 변경 관련 논란 ==== 방영 → 재더빙 → 성우진 변경 → 본 방송이 차례로 공개되면서. 이에 대한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리면서 논란이 제법 컸다. * '''성우진 전면 교체에 대한 호불호''' 재더빙 여부까지만 공개된 시점에서, 캐스팅이 유지될 것인지가 떡밥이 되었다. 2010년대에 들어서 활동을 거의 안하게 된 [[박은숙]]이나 건강 및 자식들의 교육 문제 때문에 일선에서 물러난 [[이현선(성우)|이현선]]의 경우가 있어서 전체 성우진이 유지되는 것은 다들 불가능하다고 여겼다. 따라서 ①일부 성우진을 유지하되 빠진 성우를 추가 캐스팅하는 방법과 ②전면적 성우진 개편, 두 가지의 방법이 있었다. 팬들이 원하던 것은 전자였으나, 최종적으로는 후자로 결정되면서 논란이 시작되었다. 일단 짚고 가야하는 것은 무인편 방영이 후속작인 클리어카드편을 위한 필수 코스라는 점이다. 투니버스 채널의 방송법상 분류가 '어린이' 채널이 된 이상 주 타겟층은 어린이이고, 이들은 2000년 첫 방영을 전후해 태어났기에 무인편을 접하지 못했을 확률이 높다. 따라서 어떤 형태로든 무인편이 클리어카드편보다 먼저 공개되어야 했다. 이 때 [[명탐정 코난]][* 나중에 [[KBS]]에서 방영한 1기가 [[애니맥스 코리아|애니맥스]]에 재더빙되어 방영되기는 했다.]이나 [[꼬마마법사 레미]] 등과 같이 전작 재더빙 없이 클리어 카드편만 이어서 신규 더빙하는 방법도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영 형태는 성우진의 불가피한 교체가 발생하며, 이는 당장 [[재더빙]] 문서에 언급된 단점이기도 하다. 또한 기존 성우진 유지시 제작 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도 고려되었을 수 있다. 따라서, 연출 PD로 부터 시작된 상향식 결정인지 윗선에서 내려온 하향식 지시인지는 알 수 없으나, 성우진 통일 등을 이유로 최종적으로 투니버스 측에서는 무인편을 재더빙해서 리부트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 물론 이로 인해 야기된 가장 큰 쟁점은 2018년 현재도 활동중인 [[문선희]],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이인성(성우)|이인성]], [[손원일(성우)|손원일]] 등의 성우가 한 명도 유지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임은정, 손원일, 강수진 등 몇몇 성우들은 [[오진숙|진구 엄마]]나 [[하타케 카카시|카카시]], [[쿠도 신이치|남도일]] 등 타 캐릭터 목소리로 대중들에게 이미 고착화되었다.] 특히 주인공 체리 역의 [[문선희]]는 [[더빙의 신]]에서 아직까지도 체리 연기로 건재한 모습을 보였을 뿐 아니라 후속작인 클리어 카드 편에 참여하고 싶다는 의사를 내비쳤음에도 불구하고 교체되었다는 점에서 가장 큰 논란거리가 되었다. 비슷한 시기 방영된 [[마법진 구루구루|전설의 마법 쿠루쿠루]]가, 비록 같은 방송국 작품의 후속작이라 직접적 비교가 어렵긴 하지만, 주연 교체+조연 유지 조합으로 비교적 긍정적 반응을 얻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대조적인 모양새가 되었다. 이는 나아가 방송국 단위의 팬덤간의 갈등을 야기시켰다. [[애천사전설 웨딩피치#s-4.4|웨딩피치 재더빙판]]이나 [[아즈키쨩|사랑은 콩다콩 재더빙판]]의 경우처럼 투니버스에서도 전면적 [[성우 교체]]가 있었고, [[소년탐정 김전일/애니메이션|김전일 재더빙판]]의 경우처럼 [[대원방송]]에서도 일부 성우진이 유지된 사례가 있었다. 하지만 대원방송의 [[드래곤볼]] [[손오공(드래곤볼)|손오공]] 성우 교체의 경우 여론이 비판쪽으로 과열된 반면, 투니버스의 두 성우 교체의 경우 그 정도까지 과열 양상으로는 치닫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대원방송 작품을 좋아하는 팬덤에서 불만을 제기했다. 결과적으로 SBS판의 추억을 가지고 있는 올드 시청자들을 끌어들이지 못했다. * '''재더빙판 캐스팅에 대한 연기력 논란''' 일단 SBS판이 1999~2000년 본방은 물론이고 이후 '''[[투니버스]]'''와 [[대원방송]]에서 5년 넘게 방영되어서 매우 인지도가 높다. 게다가 2012년 [[카툰네트워크]]를 통해 재방영되기도 했다. 따라서 기존 성우진이 귀에 더 익는 건 어쩔 수 없는 사실이다. 게다가 그 성우진이 호화 성우진으로 지금까지 일컬어 진다는 측면에서는 더더욱. 변경된 캐스팅을 싫어하는 쪽에서는 '체리의 연기가 안정되지 않았다.' / '전문 성우 연기인데도 [[국어책 읽기]]급이다'는 혹평이 있는데, 사실 SBS판을 배제하고 들어봤을 때 국어책 읽기 혹은 불안정한 연기라고 단정짓는게 주류 의견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대표적으로 2015년 10월 [[아이엠스타!]]에서 [[김진아(PD)|연출자]]의 판단에 의해 [[유인나|연예인]] 더빙이 진행된 [[나츠키 미쿠루|캐릭터]]에 대해서는 상당수의 혹평과 극소수의 호평이 있었던 것을 들 수 있다. 연기에 대한 평가는 서로 호불호가 갈리는게 당연하지만, 정말로 문제가 있는 연기라면 그 수치가 극명하게 엇갈리는게 일반적인데 체리 연기의 경우는 어느 한쪽으로 다수가 쏠려있지 않다는 것.] 투니버스판에 대한 혹평들을 종합해보면 결국 SBS판과 판이하게 다른 톤과 말투로 인한 이질감에 적응하지 못한 것을 성우의 연기력 탓으로 돌리는 것에 가까우며, 한편으로 '기존 캐스팅의 연기 톤을 따라하는데 급급한다(...)'는 식의 혹평이 있는 것을 감안하면 아예 일관성조차 결여되어 있다. 반면 [[김가령]]이 맡은 지수에 대해서는 이현선만큼 잘 어울린다거나[* 이현선이 활동을 중단한 바람에 방법이 없었다. 그래서 다른 연기자가 맡아도 거부감이 훨씬 적다.] 심지어 [[강수진(KBS 성우)|강수진]]이 담당했던 [[츠키시로 유키토|오청명]]에 대해 [[김명준(성우)|김명준]]의 연기가 더 어울린다는 등의 우호적인 의견도 존재한다.[* SBS판 방영 당시에는 강수진의 오청명 연기에 대해 '''너무 게이같다'''는 의견이 심심치 않게 있었는데, 심지어는 강수진 본인조차 해당 캐릭터에 대해 '''"게이 연기 앞으로도 열심히 하겠다."'''라는 자폭성 농담을 했을 정도. 물론 이는 말 그대로 농담일뿐인데다, 게이 운운하는 평도 엄연히 주관적인 것이라서 걸러들을 필요가 있다.] 게다가 [[박리나]]가 맡은, 제2의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리 샤오랑에 대해서도 평가가 좋은 편. 더군다나 일본 원판이나 투니버스 재더빙판으로 입문한 팬들 사이에서는 [[문선희]]의 체리 목소리를 너무 나이들었다고 싫어하고 [[정유정(성우)|정유정]]의 체리 목소리를 체리의 나이에 맞는 목소리로 평가하는 의견도 있다. 오히려 원작인 일본의 사쿠라 목소리와 더 비슷해서 위화감이 없다는 평가도 있었다. * '''일본판 연기의 현황과 재더빙판에 대한 또 다른 반응''' 국내에서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캐스팅에 대해 다소 호불호가 갈리는 중이다. 우선 1998년에 제작된 구작 이후 무려 20년이라는 긴 세월이 지나고서야 클리어 카드편이 제작된 탓에 성우진들도 그만큼 나이를 먹었고, 이로 인해 일부 성우들의 톤이 달라져서 위화감이 든다는 평이 있는 반면 기존 성우들이 유지된데 대한 긍정적인 평도 있다. 다행히 샤오랑역을 맡은 [[쿠마이 모토코]]는 구작과 큰 차이없는 톤을 유지하고 있지만, 토모요(지수)역의 [[이와오 준코]]와 사쿠라 역의 [[탄게 사쿠라]]의 경우는 달라진 톤을 구작에 맞추려다보니 다소 연기가 불안정해보인다는 의견도 있다. 한편 2018년 투니버스의 재더빙은 일각에서 주장하듯이 SBS판과 동일한 캐스팅으로 재더빙하거나 혹은 아예 재더빙을 하지 않고 클리어 카드편으로 넘어가서 SBS판 캐스팅을 유지했을 경우 오히려 일본판에서처럼 기존 성우들의 목소리 톤 변화에 따른 위화감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 당장의 문선희만 해도 [[클로저스]]의 [[티나(클로저스)|티나]]를 담당하면서 여론을 뒤집기 전까진 더 이상 중학생 이하의 소녀 목소리는 낼 수 없게 되었다는 의견이 많았었다. 티나와 더빙의 신에서 건재한 모습을 보였기에 팬들이 유지를 기대하게 된 것.] 즉 애초부터 클리어 카드편을 노린 것이기 때문에 차라리 캐스팅을 갈아엎는다면 구작과 클리어 카드편 모두 목소리와 연기가 동일해지도록 맞추는 쪽이 위화감이 덜해지며, 단지 SBS판과의 괴리감을 극복 혹은 적응하는 시청자가 얼마나 되느냐가 관건인 것. 사실 위에서도 언급되었다시피, 투니버스 재더빙에 대해 제기되는 논란은 성우들의 연기력이 정말로 문제가 되었다기보다는 SBS판과의 괴리감에서 오는 어색함에서 비롯된게 가장 큰 요인이다. 따라서 SBS판(구작)을 접하지 않았거나, 혹은 접했는데 기억이 가물가물하거나 연기 자체에만 집중하는 시청자들이 본격적으로 팬덤을 형성한다면 새롭게 잘된 더빙으로 재평가(?)될 가능성이 있는 것. 실제로 투니버스 재더빙에 대해 일부 캐릭터의 목소리 톤이 일본판과 차이가 크지 않다는 이유로 위화감을 덜 느낀다는 의견도 종종 있다. '''즉, SBS판을 보지 않고 일본판으로만 접한 시청자들에게는 오히려 투니버스 재더빙에 대한 인상이 강할 수 있다는 것.''' 애당초 새 시리즈인 [[카드캡터 사쿠라 클리어 카드 편/애니메이션|클리어 카드 편]]을 기존 성우진으로 더빙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했다는 점이 기존 TV판을 재더빙한 이유라는 점에서 SBS판을 접한 시청자들의 불만은 어쩔 수 없는 것이었고, 곧 시청자들의 취향 내지는 적응 여부와 직결되는데도 마치 재더빙판의 연출 내지는 성우들의 연기에 문제가 있다는 식으로 몰아가는 혹평이 있었던게 문제라면 문제인 셈. 특히 SBS에서 처음 방영될 당시에는 [[문선희]]가 맡은 체리는 물론이고 심지어 [[손원일(성우)|손원일]]이 맡은 도진에 대해서까지도 혹평이 많았다.[* 이 당시 가장 큰 애니메이션 동호회였던 [[애니메이트(커뮤니티)|하이텔 애니동]] 게시판에 올라온 시청평들이 현재도 남아있다. 현재는 [[애니메이트(커뮤니티)|애니메이트]]라는 이름의 사이트로 존속중이며, 하이텔 애니동 시절의 글들이 보존되어 있으니 참고.] 이 때는 NHK BS2 위성 채널을 통해 국내에서도 이미 일본판을 시청하는 케이스가 제법 있었던지라, 일본판을 잣대로 삼아 SBS판에 대해 연기력 운운하는 ~~시대를 앞선~~ 더빙까들이 있었던 것. 이를 고려하면 현재의 투니버스 재더빙에 대한 혹평도 결국엔 SBS판과 달라서 적응을 못하거나 취향에 안 맞는 것을 애꿎은 연출 및 연기력탓으로 돌리는 것에 가깝다. 이렇게 발생한 논란과 그에 따른 어그로 유입의 여파로 인해 [[성우 갤러리]]의 일부 유저들이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radiodrama|라디오 드라마 마이너 갤러리]]로 독립해 이주하게 되었다. 그 외 몇몇은 일어 원판으로 갈아타는 경우도 있다. === [[wavve]] 자막판 (2022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navertv(26049714, width=100%)]}}} || ||<-2> '''{{{#ffffff,#ffffff 공식 예고편}}}''' || [[https://www.news1.kr/articles/?4637884|레트로 열풍]]을 타고 [[wavve]]측에서 카드캡터 체리 시리즈를 독점 계약하면서 [[카드캡터 사쿠라/애니메이션/국내 방영#투니버스 TV판 (2018년)|투니버스 재더빙판]]이 서비스되기 시작했는데, 동시에 2022년 4월 5일부터 국내 최초로 TVA 자막판이 주 10화(1일 2회)씩 공개하기 시작했다. 이를 위해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4월 5일 2시(편성표상 4월 4일 26시)부터 5월 21일까지 주 10화(1일 2회×5일)씩 새벽에 우회방영하였다. 사용된 영상은 2017년에 발매된 [[Blu-ray Disc|Blu-ray]] BOX[* 4K 리마스터 후 FHD로 다운스케일링]가 아닌 2009년에 발매한 [[Blu-ray Disc|Blu-ray]] BOX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일부 장면에서 가장자리가 살짝 잘리거나 노이즈가 생기는 곳이 있다. == 극장판 == === 투니버스 극장판 (2001년, 2003년) === 극장판 두 편은 최초 방송국인 [[SBS]]가 아닌, 당시 재방영중이던 [[투니버스]]를 통해 국내에 수입되었다. 당시 [[일본 대중문화 개방]] 문제 등의 이유로 극장판들이 'TV 스페셜'이라는 이름으로 수입되던 때라, 체리 역시 해당 명칭으로 두 편의 극장판을 방영했다. [[극장판 카드캡터 사쿠라|1기]]는 2001년 12월 24~25일 양일에 걸쳐 방송되었고[* [[http://cafe.daum.net/lupin3/UWD/1390?q=%ED%88%AC%EB%8B%88%EB%B2%84%EC%8A%A4%20%EC%8B%A0%EC%9E%91%20%EC%B2%B4%EB%A6%AC%20%EA%B7%B9%EC%9E%A5%ED%8C%90|출처]]], [[극장판 카드캡터 사쿠라 봉인된 카드|2기]]는 이후 2003년 12월 25일에 방송되었다. 연출은 1기 [[최방옥]], 2기는 외주 디지틀온미디어 소속 김은주 PD. 주연은 SBS판 캐스팅이 유지되었으나, 조연들은 [[CJ ENM 성우극회|투니버스쪽 성우]]들로 교체되었다. 다만 1기에서 교체된 성우 중 2기에서는 SBS판 배역으로 다시금 교체된 캐스팅도 있다. 1기 주제가인 'It's my life'는 2절까지 전부 번안되었으나, 2기 주제가는 별도로 번안되지 않고 1기 주제가로 대체되었다. === 투니버스 극장판 (2019년) === TVA 재더빙판 방송 종료 이후, [[카드캡터 사쿠라 클리어 카드 편/애니메이션|클리어 카드 편]]의 프리퀄격인 [[극장판 카드캡터 사쿠라 봉인된 카드|봉인된 카드]]가 재더빙되어 2019년 1월 30일 방송되었다. 작중 전개의 큰 흐름과는 관계없는[* 클리어 카드 편에서 샤오랑의 어머니와 누나들이 나오기 때문에 아주 상관없는 것은 아니다.] 1기 극장판은 방송 예정에 없는 듯.[* 여담으로 현재 1기 극장판의 판권은 운영사 [[CJ ENM]]도, 에스에스애니멘트도 아닌 [[마이씨앗TV]]가 가지고 있다. 재더빙판 방영 이전 마이씨앗TV가 먼저 재수입하였기 때문. 다만 이쪽은 자막 방영 위주인 관계로 더빙판이 없다.] 캐스팅과 제작진 모두 TVA와 동일하며, 2기 극장판 주제가의 1절 분량이 번안되어 제작되었다. 그 외 광고 전·후의 오프닝/엔딩은 별도 타이틀 제작 없이 TVA 3기 오프닝/엔딩을 그대로 사용했다. == [[카드캡터 사쿠라 클리어 카드 편/애니메이션|카드캡터 사쿠라 클리어 카드 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드캡터 사쿠라 클리어 카드 편/애니메이션, 앵커=국내 방영)] == 그 외 == 워낙 장편이라 그런지 TV판 [[DVD]]는 정발되지 않았고 1기 극장판만 DVD 애니에서 정발되었다가 땡처리되는 굴욕 끝에 절판되었다. SBS 방송 당시 [[케이블 방송]]으로 [[NHK BS 프리미엄|BS2]]를 수신 가능한 사람은 한국판과 일본판 둘 다 볼 수 있어서, NHK를 통해 먼저 카드캡터 사쿠라를 접한 사람들이 SBS를 통해 접한 사람들에게 [[스포]]를 하는 일도 비일비재했다. 또한 [[송락현]] 같은 전업 애니평론가나 [[PC통신]] 동호회에 참여하는 수준의 마니아가 아닌, 일반적인 시청자들이 일본판을 접하게 된 사실상의 최초 사례이기도 하다. 양국 버전 간 스타일이 많이 달라서 한 쪽에 익숙한 사람들은 타 버전에 위화감을 많이 호소하기도 할 정도였다. 이로 인해 일본과 마찬가지로 수 많은 오덕을 생산해낸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인터넷 보급 초창기 당시, 여러 달간 NHK 위성을 보고 녹화하며 대사를 일일이 번역해 PC통신에 올린 사례도 있었는데[* 아예 비디오로 녹화하고 대본을 인쇄해서 번갈아서 본 사례도 있다.], 대표적인 예가 카캡 덕후였던 웹툰 작가 [[seri]]가 언급한 '카방클'이었다. ([[https://blog.naver.com/schan1205/150150023099|카캡사로 입덕하는 만화.]] [[https://blog.naver.com/schan1205/150150440663|카캡사로 입덕하는 만화 2]]) 또 [[http://hds.ddns.co.kr/finehome/ccsakura/|'한동석의 카드캡터 사쿠라']] 같은 팬사이트들도 생겨났다. 종영 후에는 (주)에스에스애니먼트로 귀속됐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카드캡터 사쿠라, version=1424, paragraph=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