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カードe / e-Reader Card [[게임보이 어드밴스]], [[닌텐도 게임큐브]] 시기에 [[닌텐도]]가 발매했던 카드형 제품. 카드 e 안에는 카드 e 리더 내장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할 수 있는 간단한 게임이나, 지원하는 [[게임보이 어드밴스|GBA]], [[닌텐도 게임큐브|게임큐브]] 게임의 추가 콘텐츠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트레이딩 카드]]와 [[비디오 게임]]을 접목한 개념의 상품이다. 가장 유명한 기능은 '카드 e+'의 추가 콘텐츠 기능으로, 지원 게임에서 주변기기 '카드 e 리더+'를 통해 추가 데이터를 읽어들여 해당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카드 e+는 실물로 구현한 DLC, ULC 개념의 상품인 셈이며, 닌텐도 플랫폼에서는 현재의 [[amiibo]]와 용도가 비슷하다. GBA, GC 시절에 닌텐도가 대대적으로 마케팅을 밀었고 적지 않은 라인업이 발매되었으나, 판매 부진을 겪고 결국 [[닌텐도 DS]] 시기부터 자취를 감추었다. 실물과 전자의 놀이를 접목한다는 카드 e의 유지는 2014년부터 [[amiibo]]를 통해 부활하여 이어지고 있다. == 제품 종류 == * '''카드 e 리더'''(カードeリーダー) e 리더의 초기 버전으로 단독으로만 사용 가능. 2001년 12월 1일 일본에서만 발매. * '''카드 e'''(カードe) 초기 규격의 카드. 일본에서만 발매. * '''카드 e 리더+'''(カードeリーダー+/Nintendo e-Reader) GBA, GC 게임과의 통신 기능, 그리고 저장 기능을 갖춘 e 리더. 카드 e+는 물론 하위 규격인 카드 e도 사용 가능. 오리지널 GBA에서도 통신 케이블 연결이 가능하도록, 통신 케이블 패스스루 단자가 탑재되어 있다.[* 통신 패스스루 단자의 튀어나온 부분은 오리지널 GBA 이외의 기기에 끼워넣을 경우 거추장스러워진다. 특히 이 단자 때문에 오리지널 닌텐도 DS나 게임보이 플레이어의 카트리지 슬롯에는 끼워넣을 수가 없다.] 북미에서 2002년 9월 16일 발매 후 2004년 초 단종, 일본에서 2003년 6월 27일 발매 후 2008년 단종. * '''카드 e+''' (カードe+/e-Reader Cards) 카드 e 리더+에 대응하는 상위 규격의 카드. == 사용법 == === e 리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 GBA 카트리지 슬롯이 있는 게임기에 e 리더/e 리더+를 꽂고 카드 e를 긁어 사용한다. 카드 e 리더에 내장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카드 e/e+에 저장된 코드를 구현하는 방식이며, 앞서 말한 물건 이외의 준비물은 필요하지 않다. 게임보이 어드밴스, 게임보이 어드밴스 SP, 게임보이 미크로, 닌텐도 DS, 닌텐도 DS Lite에서 구동할 수 있다. === 지원 게임과 연결하는 경우 === 지원하는 다른 게임에서 카드 e+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통신 케이블을 통한 유선 연결이 필요하다. 따라서 닌텐도 DS, 닌텐도 DS Lite는 사용할 수 없다. GBA 플랫폼에 속하는 하드웨어가 다양하기 때문에 연결의 경우의 수가 상당히 많다. ==== 준비물 ==== || 게임 || '''A. GBA 게임''' || '''B. 게임큐브 게임''' || || 카드 e ||<-2> 카드 e+ || || 리더 ||<-2> 카드 e 리더+ || || 게임을 하는 기기 || 게임보이 어드밴스[br]게임보이 어드밴스 SP[br]게임보이 미크로[br]닌텐도 게임큐브+게임보이 플레이어 || 닌텐도 게임큐브 || || 리더를 꽂는 기기 || 게임보이 어드밴스[br]게임보이 어드밴스 SP[br]게임보이 미크로 || 게임보이 어드밴스[br]게임보이 어드밴스 SP || || 접속 케이블 || GBA용 통신 케이블^^* **^^ || 닌텐도 게임큐브 GBA 케이블 || ||<-3> {{{-2 *게임보이 미크로 2대끼리 연결하는 경우, 게임보이 미크로 전용 통신 케이블이 필요}}} {{{-2 **게임보이 미크로와, 다른 기기를 연결하는 경우, 게임보이 미크로 전용 변환 커넥터가 추가로 필요}}} || 게임용 기기와 리더용 기기는 기재된 제품 중 각각 하나씩만 준비하면 된다. ==== A. GBA 게임 ==== 1. '''GBA 게임을 구동하는 기기(게임용 기기)를 준비한다.''' 카드 e+를 지원하는 __GBA 게임__을 구동하는 기기이자, 카드 e 리더+ 측에서 보내는 데이터를 수신할 기기이다. 게임보이 어드밴스, 게임보이 어드밴스 SP, 게임보이 미크로는 물론 [[게임보이 플레이어]]를 장착한 닌텐도 게임큐브 본체도 수신 기기로 사용할 수 있다. 1. '''카드 e 리더+를 구동하는 기기(리더용 기기)를 준비한다.''' 게임보이 어드밴스, 게임보이 어드밴스 SP, 게임보이 미크로만 사용할 수 있다. 1. '''게임용 기기와 리더용 기기를 통신 케이블로 연결한다.''' GBA 1P용 보라색 단자를 1의 게임용 기기에,[* 게임큐브+게임보이 플레이어의 경우 게임보이 플레이어의 GBA 통신용 단자에 꽂는다.] 2P용 회색 단자를 2의 리더용 기기에 꽂는다.[*GBA 게임보이 어드밴스(오리지널)의 경우 e 리더의 GBA 통신용 단자에 꽂는다.] 단자를 틀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1. '''(게임용 기기) GBA 게임에서 카드 e+ 스캔 화면을 연다.''' 1. '''리더용 기기의 e 리더+ 소프트를 실행하고 카드 e+를 e 리더+ 접속 단자에 긁는다.''' ==== B. 게임큐브 게임 ==== 게임큐브 게임에서 카드 e+에 접속할 때 [[게임보이 플레이어]]는 전혀 사용하지 않으니 참고. 1. '''닌텐도 게임큐브 본체(게임용 기기)를 준비한다.''' 카드 e+를 지원하는 __게임큐브 게임__을 구동하는 게임큐브 본체를 준비한다. 게임보이 플레이어에서 GBA 게임을 구동하는 상황은 GBA 게임에서의 사용법 참조. 1. '''카드 e 리더+를 구동하는 기기(리더용 기기)를 준비한다.''' 게임보이 어드밴스, 게임보이 어드밴스 SP만 사용할 수 있다.[* 게임보이 미크로는 아래 3에서 사용할 케이블의 규격에 맞지 않아 사용 불가.] 1. '''게임큐브 본체와 리더용 기기를 GBA 케이블로 연결한다.''' 닌텐도 게임큐브 GBA 케이블을 사용한다. 게임큐브 컨트롤러 단자 4개 중 남는 단자에 동그란 단자를 꽂고, 2의 리더용 기기에 활꼴의 단자를 꽂는다.[*GBA] 1. '''게임큐브 게임에서 카드 e+ 스캔 화면을 연다.''' 1. '''리더용 기기의 e 리더+ 소프트를 실행하고 카드 e+를 e 리더+ 접속 단자에 긁는다.''' == 발매 일람 == * 카드 e 모두 일본에서만 발매. * [[포켓몬 카드|포켓몬 카드 e]] * [[동물의 숲|동물의 숲+]] 카드 e * [[방가방가 햄토리]] 카드 e * [[도모군]] 카드 e - GBA 게임 '도모군의 이상한 TV'(どーもくんの不思議てれび)에서 사용 * 카드 e+ * 포켓몬 배틀 카드 e+ * 지원 게임: [[포켓몬스터 루비·사파이어]], [[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리프그린]], [[포켓몬스터/외전#3세대|포켓몬 콜로세움]], [[포켓몬스터 에메랄드]] * [[포켓몬스터/외전#3세대|포켓몬 채널 ~피카츄와 함께!~]] - 소프트와 동봉된 카드만 사용 가능 * [[록맨 에그제 시리즈]] 개조 카드 - [[록맨 에그제 4#개조 카드]] 문서에 소개되어 있다. 일본에서만 발매. * 지원 게임: [[록맨 에그제 4]], [[록맨 에그제 5]], [[록맨 에그제 6]], [[록맨 제로 3]] * [[동물의 숲|동물의 숲 e+]] * [[F-ZERO 팔콘 전설(게임)]] 카드 e+ - 일본에서만 발매. * [[슈퍼 마리오 어드밴스 4]] 카드 e+ - 카드의 기능, 라인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피크민 2]] 카드 e+ - 일본에서만 발매. * [[포켓몬스터/외전#3세대|포켓몬 핀볼 루비 & 사파이어]][*PR 해당 게임의 카드 e+는 정식으로 발매되지 않고 판매 촉진을 위해 비매품으로 배포되었다.] * [[마리오 vs. 동키콩]][*PR] * 서양에서만 발매 * NES Classics - [[패밀리 컴퓨터]]의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카드. * 라인업: [[동키콩 Jr]], [[벌룬 파이트]], [[익사이트바이크]], 핀볼, 테니스, 야구, [[동키콩(게임)]], [[아이스 클라이머]], [[마리오브라더스]], [[어반 챔피언]], 쿠루쿠루랜드, [[동키콩 3]], 골프 * 마리오 파티-e - 64장의 카드로 즐기는 보드 게임으로, 카드를 e 리더에 인식시키면 미니게임을 즐길 수 있다. 카드 e 리더 없이도 순수한 보드 게임으로 플레이할 수 있다. 북미에서만 발매. * Kirby Slide Puzzle - [[별의 커비(애니메이션)]] 테마의 슬라이드 퍼즐 게임. 닌텐도 파워 175호, Tips & Tricks Magazine, 토이저러스 FoxBox promotional box에 동봉. * [[게임 & 워치]] 카드(맨홀-e) == 기타 == * 후대 [[닌텐도 3DS]](특히 [[New 닌텐도 3DS]]), [[Wii U]], [[Nintendo Switch]] 시기의 비슷한 상품으로 [[amiibo]]가 있다. 아미보는 NFC 기술을 사용하는 피규어/카드형 제품으로, 카드 e와 반대로 흥행에 성공했다. 아미보는 카드 e보다 판매 여건이 여러 면에서 유리한데, 일단 구 3DS를 제외한 아미보 대응 콘솔은 모두 본체 또는 동봉된 컨트롤러에 NFC 단자가 탑재되어 있어 별도의 주변기기 없이도 아미보를 쓸 수 있고, 피규어형 아미보는 게임 이외에 전시용으로도 가치가 높아 소비자의 풀이 넓다. * 일부 카드는 프로모션을 위한 비매품으로 풀렸거나 생산량이 적어 구하기가 매우 어렵다. * 당연한 얘기지만 [[Wii U]]의 GBA [[버추얼 콘솔]], [[Nintendo Switch]]의 [[Game Boy Advance - Nintendo Switch Online|GBA 클래식 게임 서비스]]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이미 단종되고 대체품인 아미보까지 나온 뒤에 출시한 Wii U와 Nintendo Switch에는 GBA 카트리지 슬롯과 GBA 통신 케이블 단자 등 카드 e를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이 갖춰져 있지 않다. [[분류:장난감 상호 작용 게임]][[분류:굿즈]][[분류:게임보이 어드밴스]][[분류:닌텐도 게임큐브]][[분류:2001년 출시]][[분류:2008년 단종]]